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관음'에 있어선 가히 히치콕 부럽지 않은 드 팔마. (※ 스포주의) 흔히 비유되듯 영화 역시 일종의 관음일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관객은 시선의 주체이면서도 그저 대상이 되는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제이크 역시 시선의 주체가 되는 우위를 점하고 있음에도 사건 앞에서 한없이 무력하다. 그가 보는 것과 믿는 것은 끝내 허구적인, 잘 짜여진 각본의 술수에 불과했다. 한편 제이크의 직업이 본래 시선의 객체가 되는 배우라는 점도 흥미롭다. 제이크의 시선을 따라 움직이는 관객은 그와 함께 보이는 게 거짓으로 드러나는 사건, 즉 누군가 의도적으로 세팅한 사건을 접한다. 뿐만 아니라 (반전을 내포한 이야기나 후반부의 촬영장 교차 장면처럼) 영화는 언제든 바뀔 수 있는, 관객의 믿음을 배반할 수 있는 허구임을 스스로 말한다. 이에 엔딩의 바디 더블 장면은 마치 관객에게 영화란 철저히 선택되고 조작된 결과물일 뿐이라는 사실을 재차 상기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요컨대 <침실의 표적>은 시선의 주체-객체의 관계가 결코 일방적이지만은 않은, 관객과 영화 간의 오묘한 권력 관계를 말하는 메타 영화일 테다. 이는 필시 <이창>을 모방한 알레고리지만, 단지 모방으로 치부되기엔 아쉬운 드 팔마의 매력이 한껏 묻어난다. 그렇지 않아도 <시스터스>나 <드레스드 투 킬>에서도 '보는' 행위의 무력함, 허구성이 역력했는데, 아무래도 드 팔마는 관음을 다루는 데 있어서 만큼은 가히 히치콕 부럽지 않을 정도로 자신만만해 보인다.
27 likes0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