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사람 자살 사건

최승호
156p
Rate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절판되었던 최승호 선생의 우화집 『황금털 사자』가 제목을 변경해서 출간됐다. 우화집이라고 하였지만, 한 편 한 편을 들여다보면 우화(산문)라고 하기에는 오히려 시에 가깝다. 한 편 한 편 최승호 선생 특유의 시적 문장과 문체로 그려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인생연습 거울의 분노 눈사람 자살 사건 개미 비누로 만든 교회 흑암지옥 눈사람의 방문 동냥 천국의 거울 고슴도치 두 마리 마지막 개똥벌레 불면의 시대 도둑 콧구멍 없는 송아지 고수 해탈한 구더기 코뿔소의 선택 초 구덩이 발 없는 새 깨어진 항아리 인간 동물원 망치뱀 이상한 물고기 바다의 비밀 네모 속의 비단잉어 낚시꾼을 끌고 간 물고기 쓸개 빠진 곰 북어대가리 황금털 사자 개미귀신 심판 생명 오, 징그러운 고기 불로장생 요강 놀림 빠른 시계들 편지 왕도 흉 발이 큰 올빼미 벌목 들장미 누에 안개 꿈 가면을 쓴 늙은이 흑국의 슬픔 혀 새우의 힘 독사와 돼지 앵무새 학교 게들의 식탁 구름을 먹는 기린 물뚱뚱이 왕 늪 질투 제비와 제비꽃 어느 기회주의자의 죽음 암탉은 말한다 빵가게 주인 할미꽃 천왕지팡이 고통과 광기 분열된 다올 씨 두 겹의 꿈 결박 오해 열등감 정원사 슬픔 처세술 강의 물 위에 쓰는 우화 그림 목록

Description

시 같은 우화, 우화 같은 시 ― 최승호 우화집 『눈사람 자살 사건』 편집 후기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안타깝게도 절판되었던 최승호 선생의 우화집 『황금털 사자』(해냄, 1997)를 복간하였다. 이번에 복간하면서 선생께서 제목도 “눈사람 자살 사건”으로 바꾸셨고, 내용도 상당 부분 바꾸셨다. 박상순 시인의 북디자인이 또한 책을 새롭게 만드는 데 큰 몫을 했다. 표지 디자인은 물론 본문의 그림도 다 바뀌었다. 따라서 복간이라기보다는 개정판에 가깝다고 하겠다. 우화집이라고 하였지만, 한 편 한 편을 들여다보면 우화(산문)라고 하기에는 오히려 시에 가깝다. 한 편 한 편 최승호 선생 특유의 시적 문장과 문체로 그려냈는데, 독자 입장에서는 굳이 산문이다 시다 구분 지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가령 우화 「거울의 분노」를 보자. 그 거울은 무심(無心)하지 못하였다. 날마다 더러워지는 세상을 자신으로 여긴 거울은 혐오감을 참지 못하고 분노의 힘으로 온몸을 산산조각 내버렸다. 일종의 자살이었다. 그러자 조각조각마다 보기 싫은 세상의 파편들이 또다시 비쳐오는 것이었다. ― 「거울의 분노」 전문 이 짧은 우화를 두고 과연 산문이라 할 것인가 아니면 시라고 할 것인가. 무어라 한들 어떠할까 싶다. 짧지만 그 울림은 길고 넓지 않은가. 다음의 우화 「고슴도치 두 마리」는 또 어떤가. 고슴도치 두 마리가 가시를 상대방의 몸에 찌른 채 피투성이가 되어 함께 죽어 있었다. 그들은 서로 너무 깊이 사랑했던 모양이다. ― 「고슴도치 두 마리」 전문 최승호 우화집 『눈사람 자살 사건』에 나오는 우화들은 대개 짧다. 웬만한 산문시보다도 짧다. 그런데 그 짧은 문장에 담긴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결코 녹록지 않다. 또한 처음 책이 나온 지 30년이 훌쩍 지났지만, 최승호 선생이 들려주는 한 편 한 편의 우화는 지금의 세상과 빗대어도 전혀 어색함이 없다. 고전이 그렇듯이 좋은 글은 세월의 풍화를 이겨내는 법이다. 삶이란 무엇인지, 인간관계란 무엇인지, 생태계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어떻게 함께하는지 등등 주옥같은 우화를 만나보기 바란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이런 우화는 없었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시 같은 우화, 우화 같은 시” “시집 같은 우화집, 우화집 같은 시집” 어떻게 불러도 좋을 최승호 선생의 우화집 『눈사람 자살 사건』이 독자들에게 큰 울림과 위로를 줄 것이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