2020 IoT,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기술개발 전략과 시장 전망

데이코 편집부
638p
content
Rate
Comment
More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보급이 본격화되는 IoT와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생태계를 구성하는 관련 산업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한 연구보고서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산업의 동향과 트렌드를 살펴봄으로써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Ⅰ. 제조업 혁신 및 스마트 제조 동향 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제조 1-1. 4차 산업혁명과 제조업 1) 제조업의 재부상 배경 (1) 탈공업화 (2) 글로벌 경제위기 2) 제 4차 산업혁명의 특징 (1) 제조업 서비스화(Servitization) (2) 제조업 디지털화(Digitalization) (3) 제조업 스마트화(Smartization) 3) 제조업 관점에서의 4차 산업혁명과 응용 분야 (1) 머신비전 검사 (2) 예지정비 (3) 가상 시운전 1-2. 스마트 제조와 기존의 제조혁신 1) 스마트 제조 및 기존 제조혁신의 공통점 2) 스마트 제조 및 기존 제조혁신의 차이점 (1) 정보전달 속도 (2) 데이터의 역할 범위 (3) 생산품종의 다양성 3) 스마트 제조의 성공요건 (1) 디지털기술의 차별적 장점 활용 (2) 기존 제조혁신의 성공요소 차용 1-3. 국내외 제조업 혁신 동향 1) 미국 제조혁신연구소 (1) 제조혁신연구소 기본구상 (2) 제조혁신연구소 현황 및 성과 2) 미국 테슬라 3) 미국 보잉 4) 독일 아디다스 5) 독일 노빌리아(Nobilia) 6) 국내 사례 (1) LS산전 (2) 포스코 ICT (3) 수아랩 (4) 지멘스 코리아 (5) 항공 및 특수소재 기업 2. 스마트 제조 주요 동향 및 파급 효과 2-1. 스마트 제조 개념 및 주요 이슈 1) 스마트 제조의 개념 및 주요 특성 (1) 스마트 제조의 개념 (2) 스마트 제조의 범위 (3) 스마트 제조의 특성 2) 스마트 제조 산업 주요 이슈 (1) 스마트 제조 산업 현안 및 글로벌 트렌드 (2) 스마트 제조 산업 주요 이슈 2-2. 스마트 제조 기술 및 시장 동향 1) 스마트 제조 시장 동향 및 전망 2) 스마트 제조 기술 개발 동향 (1) 글로벌 스마트 제조 기술 개발 동향 (2) 국내 스마트 제조 기술개발 동향 3) 스마트 제조 표준화 및 특허 동향 (1) 글로벌 표준화 및 특허 동향 (2) 국내 표준화 및 시험인증 동향 2-3. 국내 스마트 제조 경쟁력 분석 1) 국내 스마트 제조 기술수준 분석 2) 국내 스마트 제조 표준화·시험인증 역량 평가 (1) 국내 스마트 제조 표준화 역량 (2) 국내 스마트 제조 시험인증 역량 2-4. 스마트 제조를 통한 제조업 패러다임 전환 1) PLM/MDM 기반 기준정보 연결과 맞춤형 생산 2) 디지털 노동 및 패턴·알고리즘·지능화 3) 플랫폼 기반 디지털 기술과 생산성 혁신 4) 초연결화를 통한 사물 인지력 및 자가재조정력 제고 5)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 확대 (1) 미국 스틸케이스(Steelcase) 사례 (2) 독일 Deutsche Edelstahlwerke(DEW) 사례 6) 소재의 첨단화 Ⅱ. 스마트 팩토리 실태와 기술 동향 1. 스마트 팩토리 개념 및 핵심 기술 동향 1-1. 스마트 팩토리 개념과 현황 1) 스마트 팩토리 정의와 배경 (1) 스마트 팩토리 개념과 구성요소 (2) 스마트 팩토리 범위와 분류 (3) 스마트 팩토리 확산 배경 2) 주요국 스마트 팩토리 추진 현황 (1) 독일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국내 3) 스마트 팩토리 주요 이슈 (1) 스마트 공장 인식조사 (2) 분야별 스마트 팩토리 산업 동향 (3) 국내외 스마트 팩토리 분야 주요기업 동향 (4)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운영 현황 및 과제 1-2. 스마트 팩토리 핵심 기술 및 기술 동향 1)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1) 사물인터넷(IoT) 및 사물통신 (2)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 CPS) (3) 로보틱스 (4) 3D 프린팅 (5) IoT 기반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6) 사이버 보안 2) 스마트 팩토리 기술 동향 및 협업구조 전망 (1) 스마트 팩토리 기술 동향 (2) 스마트 팩토리 IPR 현황 및 전망 (3) 스마트 팩토리에서의 인간과 기술 간 협업구조 전망 3) 제조 운영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핵심 기술 (1) 제조운영에서 생산자원(4M1E) 데이터 통합화 필요성 (2) 제조운영을 위한 IIoT/IIoS 적용모델 2. 스마트 팩토리 생태계 핵심 산업 동향 2-1. 산업용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 IIoT) 1) 산업용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 IIoT) 개요 (1) 산업용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분류 (2) 4차 산업혁명과 산업용 사물인터넷 (3) 스마트 팩토리에서의 산업용 사물인터넷의 역할 (4) 산업용 사물인터넷의 현황과 의의<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