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아말리아

파스칼 키냐르 · Novel
368p
Rate
프랑스 공쿠르 상과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설 대상, 프랑스 문인협회 춘계대상, 모나코의 피에르 국왕상 수상에 빛나는 프랑스의 국민작가 파스칼 키냐르의 장편소설. 프랑스에서 그의 책이라면 어느 것이나 출간될 때마다 '하나의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는 키냐르답게 오랜만에 출간한 장편소설 <빌라 아말리아>는 평단과 독자의 사랑을 두루 받았으며, 이자벨 위페르 주연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제1부 제2부 제3부 제4부 옮긴이의 말_<빌라 아말리아> 천천히 읽기 작가 연보 작품 목록

Description

“그것은 다른 시간이리라. 그 시간을 다른 여인이 살게 되리라. 그 시간은 다른 세계에 존재하리라. 그 세계가 다른 삶을 열어주리라.” 『은밀한 생』의 작가 키냐르가 전하는 소멸과 생성, 떠남과 새로운 시작…… 프랑스 공쿠르 상과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설 대상, 프랑스 문인협회 춘계대상, 모나코의 피에르 국왕상 수상에 빛나는 프랑스의 국민작가 파스칼 키냐르의 장편소설 『빌라 아말리아Villa Amalia』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프랑스에서 그의 책이라면 어느 것이나 출간될 때마다 ‘하나의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는 키냐르답게 오랜만에 출간한 장편소설 『빌라 아말리아』는 평단과 독자의 사랑을 두루 받았으며, 2008년에는 이자벨 위페르 주연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마흔일곱 살의 안. 어느 날 자신의 선택보다는 사회적 관습에 얽매여 살아온 이제까지의 삶에 결별을 고한다. 『빌라 아말리아』는 ‘하나의 삶을 떠나 또 다른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한 여인의 이야기’이다. 흔히 우리는 하나의 삶이 있을 뿐이라 믿지만, 우리 내면에 자리 잡은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 수동적 고집의 본성”을 깨닫는 순간 하나의 삶에서 다른 삶으로 넘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안은 위선과 거짓의 삶을 직시하는 고통을 감내하며, 현재의 삶을 수선하기보다는 새로운 출발을 선택한다. 정체성이 소멸될 위험을 무릅쓰고 제로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원한다. 혹자는 주인공 안의 모습에서 작가 키냐르의 모습을 찾는다. 안과 비슷한 나이에 모든 공직을 사임하고 세상의 여백으로 물러나 전화, e-mail, 인터넷도 없이 은둔자로 살아가는 키냐르의 모습은 모든 사회적 관계를 끊고 자신의 열정에 몰입하는 주인공 안 이덴과 닮았다. 고독과 몸을 섞어 다시 태어나기 위해 모든 가족적 · 사회적 관계를 끊고, 사회적 자아의 근거지에서 되도록 멀리 떠나는 안, ‘내면의 자아’를 찾아가는 용기 있는 그녀의 여행기는 자기 본연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독자들의 가슴에 공명을 일으킬 것이다. 자기 본연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당신에게 전하는 다른 시간의 문을 여는 용기 있는 선택 그녀는 단지 한 남자와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열정과도 헤어지는 것이었다. 이것은 바야흐로 헤어지려는 열정을 느껴보는 방식이었다. _104쪽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안은 어느 날 15년간 함께 살아온 남자친구 토마가 다른 여인과 키스하는 것을 본 후 그를 포함한 모든 것을 뒤로하고 떠나기로 결심한다. 토마가 출장 간 사이 작은 상자 하나만을 토마의 사무실로 보낸 뒤 말도 없이, 흔적도 없이 떠난다. 옮긴이의 표현에 따르면 사실 쉰을 바라보는 이 나이는 삶의 제방이 무너지는 시기이다. 안의 경우에는, 15년간 함께 살던 토마의 외도가 범람 직전의 강물에 보태진 또 한 방울의 물로 작용한 것이다. 상처받은, 열정이 넘치는 안은 자신의 운명을 자각하고 “어디로 가는지 모르지만 나는 결연히 그곳으로 달려간다. 어떤 것이 내게 결여된 그곳에서 내가 헤매고 싶어지리라는 느낌이” 들어 지금까지의 삶을 지우고 다른 시간을 찾아 떠난다. 다른 세계란 사회에서 동떨어진 사각지대일 것이다. 그곳에서의 다른 삶은 좀 더 진실에 가까운 내면의 삶이며, 그런 삶을 살게 될 다른 여인이란 스스로 열리는 자, 그리하여 진실의 문이 아니라, 키냐르가 말하는 ‘옛날’의 문을 여는 자가 될 것이다. 