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산문답

홍대용 · History
200p
Rate
서울대 추천 ‘고전 100선’. 개혁을 꿈꾼 과학사상가 홍대용의 자연과학적 견해를 망라한 책, <의산문답>. 이 책에서 홍대용은 동양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하였으며, 우주와 자연과 세상의 이치를 밝히면서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정치적 개혁을 제안하고 있다. <개혁을 꿈꾼 과학사상가 홍대용의 의산문답>은 한문으로 된 <의산문답>을 번역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홍대용이 꿈꾼 개혁을 통해 우리 시대의 내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250여 년 전의 <의산문답>에 담긴 홍대용의 고뇌를 풀어내며, 지금 우리에게 당면한 문제가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또한 무엇보다도 기득권층의 생각과 인식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제안하고 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과학 사상가 홍대용과 18세기 조선 ◈18세기 조선사회의 변화와 실학 ◈홍대용의 생애 ◈의산문답 해제 의산문답 1. 허자, 세상을 나와 실옹을 만나다 ◈낡은 의식에서 벗어나야 세상이 보인다 2. 사람과 천지만물은 똑같은 존재이다 ◈우월적인 선택의식이 사라져야 세상이 밝아진다 3. 지구는 둥글고 쉬지 않고 돈다 ◈실제 보이는 것도 부정하면 개혁이란 없다 4. 무한한 우주에 한낱 지구가 있다 ◈헛된 것과 허망한 말은 세상을 흩트린다 5. 대자연의 법칙 속에 사람이 살아간다 ◈자연의 이치를 따를 때 세상은 변화한다 6. 내가 사는 곳이 세계의 중심이다 ◈주체적인 세계관이 우리를 바로 서게 한다 의산문답 원문

Description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 시대에 던지는 홍대용의 메시지 세월이 지나도 고전의 가치가 퇴색되지 않는 까닭은 시대를 관통하는 진리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18세기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의 대표적인 저서 ≪의산문답≫이 우리나라 대표 고전으로 꼽히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이유 역시 그 때문일 것이다. ≪의산문답≫은 홍대용의 사상을 가장 잘 알려주는 저서로, 가상인물인 허자와 실옹, 두 사람이 서로 묻고 대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허자는 당시의 전통적이고 세속적인 학문에 얽매여 있는 성리학자를 대표하고, 실옹은 청나라와 서구의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여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실학자를 대변한다. 홍대용은 동양에서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과학자의 면모가 강한 실학자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의산문답≫은 지동설을 비롯해 천체와 자연현상을 규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를 근거로 조선사회 개혁을 주장한 그의 사상을 보여준다. 이 책 ≪개혁을 꿈꾼 과학사상가 홍대용의 의산문답≫은 한문으로 된 ≪의산문답≫을 번역했으며, 나아가 해제와 설명을 덧붙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홍대용이 꿈꾼 개혁을 통해 우리시대의 내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250여 년 전의 ≪의산문답≫에 담긴 홍대용의 고뇌를 풀어내며, 지금 우리에게 당면한 문제가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또한 무엇보다도 기득권층의 생각과 인식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제안하고 있다. 개혁을 요구하는 세상과 끝없이 안주하려는 기득권층 홍대용이 살던 18세기 조선은 왜란과 호란을 겪은 지 100년도 훨씬 더 지났지만 여전히 정치.경제.사회적으로 급변하는 시기였다. 농토의 증가와 함께 이앙법의 보급으로 수확량이 늘어났으나 그 혜택은 대부분 지배계층인 양반과 소수의 자영농에게 돌아갔기에 대다수 농민들의 삶은 더욱 어려워졌다. 더욱이 이앙법의 보급은 농업에 있어서 노동력의 감소를 가져와 많은 농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농촌을 떠나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한편으로는 선조 이후 지방의 특산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대동법과 농민들의 도시 이주로 상업이 발달하였다. 하지만 정부에 특산물을 공급하던 도고의 전매로 인해 물가가 오르는 등 영세한 상인들의 어려움은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정치권은 변화하는 당시 사회의 요구를 뒤로한 채 여전히 정권다툼에 여념이 없었고, 업신여기던 만주족이 중국을 통일해 청나라를 세운 뒤에도 성리학으로 더욱 무장하며 명분 없는 중화사상에 빠져 있었다. 세상은 변화하고 있는데 당시 개혁의 주체인 기득권층인 양반 지배세력은 주자가 풀어놓은 성리학 경정의 문구나 외면서 자신들의 이권을 더욱 철저하게 다져나갔다. ≪의산문답≫에 드러난 홍대용의 개혁 6가지 키워드! 