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6대의 위업을 물려받아 천하통일을 계획하다
1. 기초 _ 아무리 좋은 패라도 고수가 쥐어야 승리를 점칠 수 있다
2. 기반마련 _ 대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근거지를 탄탄히 하는 것이 우선이다
3. 사회개혁 _ 상앙의 변법을 시행해 패업의 기초를 다지다
4. 정책수립 _ 원교근공책을 통일국책으로 삼다
5. 수리사업 _ 수리사업으로 만세에 빛나는 공을 세우다
6. 인재활용 _ 한 명의 인재가 천하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다
7. 기회포착 _ 기회를 놓치지 않고 대권을 장악하다
2장. 천하통일, 인재경영을 기본으로 하다
1. 패권의 전제조건, 용인술
2. 인재의 재능만을 따질 뿐 출신을 묻지 않는다
3. 각자의 특기에 알맞게 인재를 활용하다
4. 인재를 알아보는 눈을 기르다
5. 인재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6. 능력과 지혜로 인재를 평가하다
7. 마음을 비우고 간언을 받아들이다
8. 인재의 능력에 맞는 상을 내리다
9. 인재의 능력을 믿고 맡기다
3장. 웅재대략으로 천하통일을 이루다
1. 통일의 기반을 다지다
2. 한나라 멸망 _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다
3. 조나라 멸망 _ 친이이지로 이목을 제거하다
4. 연나라 멸망 _ 형가의 실패
5. 위나라 멸망 _ 대량을 물바다로 만들다
6. 초나라 멸망 _ 전국의 군사를 동원하다
7. 제나라 멸망 _ 자멸의 길을 걷다
4장. 천추의 패업을 이룩하다
1. 천하통일을 공식적으로 알리다
2. 사전에 반정권 세력에 조치를 취하다
3. 군현제를 세워 방대한 제국을 건설하다
4. 모든 대소사의 결정권을 한손에 쥐다
5. 대규모 도로공사로 전국을 종횡하다
6. 문자와 화폐의 통일로 중화민족을 결집시키다
7. 장성을 쌓아 흉노를 방비하다
8. 봉선의식을 행하고 각석을 새기다
9. 재앙을 막기 위해 천하순유를 시작하다
5장. 군권신수설로 패권의 위엄을 수립하다
1. 무리한 황제의 신격화
2. '황제'의 칭호를 정하여 제왕의 권위를 수립하다
3. 공덕을 찬양하는 각석을 새기다
4. 분서갱유와 우민정책
5. 백성들의 피와 땀, 아방궁 건설
6장. 내부분열로 진 2세를 끝으로 멸망하다
1. 진시황, 자객을 만나다
2. 진나라 멸망의 세 가지 주요 원인
3. 천고의 제업이 덧없이 무너지다
7장. 진시황 패도 경영의 26가지 비결
1. 패술로 난세를 다스리다
2. 군주전권체제를 시행하다
3. 붕당을 척결하다
4. 측근을 믿지 않는다
5. 군주가 현명하면 간신이 날뛰지 못한다
6. 친한 자를 멀리하고 원수를 가까이하다
7. 스스로 부국강병을 이루어 역량을 키우다
8. 법.술.세 삼위일체의 제왕술
9. 단독으로 권력을 행사하다
10. 신하의 인성을 파악해 나라를 다스리다
11. 군주는 본심을 드러내지 않는다
12. 웅재대략을 갖추다
13. 군주집권의 명분을 바로하다
14. 명분과 실제를 모두 만족시키다
15. 법을 세우고 따르다
16. 군왕십계에 충실하다
17. 신용을 지키다
18. 충신과 간신을 구별하다
19. 군주와 신하의 구분을 엄격히 하다
20. 금간을 치국의 대사로 삼다
21. 인치가 아닌 법치를 시행하다
22. 상벌대권을 장악하다
23. 법술로 권신을 제압하다
24. 천하를 움직이려면 천심을 움직여야 한다
25. 공업을 위해 대권을 장악하다
26. 진실로 민심을 얻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