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한국 시각에서 풀어낸 세계정치의 역사, 이론, 쟁점 2012년 개정증보판 출간 [내용] 안보, 경제, 환경 에너지 등 현대 세계정치의 최신 흐름을 충실히 반영한 개정판 한국은 해방 이후 냉전기까지 세계정치 무대의 ‘객체’ 입장에 머물러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향상된 국력에 기반하여 다양한 쟁점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한국을 둘러싼 세계정치의 양상을 한국의 시각에서 정리할 필요성도 그만큼 절실해졌다. 21세기 세계정치의 기본문제와 현안과제들을 좁은 국제정치가 아닌 넓은 세계정치의 시각에서 다루되, 지구화의 세계사적 의미를 한국의 시각에서 고민하려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수년에 걸친 토론과 집필 끝에 완성한 이 책은,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주요 쟁점들을 동아시아, 나아가 한국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제2판은 제1판의 주제별 전개 방식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을 대폭 보강하였다. 과거는 물론 미래에 가장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질 안보 문제와 경제 문제는 각각 두 장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특히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환을 깊이 논의하기 위해서 주요 의제를 무역, 생산, 개발 원조, 금융통화 등으로 구분해서 기술하였다. 현대 세계정치에서 주요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환경 및 에너지 국제정치의 변환을 다루기 위한 장을 새로이 추가하였다. 각 장에서 사용한 각종 사건과 자료들도 최근의 정보로 수정하였다. 국제정치학에 입문하는 학생은 물론 새 관점에서 세계정치를 바라보려는 연구자에게도 충실한 길잡이가 될 한국형 표준 교과서 세계정치 무대를 지구-동아시아-한국의 복합 공간으로 구성하고 있는 이 책은 애초에는 국제정치학을 처음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하지만 이 책이 다루는 내용은 역사, 이론, 쟁점 등 모든 영역에 걸쳐 매우 포괄적이고 전문적이어서 새로운 시각에서 국제정치학을 좀 더 깊이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물론 국제정치학을 가르치는 사람들도 긴요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서장과 총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장에서는 한국 국제정치학의 연구 목적과 대상, 인식 방법, 실천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어 제1부에서는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의 만남을 근대, 냉전, 현대로 나누어 다루고 있고, 제2부에서는 서구의 국제정치이론이 일반 이론으로 진화해 온 배경과 동아시아 지역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며 수용되어 왔는지를 기술한다. 제3부에서는 안보, 무역, 금융, 정보화, 환경, 에너지 등 오늘날 세계정치의 주요 의제들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