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서문을 대신하여 7 1부 권보드래 평민의 딸, 길 위에 서다 ? 신소설의 성(性)?계층?민족 21 심진경 여성문학의 탄생, 그 원초적 장면 ? 여성?스캔들?소설의 삼각관계 46 장영은 ‘배운 여자’의 탄생과 존재 증명의 글쓰기 ? 근대 여성지식인의 자기서사와 그 정치적 가능성 70 류진희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선택 ? 지하련?이선희?최정희?장덕조를 중심으로 92 이혜령 그녀와 소녀들 ? 일본군 ‘위안부’ 문학/영화를 커밍아웃 서사로 읽기 116 2부 허윤 멜랑콜리아, 한국문학의 ‘퀴어’한 육체들 ? 1950년대 염상섭과 손창섭의 소설들 155 강지윤 감수성의 혁명과 반(反)혁명 ?김승옥의 「무진기행」과 ‘여성’이라는 암호 181 정미지 불온한 ‘문학소녀’들과 ‘여학생 문학’의 좌표 ? 1960년대 독서의 성별화와 교양의 위계 200 김미정 ‘한국-루이제 린저’라는 기호와 ‘여성교양소설’의 불/가능성 ? 1960~1970년대 문예 공론장과 ‘교양’의 젠더 228 3부 조서연 돌아온 군인들 ? 1950~1970년대의 전쟁 경험과 남성(성)의 드라마 261 이진경 섹슈얼리티의 프롤레타리아화 ? 1970년대 문학과 대중문화의 성노동 재현 288 김은하 ‘살아남은 자’의 드라마 ? 여성 후일담의 이중적 자아 기획 310 오혜진 ‘이야기꾼’의 젠더와 ‘페미니즘 리부트’ ? 신자유주의시대 이후 한국문학(장)의 기율과 뉴웨이브 340 참고문헌 377 색인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