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당대 미국 최고 시인“ ―장 주네 ”현대 유럽과 미국 양쪽에서 숭배 대상이 된 시인“ ―《인디펜던트》 “미국 하류인생의 계관시인” ―《타임》 ● 가장 성숙한 찰스 부코스키를 만난다! “위대한 시를 쓰는 것이 쉬워 보일 수 있다는 점, 이것이 부코스키의 뛰어난 재능이다.” ―《가디언》 시인이 노년에 마지막으로 출간한 대표작 『THE LAST NIGHT OF THE EARTH POEMS』이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와 『창작 수업』 두 권으로 출간되었다.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스트에 『사랑은 지옥에서 온 개』, 『위대한 작가가 되는 법』을 포함하여 찰스 부코스키의 시집이 4권 포함되게 되었다. 죽음과 시간에 대한 고민이 많이 담겨 있고, 초기 시와 달리 사색적인 색채를 더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일상에서 내뱉는 말들에 담긴 아픈 의미들을 끄집어내면서도 특유의 유머로 승화해 낸다. 노시인은 죽음 앞에서도 결코 지나온 삶을 미화하진 않는다. “하지만 나이는 /우리의 행적이다.”라면서 ‘노년’이라는 주제를 말랑하게만 다루고 있지 않다. 작가에게 죽음은 인간 보편의 경험이자 생명력에 힘을 부여하는 중요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거기 윗동네는 /진짜 멋진 /별천지. (…) 거기도 /여느 /사람들처럼 /먹고 /마시고 /죽음에 /봉사하는 게 /전부이긴 /하지만.” 그렇게 못생긴 남자가 그렇게 여자가 많은 건 처음 봐. 게다가 질투도 심해. 누가 자기 여자를 쳐다보기만 해도 주먹을 휘둘러. 그리고 술에 쩔어 헛소리를 해 대고 노래를 부르지. 그런데 이거 알아? 그 남자 시인이야. 가자고, 문병하러 주먹을 부르는 그 늙다리! ―「구경거리」,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에서 일흔의 나이에 “작가의 벽에 부딪힌” 시인은 그래도 “난 아직 /운이 좋아. /작가의 벽에 부딪혔다는 /글이라도 쓰는 게 /아예 못 쓰는 것보다는 /낫잖아.”라며 삶을 긍정한다. 왜냐하면 시인에게 글쓰기는 삶을 살게 하는 가장 큰 가치이기 때문이다. “글쓰기는 내게 /젊음의 샘 /나의 창녀 /나의 사랑 /나의 도박이었다.” ● 거장이 뒤돌아보는 작가지망생의 삶! ”술집과 홍등가의 시인이자, 과도함과 광기의 제단을 숭배하는 낭만주의적 예지자“ ―《뉴욕 타임스》 고달픈 막노동 일을 전전하다 마흔아홉 살에 전업작가가 될 수 있었던 부코스키는 오랜 세월 반복적으로 거절당하는 경험을 인내해야 했다. “배를 곯고 살 때도 /나는 출판사의 거절 통지에 개의치 않았다. /편집자들이 참 멍청하구나 /생각하고는 /계속 글을 쓰고 또 /썼다. /그래도 그렇게 행동으로 거절해 주니 /다행이라 생각했다. 최악은 텅 빈 /우편함이었다.” 오랜 무명 시절은 시인에게 삶 속으로 더 들어가는 계기이자 동시에 끊임없이 작가적 상상력을 공급받는 귀한 시간이었다. ”새파란 애송이 시절 /내 삶은 술집과 도서관으로 양분돼 있었다. /그 외에는 일상을 어떻게 꾸려 갔는지 모르겠다. /그쪽으론 별 신경을 쓰지 않았다. /책이나 술이 있으면 다른 생각은 나지 않았다. /바보들은 자신의 파라다이스를 /만드는 법이다.“ 그렇게 시인의 낮과 밤은 완전히 양분되었었다. ”술집에서는 /왈짜를 자처해 물건을 부수고 /사내들과 싸움을 벌였다.“ 하지만 ”도서관에서는 달랐다.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조용히“ 돌아다녔다. 그리고 유명한 시인이 되고 나서도 여전히 그의 낮과 밤은 완전히 달랐다. 