이러한 때에 대대로 벼슬을 하며 권력의 핵심이었던 노론의 가문에서 태어난 홍대용. 어려서부터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고학을 하며 자연과학에 심취하였고, 35세에는 서장관이었던 작은아버지를 따라 북경으로 가 서구와 선진문물을 경험했다. 그런 그가 당시 조선의 상황을 보며, 양심적인 지식인으로서 올바른 개혁을 위해서 진정으로 밝히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의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이러한 의문에 대해 6가지 키워드로 답하고 있다. 첫 번째로, 낡은 의식에서 벗어나라. 30년 동안 공부해 성리학으로 무장한 허자가 세상을 나와 실옹을 만났지만 호되게 질책당한다. 열심히 공부는 했지만 가식과 위선에 쌓인 허자의 언행은 그야말로 헛됨 그 자체였던 것이다. 이것은 기득권층인 양반 지배세력이 비판과 변화를 수용하지 않는 낡은 의식에서 벗어나야 세상을 바로 볼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홍대용의 개혁은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두 번째로, 스스로 우월하다고 여기는 기득권층의 선택의식과 신분제도는 사라져야 한다. 성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사람은 다른 만물보다 더 지혜로운 존재이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엄연한 서열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홍대용은 사람과 천지만물은 똑같은 존재라는 인물균(人物均) 사상을 내세우며, 기득권층의 우월적인 선택의식과 함께 신분제도가 사라져야 세상이 밝아진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로, 보이는 것도 부정해서는 개혁을 바랄 수 없다. 월식을 보고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모른다면 거울을 보고도 자기 얼굴을 분간 못 하는 것과 같다. 홍대용은 천체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면서 천재지변을 음양오행과 연관시켜 자연현상과 인간행위를 연결시킨 재이설을 부정하였는데, 이 또한 헛된 것과 허망한 말로 세상을 기만하지 말라는 진정한 충고이기도 했다. 이는 자신들의 이권을 위해 뻔한 사실도 부정하며 합리화하는 당시 기득권층의 변화를 촉구하는 것이었다. 네 번째로, 어디든 자신이 사는 세계가 정중심의 세계이다. 세상 어디든 그곳에 사는 사람에게는 그곳이 세계의 중심임을 일깨우며, 자신이 사는 곳만을 중심으로 여기지 말라고 충고한다. 나아가 지구가 우주의 중심도 아니고 무한한 우주에 한낱 점으로도 표시할 수 없다면서, 그런 지구에 사는 인간들이 부질없는 욕심에 빠져 사는 것을 비판했다. 이는 당시 양반 기득권층들이 자신들이 세상의 중심이어야 한다는 성리학적 근거를 부정하면서 그들의 끊임없는 욕심과 야욕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또 이는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본 중화사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기도 했다. 다섯 번째로, 자연의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당시 장례문화의 헛됨을 알라. 자연현상에는 그 법칙이 있듯이 자연스럽게 세상의 이치를 순응하면서 살아갈 때 올바른 변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인데, 당시 사회상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에 홍대용은 세상과 자연의 이치를 음양과 오행으로 보는 성리학적 입장을 부정함으로써, 잘못된 믿음으로부터 벗어나야 개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여섯 번째로, 중국 중심의 화이관(華夷觀)에서 벗어나라. 중국의 역사와 주변 민족의 다양한 문화를 설명하면서 중국 한족의 문화를 중심으로 보는 화이관을 부정하였는데, 이는 만주족이 청을 세운 이후 중국의 전통 유학을 조선이 이어받았다는 소중화 의식에 빠져 있는 성리학자들을 비판한 것이었다. 그는 중국과 오랑캐의 구분이 없다는 역외춘추론을 주장하며 주체적인 역사의식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주체적인 역사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물을 받아들이고 발전시켜야 부국강병을 할 수 있다는 홍대용의 간절한 의지를 말하는 것이었다. 시대가 바뀌어도 절실히 요구되는 ≪의산문답≫ 사상 오늘 우리는 우리의 세상을 살아간다. 하지만 세상은 여전히 시끌벅적하다. 연일 TV를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는 정치.경제.사회.국제 등 어지러운 우리 시대의 단상을 정신없이 내보내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국민들은 그저 조용하기만 하다. 관심을 갖고 싶어도 어쩌면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세상이 바뀌기를 기대하면서도, 그저 이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오늘도 힘겹게 살아갈 뿐이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홍대용이 의식개혁을 왜 그토록 절실히 강조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