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

김진아
164p
Where to buy
Rate
프리랜서 카피라이터이자 페미니즘 공간 '울프소셜클럽Woolf Social Club'을 운영하는 김진아가 탈혼과 유사 경력단절을 통해 경제적 위기감과 여성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절박하게 느꼈던 시간들에 대한 솔직한 고백을 담고 있는 책이다. 여성이 국가, 종교, 제도, 관습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고 독립된 자아로서 존엄 있게 존재하는 것. 저자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것, 하지만 아직 갖지 못한 것에 대해 촘촘히 이야기한다. 여성이 남성에게 빼앗긴 파이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건 무엇일까? 여성이 사회와 쉽게 단절되지 않고 존엄을 지키며 보란 듯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야망'으로 무장한 여성들이 '우먼소셜클럽'을 구축하고 '정치' 세력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페미니즘이 '파이 싸움'이라는 걸 이해하고 나면 무엇이 여성의 파이를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되는지 가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가부장제를 이탈해 매일의 곤경과 사투하며 자기만의 영역을 만들어가고 있는 한 40대 여성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젊은 페미니스트와 비혼 여성들에게 보내는 연대의 메시지다. 더불어 지금 각성한 야망 있는 10대, 20대가 최종 결정권자의 자리에 올라 여성의 관점에서 만족스러운 아이디어와 메시지를 승인하는 날이 올 때까지 아낌없는 지지를 보내겠다는 선언이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5 밖으로 나온 자기만의 방 13 야망이 여자를 살린다 21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 29 회사를 관둔 건 나의 선택이었을까? 37 포기하지 않기를 선택했다 43 무급 노동이 싫어서 49 여자에게 돈을 쓰자 57 나는 나의 세대주다 63 나의 첫 여혐 광고 69 섹스 앤 더 시티 탈출 75 초이스에서 해방되자 83 ‘두려움 없는 소녀’는 두렵지 않다 91 여성의 인맥 쌓기 97 실패로 끝난 미러링 101 그건 나의 권력이 아니었어 107 여성 대표라서 가능했다 117 단절되지 말자 127 우먼소셜클럽이 필요하다 133 정치를 합시다 145 늑대여자를 위해 151 추천의 말 160