시인은 작가지망생이 느끼는 서러운 감정들을 통쾌하게 발산하기도 한다. “문학보다 문학 평론가라는 자들이 더 좋았다. /참으로 밥맛 떨어지는 그자들은 /세련된 언어를 동원해 아름다운 방식으로 /다른 평론가와 작가를 등신 취급했고 /나는 그 덕에 기운이 났다.” 마음이 약해지거나 기대를 한 적이 있었다면 거절한 편집자를 한번 만나 보고 싶은 정도랄까. (…) 알다시피 눈에 보이는 거라고는 나를 변변찮다 말하는 종이 한 장뿐이라면 편집자를 신의 반열에 오른 존재로 생각하기 십상이다.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 배를 곯을 때는 지옥은 닫힌 문이다 가끔 문 열쇠 구멍으로 그 너머가 얼핏 보이는. 젊든 늙었든, 선량하든 악하든 작가만큼 서서히 힘겹게 죽어 가는 것은 없다. ―「지옥은 닫힌 문이다」,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에서 또 처음 컴퓨터로 시를 쓸 때의 심경을 이렇게 고백한다. “이제 나도 제대로 망조가 든 걸까? /이 기계는 나를 /술도 여자도 가난도 어쩌지 못한 나를 /끝장내려나?” 작가에게 글은 생명이다. 시인은 자신을 “위로 위로 헤엄쳐 보지만 /옆으로 /하강하는 /밤의 /지옥 물고기” 같은 존재로 느끼면서도 “함순을 생각한다. /글 쓸 시간을 벌기 위해 /자기 살을 먹었던 /그를.” 그의 글쓰기 열망은 치열하지만, 작품에서 작가로서의 삶은 서늘하게 승화된다. “가족이니 일이니 항상 방해물이 있었어. 하지만 지금은 집을 팔아 버리고 이 큰 원룸을 구했지, 보다시피 공간과 빛이 있는 방이야. 내 평생 처음 창작할 공간과 시간이 생긴 거야.” 아니야, 이 양반아. 창작 의지만 있다면 창작은 하루 열여섯 시간 탄광 일을 해도 애 셋을 데리고 단칸방에서 정부 보조금으로 살아도 몸과 마음이 일부 망가져도 눈이 멀어도 절름발이가 되어도 ―「공기와 빛과 시간과 공간」,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에서 결국 생존 작가로서 미국과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이 되었지만, 그는 “뉴올리언스의 쥐들”이 아직도 떠오른다고 한다. “작가가 되려고 인내해야 했던 것들”은 비참한 삶을 연상시킨다. 피골이 상접해 어깨뼈로 빵도 자를 정도였는데 자를 빵이 있어야 말이지…… 그 와중에도 종이에 끄적이고 또 끄적였다. ―「작가」, 『망할 놈의 예술을 한답시고』에서 ”기이하고 영웅적인 남자들의 이야기“를 쓴 잭 런던, ”음울하고 시적인 작품“을 쓴 유진 오닐 등 곳곳에서 시인이 사랑한 작가들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고통을 먹고살았던 시인의 눈에 현대 문학계에서는 ”잔디는 너무 파릇하고 책은 너무 따분하고 /삶은 목마름에 /죽어 간다.“ 작가지망생 시절의 비참한 현실을 창작으로 승화한 시들 가운데 하나가 「전당포는」이라는 시다. “어려운 시절 전당포는 나를 도와주었다. /달리 방법이 없을 때 전당포가 있어서 /얼마나 좋았는지 모른다. /검은 커튼이 쳐진 부스는 /뭔가를 포기하고 더 간절한 것을 /얻는 /신기방기한 /성소(聖所)다.” 그렇게 기나긴 고통의 시간을 통과한 시인은 시를 이렇게 정의한다. “헤아릴 수 없는 절망 불만 환멸을 겪어야 나오는 것이 한 줌의 좋은 시.”라고. ● 하류인생의 계관시인이 남긴 현대 시학! “야생마 같은 과도한 존재감을 표현하는 데 있어 한결같이 저널리즘의 무표정한 내러티브로 접근하는 방식이 바로 그의 시에 육중한 아이러니를 덧입힌다.“ ―《인디펜던트》 부코스키도 대학에서 창작 수업을 들은 적이 있지만, ”아무 쓸모가 없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단순화를 단지 정규 과정에 대한 아웃사이더의 반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