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미증유의 시대, 미증유의 세대 1부 우리가 생각하는 미덕 1. 삶: 다시 쓰는 ‘요즘 젊은이’ 새벽에 일어나 종이 신문을 봅니다 | 박정희식 ‘근면성실’과 MZ세대의 ‘미라클 모닝’ 2. 소비: 모든 종류의 낭비를 거부한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프리사이클링 | 내가 펑펑 쓰는 것, 더 이상 쓰지 않는 것 | 공평한 건 ‘시간’밖에 없어서 3. 환경: 흔적 남기지 않고 살다 죽기 생활 속 제로웨이스트 | ‘오프라인 장 보기’의 미덕 4. 생활: 새벽에 명상하고 아침엔 주식투자 스머지 스틱의 연기가 남기는 것들 | 더 이상 저축을 하지 않는 이유 2부 자본주의 키즈들의 생존 방식 5. 경제: 자본주의 키즈의 반反자본주의 스물아홉 살, 서울 아파트 구매기 | ‘어른답지 않은 어른’에게 조용히 복수하는 법 6. 투자: 인플레이션의 역습 저금리와 레버리지라는 무기 | ‘경제적 자유’라는 정언명령 | 누군가의 위기, 누군가의 기회 7. 돈: 자존의 무기가 되어버린 돈 ‘시발 비용’에서 ‘금융 치료’로 | 자본주의적 연대, 자본주의적 행동 3부 새로운 성공 서사 8. 일터: 재택근무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코로나가 알게 한 것들 9. 직업: ‘부캐’가 보험이 된 세상 누구도 노동에서 소외되고 싶지 않다 | 부캐, 나를 숨 쉬게 하는 탈출구 | 이왕이면 행복한 노비가 되자 10. 배움: 닥치는 대로 배운다, 배움폭식러 “왜 젊은 여자에겐 못 배우나요?” | 어른다운 어른을 보고 싶다 | 배울 점이 있으면 모두 다 선생님 11. 자기계발: 참을 수 없는 ‘자기계발’의 납작함 닦달하는 동기부여의 쇠락 | 새로운 자기계발 서사가 필요하다 4부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요즘 애들 12. 동물: 도둑고양이가 아니라 ‘코숏’입니다 모두 ‘있는 그대로’ 존재하기 13. 관계: 1+1=1의 관계 취미와 취향에 돈을 쓰는 이유 | 코로나와 관계 다이어트 | 사랑도 상장폐지가 되나요? 14. 페미니즘: 페미니즘이 어때서? ‘잠재적 피해자’로 산다는 것 | 페미니즘, 자신을 성찰하는 언어 | 남녀 모두를 자유롭게 하는 생각 | 페미니스트는 어디에나 있다 15. 세계관: 주어 아닌 주체로 산다 세상은 모르겠고 일상이나 지킬게요 | 진보냐 보수냐, 그것이 문제로다 마무리하며 세대라는 불완전한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