Description

“한남동 김진아의 존재가 심적인 지지대인 이는 나뿐이 아니리라. 김진아의, 그 곁의 모든 여성들의 더 많은 쟁취를 기원한다.” ―이민경(《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잃어버린 임금을 찾아서》 저자) 우리에겐 ‘야망’과 ‘정치’가 필요하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여성들의 연대를 위하여 More Pie Less Bullshit 여성에게 더 많은 파이를! “여자라고 더 착하거나 도덕적인 존재일까? 아니다. 혹시 그렇게 느껴진다면 그건 여성이 사회적, 육체적 약자로서 권력에 더 잘 순응했기 때문이다. 여자도 얼마든지 부도덕해질 수 있다. 남자만큼 혹은 남자보다 잔인해질 수 있다. 무엇보다 페미니즘은 평화주의가 아니며 도덕성 투쟁이 아니다. 남자들에게 빼앗긴 여자 몫의 파이를 되찾는 투쟁이다. 한마디로 밥그릇 싸움이다. 먼저 이것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 내 기분 좋자고, 힐링하려고, 더 멋진 나로 꾸미려고, 더 나은 남자를 찾으려고 하는 게 페미니즘이 아니라는 사실. 자기계발이 아닌 정치의 영역이라는 사실. 페미니즘이 남성 중심 사회와 가부장제를 향한 생존 투쟁이자 해방운동이라는 기본적 합의가 이루어지면 여자들은 많은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에서(33-34쪽)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는 프리랜서 카피라이터이자 페미니즘 공간 ‘울프소셜클럽Woolf Social Club’을 운영하는 김진아가 탈혼과 유사 경력단절을 통해 경제적 위기감과 여성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절박하게 느꼈던 시간들에 대한 솔직한 고백을 담고 있는 책이다. 여성이 국가, 종교, 제도, 관습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고 독립된 자아로서 존엄 있게 존재하는 것. 저자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것, 하지만 아직 갖지 못한 것에 대해 촘촘히 이야기한다. 여성이 남성에게 빼앗긴 파이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건 무엇일까? 여성이 사회와 쉽게 단절되지 않고 존엄을 지키며 보란 듯이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야망’으로 무장한 여성들이 ‘우먼소셜클럽’을 구축하고 ‘정치’ 세력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페미니즘이 ‘파이 싸움’이라는 걸 이해하고 나면 무엇이 여성의 파이를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되는지 가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가부장제를 이탈해 매일의 곤경과 사투하며 자기만의 영역을 만들어가고 있는 한 40대 여성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젊은 페미니스트와 비혼 여성들에게 보내는 연대의 메시지다. 더불어 지금 각성한 야망 있는 10대, 20대가 최종 결정권자의 자리에 올라 여성의 관점에서 만족스러운 아이디어와 메시지를 승인하는 날이 올 때까지 아낌없는 지지를 보내겠다는 선언이다. “야망이 여자를 살린다” 야망은 누구의 것? “내가 남자였다면 나의 야망이 유난한 것이었을까? 중류층 부모의 기대와 지원을 받은 남자아이가 가질 수 있는 일반적인 수준 아니었을까? 더구나 이 정도의 야망을 가졌다고 해서 친구들을 혐오하지도 나 자신을 혐오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지금보다 더 빨리 더 높은 자리를 차지했을 건 말할 것도 없고.”―‘야망이 여자를 살린다’에서(27쪽) 대구에서 태어난 김진아는 비교적 덜 보수적이고 교육열 높은 부모님 밑에서 자랐지만, 어렸을 때부터 남달랐던 자신의 야망의 크기 때문에 자주 내적갈등을 겪었다. 그 갈등은 스스로에게 이렇게까지 묻게 되었다. ‘나는 왜 이렇게 여성적이지 못할까?’ ‘내가 정신적 남자가 아닐까?’ 하지만 이제야 깨닫는다. 소녀들은 야망을 키우고 드러내게끔 키워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남자아이들이 부모의 응원을 받으며 과장된 만능감을 키워가는 동안 소녀들은 착하고 무해한 존재여야 한다는 것을. 그것이 가부장제가 잘 굴러가는 데 필요한 여성성이라는 것을. 김진아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여자들에게 ‘야망’이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힘주어 말한다. 야망은 이제 여자의 몫이다. “여성에게 정치야말로 선택 아닌 필수” 남성에게 과도하게 쏠린 힘의 균형을 바로 잡자 “여성 연대를 이루는 것은 여성 서사를 소비하는 것만큼이나 훈련과 실전이 필요한 일이며 내일로 미룰 수 없는 오늘의 과제다. 새로운 일, 큰일, 돈 되는 일을 위해, 해방, 공존, 존엄을 위해 우린 반드시 ‘코넥팅’ 되어야 한다.” ―‘우먼소셜클럽이 필요하다’에서(143쪽) 김진아는 남성들이 자신들의 이익이 걸린 순간에 얼마나 똘똘 뭉쳐 그들만의 리그를 지켜내는지에 대해 자주 이야기한다. ‘보이즈클럽’은 중요한 승진, 자리 기용처럼 그들의 이익과 직결된 순간에 실체를 드러낸다. 김진아는 ‘보이즈클럽’에 맞서는 데 ‘우먼소셜클럽’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다고 말한다. 여성의 취약점이 더 이상은 인맥 쌓기, 네트워킹이 되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뛰어난 능력자라도 혼자 힘으론 불가능하다. 자의식 강하고 독립적인 여성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 활동을 안정적으로 이어가는 것이다. 김진아는 고립은 가장 치명적이라고 말하며, 나의 이익과 생존을 위해 장기적, 전략적으로 자기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여성에게 정치야말로 선택 아닌 필수. 페미니즘 리부트를 관통하며 여성으로서의 자기 인식과 연대감을 쌓아가고 있는 10대, 20대 여성들에게 특히 요구되는 감각이다. 서로가 서로의 편이 되어주는 여성 정치가 가능한 세대이기 때문이다. “여성 스스로가 각자 서 있는 자리에서 견제 세력이 되어야 한다. 혼자는 위협적이지 않다. 라인을 만들고 세력을 키우자.” 가부장제 중독을 끊어내기 위한 혹독한 각성과 재활의 시간 한국 사회에서 페미니스트 비혼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모든 소수자와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며 남녀를 떠나 공정한 판단을 하는 ‘멋진 나’에 취했던 때가 있다. MTV, 온스타일, 넷플릭스로 이어지는 미국 팝컬처를 먹고 자란 사람이라면 빠지기 쉬운 백인 중산층 리버럴 판타지다. 아마 탈혼과 유사 경력단절을 통해 경제적 위기감과 여성으로서의 자기 인식을 절박하게 느끼지 않았더라면 지금도 ‘멋진 나’ 캐릭터에 골몰했을 수 있다. 페미니스트랍시고 그런 헛소리를 책으로 내지 않을 수 있어 다행이다. 대신 과거의 헛발질에 대해 솔직하게 고백, 반성하는 기성세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들어가며’에서(8쪽) 서울 한남동에 있는 ‘울프소셜클럽’은 저자 김진아가 2017년 여름 문을 연 카페다. 버지니아 울프에서 이름을 따온 이 공간을 김진아는 ‘밖으로 나온 자기만의 방’으로 정의한다. 울프의 《자기만의 방》이 세상에 나온 지 90년이 지난 지금도 여성들은 자기만의 방을 갖기 위한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 김진아는 이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여성들이 싸움을 계속할 힘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울프소셜클럽은 단순히 카페로서 기능하기를 넘어 여성들이 모여 사회 이슈에 대해 토론을 벌이고, 다양한 분야의 여성 프리랜서들이 모여 서로 네트워킹을 다지며 임파워링하는 공간이다. 김진아는 울프소셜클럽의 문을 열기 전까지 자신이 오랫동안 〈섹스 앤 더 시티〉의 시민으로 살았음을 고백한다.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진 후에도 골드미스, 알파걸, 파워 컨슈머로서 “아름답고 유능하고 주체적인 썅년” 놀이에서 빠져나오지 못했고, “남자들이 욕망하는 페미니스트”야말로 더 진보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 미용실, 피부과, 다이어트, 쇼핑, 유흥에 많은 돈을 쏟아부었다. 정신이 든 건 40대에 접어들어 노골적인 성적 대상화 범주에서 한발 벗어나고, 탈혼과 유사 경력단절로 인해 남성 연대의 공고한 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