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金文 硏究 1 I 天亡? (大???毛公聃季??朕?)연구 3 一 ≪天亡?≫의 銘文 考釋 3 一) 釋文과 내용해석 3 二) 銘文 考釋 7 二 ≪天亡?≫의 器名과 斷代 연구 32 一) 器名 34 二) 斷代 43 Ⅱ 陝西省 眉縣 楊家村에서 출토된 靑銅器(2003年) 銘文 考釋 61 一 ≪?盤≫의 銘文 考釋 64 一) 釋文과 내용 해석 65 二) 銘文 考釋 68 二 ≪鼎≫(≪42年鼎·乙≫) 103 一) 釋文과 내용 해석 104 二) 銘文 考釋 108 三 ≪鼎≫(≪43年鼎?辛≫) 120 一) 釋文과 내용 해석 122 二) 銘文 考釋 125 Ⅲ ≪克?≫?≪克?≫의 考釋 133 一 釋文과 해석 136 二 문헌적 가치와 器主 136 一) 문헌학적 가치 136 二) 器主 140 三 銘文 考釋 146 Ⅳ ≪公?≫의 銘文 考釋 167 一 釋文과 해석 170 一) 釋文 170 二) 내용해석 170 二 銘文 考釋 171 Ⅴ ≪史密?≫의 銘文 考釋과 연구 183 一 釋文과 해석 184 一) 釋文 184 二) 내용해석과 설명 186 二 出土와 斷代 연구 187 一) 出土 187 二) 斷代 189 三 ≪史密?≫의 銘文 考釋과 연구 197 一) 族名 혹은 地名에 대한 銘文 198 二) 銘文에 대한 再考 203 주요 참고문헌 235 제2장 石鼓文과 漢代 碑刻 연구 243 I 石鼓文 연구: 吳昌碩 石鼓文 臨寫本의 誤字와 文字變形 연구 245 一 誤字 250 二 字形變形 255 주요 참고문헌 265 II 漢代 碑刻 연구: ≪三老諱字忌日記≫ 연구 269 一 ≪三老諱字忌日記≫ 考釋 269 一) 釋文과 내용 270 二) 碑文 考釋 272 二 ≪三老諱字忌日記≫와 ≪八瓊室金石補正≫의 摹寫本 字形 연구 283 一) 연구방법과 목적 283 二) ≪三老諱字忌日記≫와 ≪八瓊室金石補正≫ 285 1) ≪三老諱字忌日記≫ 285 2) ≪八瓊室金石補正≫ 287 三) 陸增祥 ≪八瓊室金石補正≫의 摹寫本과 원 자형 비교 289 1) 석문(釋文)을 달리하는 경우 289 2) 필획을 정확하게 모사(摹寫)하지 않은 경우 292 3)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295 4) 잘못 모사(摹寫)한 경우 295 주요 참고문헌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