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미술 50년

이구열
335p
Where to buy
content
Rate
Comment
More

1945년 이후의 북한 미술 개설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지향하며 '조선화'라는 회화 양식을 기본으로 삼아 발전해온 북한의 미술을 100여 컷의 사진 도판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다양한 북한 원전 자료들을 토대로 북한의 사회주의 미술정책, 미술가와 미술 조직, 주체미술 창조의 절대적 지침이 된 김일성의 교시, 김정일의 주체 사실주의 지도사업 등을 총정리했고, 각 시대별 대표 작품과 창작 경향을 살펴보았다. 김용준, 김주경, 길진섭 등 월북 작가들의 작품을 비롯해 정종여, 정영만, 김의관, 정창모 등 북한을 대표하는 인민예술가와 공훈예술가의 작품들이 소개되어 있다. 근대 미술의 전통을 엿볼 수 있는 작품에서부터 철저하게 북한의 미술정책에 복무하는 김일성 형상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작품들을 다룬다. 부록으로 수록된 '북한 미술가 소사전'과 '북한 미술 용어 해설', '북한 미술 연표' 등도 뛰어난 가치를 지닌 자료들이다. 특히 지은이가 10년 넘게 조사한 결과물인 북한 미술가 소사전에는 500여 명 미술가의 생몰 연대와 출생지, 학력, 활동 사항, 주요 작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정리되어 있다. 용어 해설에서는 '미술', '회화' 등 넓은 개념어들과 외국의 문학예술 사조에 대한 북한의 독특한 관점 을 엿볼 수도 있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북한의 사회주의 미술정책 -혁명과 인민의 미술 제2장 북한의 미술가와 미술계의 조직 1. 조선미술가동맹 2. 조선사진가동맹 3. 미술창작사 4. 미술전람회 5. 미술가 양성 6. 인민예술가, 공훈예술가 제3장 북한 미술 50년의 흐름 1. 해방 직후 -사회주의 지향 2. 1950년대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 3. 1960년대 -천리마 시대의 집체 창작과 기념비 미술 4. 1970년대 -조선화 중심의 주체미술 전성기 5. 1980년대 -주체미술의 지속적 구현 6. 1990년대 -새로운 주체 사실주의 추구 제4장 주체미술의 논리와 작품 1. 주체사상과 주체예술, 주체미술 2. 김일성의 주체미술 교시 -조선화를 기본으로 3. 주체미술의 시원 -항일혁명미술 4. 주체미술의 기본 원칙과 주체 사실주의 5. 주체미술의 핵심 -수령의 형상 6. 수령 형상의 대표 작품 7. 당의 주체미술 지도 제5장 김정일의 주체 사실주의 지도 1. 수령의 대를 이어 2. 미술에 대한 남다른 관심 3. 주체미술 사업의 강력한 추진 4. 미술 인재 양성과 특정 작품의 지도 5. <김정일 미술론>과 <김정일 건축예술론> 부록 1. 북한 미술가 소사전 2. 북한 미술 용어 해설 3. 북한 미술 연표 1945~2000 저자 후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