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선언

카를 마르크스 and other
172p
content
Rate
Comment
More

마르크스를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이데올로기적 사상가로 만든 문건이자, 마르크스 철학사상의 결정체인 <공산당선언>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문제적인 텍스트로 기능하고 있다. 1947년 공산주의자 동맹(국제 노동자 단체) 회의에서 공표할 당 강령의 용도로 쓰여진 이 저작은, 현실을 개혁할 수 있는 원리를 현실 자체에서 산출하려는 과학적 태도를 견지함으로써 이념과 현실의 화해를 시도하고 있다. 책세상문고.고전의세계 시리즈 중 21번째인 이 책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공산주의자 동맹을 위한 강령으로 함께 집필한 <공산당선언>과 <공산당선언>이 씌어지기 전에 엥겔스가 강령 초안으로 집필했던 <공산주의의 원칙>을 온전하게 번역했으며, 또한 <공산당선언>의 중판 및 번역본들의 서문 7편을 모았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공산당선언 1.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2.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문헌 1) 반동적 사회주의 2) 보수적 또는 부르주아-사회주의 3) 비판적-유토피아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제2장 공산주의의 원칙 제3장 <공산당 선언>의 중판 및 번역본들의 서문 1. 1872년 독일어판 서문 2. 1882년 러시아어판 서문 3. 1883년 독일어판 서문 4. 1888년 영어판 서문 5. 1890년 독일어판 서문 6. 1892년 폴란드어판 서문 7. 1893년 이탈리어어판 서문 - 이탈리아의 독자에게 해제 - 철학자 마르크스, 공산주의에서 공생주의로 1. 자본주의의 보편화와 <공산당선언>의 의미 2. 마르크스의 생애와 사상 3. <공산당선언>의 철학적 기원 4. 공산주의 이념과 유토피아적 모더니즘 5. '운동'으로서의 공산주의와 시민 사회의 해부 6. <공산당선언>의 현대적 의미와 포스트모던의 공생주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