안은 새로운 생성을 위해 지금까지의 삶의 흔적을 지우는 것으로 시작한다. 과거에 속한 일체의 것과 결별하고, 직장에 사표를 내고, 집을 팔고, 은행계좌를 닫고, 신용카드와 핸드폰을 없애고, 옷과 사진을 불태운다. 우리가 죽으면 주변의 누군가가 하게 될 일을 생전에 스스로 하는 셈인데, 이것으로 안은 자기 안의 사회적 자아를 죽여서 부활을 꾀하려는 것이다. 동거인이 출장을 간 일주일 사이 이 모든 과정이 계획된 살인사건처럼 긴박하게 진행된다. 안은 하나의 삶을 닫고, 새로운 삶의 문을 연다. ‘곳’에서 ‘곳’(파리-엥가딘-독일-스위스-이탈리아)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나폴리 만의 이스키아 섬, 그곳의 정상에서 푸른 지중해를 굽어보는 ‘빌라 아말리아’에서 다른 삶을 시작하기에 이른다. 치유의 장소, 빌라 아말리아 그녀는 집과 사랑에 빠졌다 ― 즉, 사로잡혔다. _155쪽 ‘빌라 아말리아’는, 소설의 제목답게(빌라 아말리아는 ‘장소-인물’의 합성어이다) 그저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아니라 당당한 주요 인물로서 등장한다. 여행을 떠난 안은 이탈리아의 이스키아 섬에 위치한 이 ‘곳’을 보고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그 집의 이름은 빌라 아말리아, 안이 자신을 찾아 떠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솔직하게 새로운 사랑을 하는 곳. 안은 그곳에서 의사 레온하르트를 만나고 그의 어린 딸 레나와 각별한 사이가 된다. 안은 그곳에서 새롭게 만난 친구 쥘리에트에게 레나의 보모가 되줄 것을 부탁하고, 세 살 레나와 쥘리에트, 안 세 여자는 특별한 사랑을 나누며 풍요로운 시간을 만들어간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한 사고로 이들의 공생 관계는 파국을 맞는다. 서로를 보며 이겨낼 수 없는 아픈 상처를 자꾸 되새기게 되자, 안은 빌라 아말리아를 제물로 바치고 프랑스로 돌아오는데…… 키냐르는 나이가 들수록 첫눈에 사람에게보다 장소에, 자연에 매료되는 일이 점점 자주 일어난다고 말한다. 안은, 사랑의 대상이 될 이 ‘곳’을 찾아내기까지, 많은 ‘곳’들 ―파리(경제 · 사회), 브르타뉴(유년기), 상스(우정 · 휴식), 이스키아 섬(열정 · 자유 · 바다)―사이를 자동차로, 기차로 부단히 오간다. 그리고 마침내 찾은 사랑의 대상인 이스키아 섬을, 마치 연인을 애무하듯이, 구석구석 빠짐없이 누비고 다닌다. 그녀에게 빌라에서 내려다보이는 “그것은 풍경이 아니라 누군가였다. 사람은 아니고, 물론 신도 아니고, 한 존재였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구체적인 얼굴”이었다. “모든 사랑에는 매혹하는 무엇이 있다. 우리의 출생 한참 후에야 습득된 언어로 지시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된 무엇이 있”는데 “그것은 행복감을 주는 정체불명의 존재 같은 것이었다. 그 존재가 어떻게 그녀를 알아보고, 안심시키고, 이해하고, 알아듣고, 인정하고, 편들고, 사랑하는지 그녀 자신도 알지 못했다.” 그저 “이 장소가 행하는 자연과의 기이한 포옹이 온몸으로 느껴졌다.” 『빌라 아말리아』는 키냐르의 관심이 인물의 심리보다 이미지(곳, 장소, 풍경, 자연)로 쏠린, 장소가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첫 소설이라 할 수 있다. 키냐르를 만나다 극도의 소극성. 거의 관조적인 성향. 하지만 외관상의 무기력함에는 특유의 활력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녀는[……] 아무에게도 복종하지 않고, 더욱이 누구에게도 명령하지 않았다. 말수도 거의 없었다. 세 대의 피아노에 둘러싸인 채, 피아노를 보호막 삼아서, 거의 눈에 띄지 않는, 칩거 수준의 삶, 비우호적이고 근면하고 음성적인 삶을 살았다. _37쪽 파스칼 키냐르에 대해 말하는 것은 어렵다. 비워두고, 다 말하지 않고, 아리송하게, 아득하게, 황홀하게 말하는, 그러나 삶의 근원을 향한 탐색을 집요하게 펼치고 있는 그의 깊은 사유와 아름다운 언어 때문만은 아니다. 욘 강변의 은신처에서 집필을 하다가, 필요한 최소한의 사회생활을 위해 이따금 파리의 집으로 오는 그의 생활방식 때문에 그의 사생활은 워낙 베일에 가려져 있다. 하지만 키냐르를 아는 독자라면 주인공 안 이덴에게서 키냐르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출간 당시 『마거진 리테레르Magazine Litteraire』에 서평을 쓴 뱅상 랑델Vincent Landel은 “플로베르가 ‘보바리 부인, 그것은 나다’라고 했다면, 이 작품의 ‘안 이덴은 바로 키냐르 그 자신이다’”라고 말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