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 사커

김선오 · Poem
108p
Rate
아침달 시집 16권. 김선오의 <나이트 사커>가 아침달에서 출간됐다. 김선오 시인은 이번 첫 시집을 통해 44편의 시와 한 편의 산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는 신예다. 김선오의 시는 집요하다. 그의 시선과 문장은 쉬지 않고 이동하는 대상을 좇아가며 기록한다. 추천사를 쓴 황인찬 시인에 따르면 이 집요함은 존재하지 않는 '너'를 영원토록 존재하도록 만들기 위한 고투이다. '너'가 존재하고 나서야 아직 없는 '우리'가, 즉 우리의 세상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김선오는 하나의 사랑으로 만들어진 이 폭력의 세계를 잿더미로 만들고 아직 오지 않은 우리를 감각하려 한다. 사랑이 끝난 뒤 찾아오는 새로운 사랑의 세계, '사랑 없음'의 세계가 지금 우리에게 도착하고 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부 % 비와 고기 사랑 없음 입장하세요 러브 미 텐더 뼈와 종이 피렌체 독주회 시네 키드 첫 야간비행 우리는 폐역의 밖에서 디졸브 크로키 독 아지트 덫 2부 냉동육 자연사 박물관 쥐 놀이 도빌 포스터 상점 녹 일요일 향수를 버리려고 박쥐를 주웠다 출구는 이쪽입니다 나이트 사커 드라이 플라워 낫 마이 폴트 2월생 코인 세탁소 3부 내 얼굴에 네가 빠지고 기립 잠과 맥박 미디엄 레어 왈츠 녹은 사탕 체온과 미래 라고스 구터 달은 달걀들의 서식지이다 위증 클라이맥스 실낙원 훼손 주의 부록 비주류 천사들

Description

사랑의 종료를 통해 시작되는 새로운 사랑의 가능성 “김선오의 시는 사랑이 끝났다고 집요하게 말함으로써 오히려 사랑의 불가능을 파괴하려 하는 것 같다.” ―황인찬 시인 김선오의 『나이트 사커』가 아침달에서 출간됐다. 김선오 시인은 이번 첫 시집을 통해 44편의 시와 한 편의 산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는 신예다. 김선오의 시는 집요하다. 그의 시선과 문장은 쉬지 않고 이동하는 대상을 좇아가며 기록한다. 추천사를 쓴 황인찬 시인에 따르면 이 집요함은 존재하지 않는 ‘너’를 영원토록 존재하도록 만들기 위한 고투이다. ‘너’가 존재하고 나서야 아직 없는 ‘우리’가, 즉 우리의 세상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김선오는 하나의 사랑으로 만들어진 이 폭력의 세계를 잿더미로 만들고 아직 오지 않은 우리를 감각하려 한다. 사랑이 끝난 뒤 찾아오는 새로운 사랑의 세계, ‘사랑 없음’의 세계가 지금 우리에게 도착하고 있다. 폭력이 은폐된 세상을 잿더미로 만들기 담담한 목소리로 그려내는 감각적인 이미지는 김선오의 특장이다. “흰 방의 완벽을 위해 창밖에도 눈보라가 몰아치고 있”는 풍경 속에서 김선오는 집요하게 관찰하고 반복한다. 그의 집요한 시선은 캄캄한 와중에 이곳저곳으로 움직이는 대상과 함께 운동한다. 이 반복 운동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이 세계가 가진 부정성이다. 특히나 육식으로 만들어진 세계에 대한 부정은 시집 곳곳에서 발견된다. 부록으로 실린 산문에서 김선오 시인은 “고기라니, 너무 이상한 말이다. (…) 양파는 팔리기 전에도 양파라 불리고 땅 속에서도 감자는 감자이며 바닷속에서도 미역은 미역이다. 그러나 돼지나 소나 닭은 식재료가 되고 나면 이름 뒤에 고기라는 말이 붙는다.”라며 육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만든 언어와 세상에 의문을 표한다. 동물과 인간이 다르지 않은 생명이라는 인식은 고기를 인간의 자리에 두는 여러 시편들을 통해 드러난다. 주어 ‘나’의 위치에 ‘고기’를 넣어 지극히 일상적인 풍경을 담아내는 「비와 고기」, 하나의 거대한 살점과 이를 잘라내는 칼에 관한 꿈을 그린 「냉동육」, 몸에 박힌 수십 개의 이빨에 관해 집요하게 말하는 「미디엄 레어」 등등 다수 시편들은 동물이 겪는 폭력을 인간의 위치에 놓아 이 일의 부조리함을 보여주고 있다. 사랑의 형태는 하나뿐이며, 이와 다르면 정상성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는 믿음을 통해 만들어진 세상을 우리는 살고 있다. 김선오의 시에서 이러한 세상은 부정되고 사랑은 종료된다. 김선오는 하나의 사랑에 관해 말하는 대신에 ‘사랑 없음’이 왔다고 말하는 시인이다. 그는 아직 오지 않았거나 이미 사라진 ‘너’를 집요하게 호명한다. 이러한 부름을 통해 “너는 빠르게 늙고 느리게 다시 태어난다.” 다시 태어난 너를 통해 ‘우리’라는 세계가 재시작된다. 이 새로운 사랑의 세계는, 사랑 없음 또한 사랑의 다른 가능성인 세계일 것이다. 김선오는 이런 보이지 않는 사랑의 다른 형태가 있다고, 혹은 이미 여기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