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판 서문: 개인에게 압력을 행사하는 강력한 힘
제1판 서문: “사람들은 실수보다 고립을 더 두려워한다.”
이상한 사내, 백작과 백작부인, 그리고 마을 사람들 | 사람들은 고립되지 않기 위해 여론에 동조하거나 침묵해 버린다 | 우리는 속마음을 겉으로 드러내는 데 익숙지 않다
1 침묵의 가설
측정 기술에 비해 측정된 사실에 대한 이해는 한참 뒤떨어져 있다 | 여론의 분위기는 누가 말하고, 누가 침묵하느냐에 좌우된다 | 막판에 동조하는 사람들
2 조사 연구의 도구를 이용한 실험
“제가 그걸 어떻게 알아요?” | 새롭게 발견된 인간의 능력, 여론의 분위기를 감지하는 능력 | 열차 상황 테스트 | 두 번째 전제 조건이 확인되다: 승리를 확신하는 사람들은 목소리를 내고, 패배를 예상하는 사람들은 침묵하는 경향이 있다 | 말 많은 집단이 자기편일 때의 이점 | 시대정신과 함께 간다는 느낌이 사람들의 입을 열게 한다 | 좌파 쪽 사람들이 여론의 분위기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생각에 대한 반박 | 여론의 압력을 측정하는 새로운 절차
3 동기로 작용하는 고립에 대한 두려움
솔로몬 애시의 고전적 실험은 자신을 신뢰하는 사람이 얼마나 드문지를 보여준다 | 모방의 두 가지 동인: 학습, 그리고 고립에 대한 두려움 | 우리는 인간의 사회적 본성을 부정하는가? | 고립의 위협을 실제처럼 설정한 현장 실험 | 비흡연자 앞에서의 흡연, 사회적 고립이라는 위협 상황의 실험 | 뜻대로 안 되었던 실험 | 누구의 타이어가 난도질을 당하는가?
4 여론, 그것은 무엇인가?
여론에 대한 50가지 정의 | 여론이 만들어지고 확장되는 과정으로서의 침묵의 나선 | 독일어의 Meinung과 영어의 opinion은 다르게 이해된다 | 인식이 전제되는 합의 | public의 세 가지 의미 | 사회적 피부 | 자신을 고립시키지 않고도 공개적으로 밝힐 수 있는 의견 | 과거 속으로 들어가다: 마키아벨리, 셰익스피어, 몽테뉴 | 공적 차원의 발견자, 몽테뉴
5 여론이라는 법: 존 로크
평판과 유행,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 맞는 기준
6 정부는 여론에 의지한다: 데이비드 흄, 제임스 매디슨
인간은 겁이 많고 신중하다 | 침묵의 나선을 작동시키는 것은 명성이 아니라, 위협이다 | 혁명기에는 공적 노출을 위협으로 느끼는 민감성이 증가한다 | 1661년 글랜빌, 여론의 분위기라는 개념을 만들다 | 데카르트는 침묵의 나선을 직관적으로 이해했다
7 여론이란 용어의 첫 사용: 장 자크 루소
공개적이라는 것은 만인이 볼 수 있다는 뜻이다 | 도덕과 전통의 수호자로서의 여론 | 사회의 수호자이자, 동시에 개성의 적으로서의 여론 | 여론을 다루는 데 있어 꼭 필요한 부분으로서의 절충 | “나는 비난과 비웃음을 참는 것을 배워야만 합니다.”
8 폭정을 휘두르는 여론: 알렉시스 드 토크빌
여론의 힘을 설명하는 평등
9 사회적 통제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여론이라는 개념은 해체되다
학자와 언론인들을 위해 만든 여론이라는 개념 | 보행로의 눈을 치우게 만드는 여론 | 죽은 구성원이 사회 집단에서 떨어져 나갈 때까지
10 늑대들의 울부짖는 합창
연합행동을 위해 무르익은 분위기 | 군집행동
11 아프리카와 태평양 섬 부족들 사이에서의 여론
누구도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 바깥세상의 무기: 경멸과 조롱 | 마거릿 미드가 말하는 세 종류의 여론 | 함께 먹는 돼지고기 저녁식사 | 불명확하거나 변화하는 규칙에 대해서는 대단한 주의가 필요하다 | 개인은 힘이 없다: 발리 섬의 형식주의 | 이웃에 의한 통제
12 바스티유 감옥 습격: 여론과 군중심리
군중 속으로 들어가면 주변을 관찰할 필요성이 적어진다 | 여론을 무시하면 자발적 군중을 낳을 수도 있다 | 불안정한 군중은 여론을 반영하지 않는다
13 유행은 여론이다
개인과 집단을 이어주는 통계적 직관력 | 남자들은 왜 턱수염을 길러야 하는가? | 유행에 신경 쓰는 것은 타협의 능력을 키워준다 | 엄격한 패턴
14 형틀 씌우기
명예 형벌은 인간의 연약한 사회적 본성을 악용하는 것이다 | 뒷담화는 한 사회의 명예에 관한 규칙을 드러낸다
15 법과 여론
여론의 양극화 현상 | 변화와 현재의 경향에 대한 맹목적인 동조를 가로막는 장벽들: 두 개의 극단 | 법은 관습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 | 법을 통해서 바뀌는 여론
16 여론은 통합을 만들어 낸다
실증적 연구가 한참 뒤처져 있다 | 루돌프 스멘트의 통합주의 | 통합의 의미는 변화를 거듭한다 | 시대정신, 통합의 결실 | 사회가 위험에 처했을 때 여론의 압박은 더욱 강해진다
17 전위파, 이단자, 아웃사이더: 여론에 대한 도전
고립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들이 여론을 변화시킬 수 있다 | 선구자는 몽유병자만큼이나 대중에게 신경 쓰지 않는다 | 괴로워할 것인가, 즐길 것인가: 공적인 삶을 이끌어가는 두 가지 방식 | 음악은 언제 어떤 이유로 바뀌는가?
18 여론을 전파하는 매개체로서의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