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장. 행동경제학이 도대체 뭐야?: 심리학+경제학 행동경제학의 정의 | 행동경제학의 역사 | 주류경제학에 대한 비판 | '생각'에 대한 생각 | 행동재무학 | 노벨경제학상 | 행동경제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2장. 사람들은 대충 직감으로 신속하게 판단한다: 휴리스틱과 편향 이용가능성 편향 | 언론과 이용가능성 편향 | 대표성 편향 | 감정 휴리스틱 | 후회회피 편향 | 확증편향 | 필터버블 | 인공지능 | 드레퓌스 사건 | 보수주의 편향 | 관성 | 앵커 효과 3장. 확실한 이득은 취하되 확실한 손실은 피한다: 전망이론 전망이론과 기대효용이론 | 확실성 효과와 손실회피 | 손실회피 | 손실회피와 후회회피 | 지불의 고통 | 보유 효과 | 어린 왕자와 장미꽃 | 고립 효과 | 고립 효과와 전망이론 | 가치함수 | 준거점이 투자와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4장.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풍경이 바뀐다: 프레이밍 효과 프레임과 프레이밍 효과 | 초원복국 사건 | 복지정책을 둘러싼 프레임 전쟁 | 낙태를 바라보는 두 개의 프레임 | 인종차별 프레임의 변화 | 현대미술의 이해 | 프레이밍 효과와 전망이론 | 아시아 질병 문제 | 디폴트값 효과 | 퇴직연금과 디폴트옵션 |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 시간의 프레임과 경제적 가치 판단 | 강대국의 내로남불 | 서는 데가 바뀌면 풍경도 달라지는 거야 | 카인과 아벨 | 기후변화 | 노동시간 감축 | 매몰비용 | 화폐착각 | 공정성 5장. 엄마는 왜 노점상에게 콩나물을 살 때 값을 깎으려고 할까?: 심리적 회계 심리적 회계의 정의 | 기말고사 문제 | 소비자 행동 | 자기통제 | 처분 효과 6장. 사람들은 과연 자신의 선택에 얼마나 확신을 갖고 있을까?: 자신감과 군중심리 자신감 | 과신편향 | 과신편향과 통제편향 | 과신편향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 | 사기꾼 증후군 | 똑똑한 여성들의 사기꾼 증후군 | 오즈의 마법사 | 메타인지 | 군중심리 | 3의 법칙 | 선덜랜드 마라톤 | 네트워크 효과 | 밴드왜건 효과 | 스놉 효과 | 넛지 마케팅 | 베블런 효과 | 크라우드소싱과 집단지성 7장. 행동경제학의 사촌들이 있다: 게임이론과 점증모형 게임이론의 정의 | 용의자의 딜레마 게임 | 사슴사냥 게임 | 상대적 이득 | 정책결정모형 | 주류경제학과 합리모형 | 행동경제학과 점증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