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버 드림

사만타 슈웨블린 · Novel
184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2(97)
Rate
3.2
Average Rating
(97)
2017년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종후보에 오르고 셜리잭슨상 중편 부문을 수상한 아르헨티나 작가 사만타 슈웨블린의 대표작이자 국내 첫 출간작. 환경재앙을 섬뜩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그려낸 이 작품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기후재난과 새로운 인수공통감염병 창궐이라는 위기에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올 것이다. 소설은 시골 병원 침대에 누워 죽어가는 젊은 도시 여인 아만다와 이 마을 소년 다비드의 대화로만 전개된다. 아만다는 바쁜 남편을 도시에 두고 먼저 어린 딸 니나와 함께 시골로 휴가를 보내러 왔다가 빌린 별장과 이웃한 집에 사는 여인 카를라를 만나 가까워진다. 어쩐지 시골 풍경과 이질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카를라는 어느날 아만다에게 기묘하고 섬뜩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자신의 아들 다비드가 6년 전 원인 모를 병에 걸려 죽어가다 마을의 ‘녹색 집 여인’에게 어떤 치료를 받았고, 그뒤로 ‘괴물’이 되었다는 이야기다. 카를라의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혼란에 빠진 아만다는 이곳에 머무는 내내 딸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구조 거리’를 유지하려 더욱 강박적으로 애쓴다. 하지만 결국 딸과 떨어지게 되고, 자신 또한 무언가에 중독되어 죽어간다. 아만다와 다비드가 나누는 대화의 중심은 서로 다른 두개의 질문이다. 다비드의 ‘벌레(병의 원인)는 정확히 언제 생겨났는가?’ 그리고 아만다의 ‘니나는 어디에 있는가?’. 아만다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고 두 사람은 서로 알고 싶어하는 것이 다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2(97)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8

Table of Contents

피버 드림 옮긴이의 말

Description

동시대 라틴아메리카 문학의 가장 빛나는 별 사만타 슈웨블린의 대표작 국내 첫 출간! 고요하게 숨통을 조여오는 뉘앙스의 공포 ‘사만타 슈웨블린’이라는 장르의 탄생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름” 편혜영 추천! ★ 2021 공개 예정 넷플릭스 영화 원작 소설 ★ 2017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종후보, 셜리잭슨상 중편 부문 수상 “현재 스페인어권 동세대 작가들 중 단연 돋보이는 작가” ―『뉴욕 타임스』 “사만타 슈웨블린은 당신에게 상처를 입힐 것이다, 당신이 얼마나 안전하다고 느끼건 간에.” ―제시 볼(소설가‧시인, 『센서스』 작가) 2017년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종후보에 오르고 셜리잭슨상 중편 부문을 수상한 아르헨티나 작가 사만타 슈웨블린의 대표작이자 국내 첫 출간작 『피버 드림』이 ㈜창비에서 나왔다. 『피버 드림』은 베를린 영화제 금곰상 수상자인 페루 감독 클라우디아 요사에 의해 영화로도 제작되어 올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사만타 슈웨블린이 직접 각색에도 참여했다. 사만타 슈웨블린은 우리에게는 아직 낯선 이름이지만, 『피버 드림』 외에도 소설집 『입속의 새』와 장편 『켄투키』(영어판 『작은 눈들』)가 2019년과 2020년 이례적으로 2년 연속해서 인터내셔널 부커상 후보에 오르는 등 주요 작품 세권이 모두 영어로 번역되어 인터내셔널 부커상 후보에 오를 만큼 세계적인 젊은 거장으로 인정받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대표 작가이다. 슈웨블린과 같은 해에 셜리잭슨상 장편 부문을 수상했던 소설가 편혜영은 추천사를 통해 『피버 드림』이 “이야기의 새로움이 발생하는 지점을 정확히 포착한 소설”이라면서 사만타 슈웨블린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름이 되었다”고 평했다. 2010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바르가스 요사는 슈웨블린을 가리켜 “현대문학의 가장 유망한 목소리 가운데 하나”라고 했으며, 『뉴욕 타임스』는 “현재 스페인어권 동세대 작가들 중 단연 돋보이는 작가”라고 평가했다. 환경재앙을 섬뜩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그려낸 이 직품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기후재난과 새로운 인수공통감염병 창궐이라는 위기에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올 것이다. 시골에 휴가를 보내러 온 모녀가 마주한 악몽 같은 현실 이 마을에선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소설은 시골 병원 침대에 누워 죽어가는 젊은 도시 여인 아만다와 이 마을 소년 다비드의 대화로만 전개된다. 아만다가 이곳에 누워 있기까지 벌어진 일을 하나하나 되짚어가는 대화 속에서 서서히 드러나는 사실은 이렇다. 아만다는 바쁜 남편을 도시에 두고 먼저 어린 딸 니나와 함께 시골로 휴가를 보내러 왔다가 빌린 별장과 이웃한 집에 사는 여인 카를라를 만나 가까워진다. 어쩐지 시골 풍경과 이질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카를라는 어느날 아만다에게 기묘하고 섬뜩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자신의 아들 다비드가 6년 전 원인 모를 병에 걸려 죽어가다 마을의 ‘녹색 집 여인’에게 어떤 치료를 받았고, 그뒤로 ‘괴물’이 되었다는 이야기다. 카를라의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혼란에 빠진 아만다는 이곳에 머무는 내내 딸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구조 거리’를 유지하려 더욱 강박적으로 애쓴다. 하지만 결국 딸과 떨어지게 되고, 자신 또한 무언가에 중독되어 죽어간다. 아만다와 다비드가 나누는 대화의 중심은 서로 다른 두개의 질문이다. 다비드의 ‘벌레(병의 원인)는 정확히 언제 생겨났는가?’ 그리고 아만다의 ‘니나는 어디에 있는가?’. 아만다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고 두 사람은 서로 알고 싶어하는 것이 다르다. 두 사람의 대화로만 서스펜스를 자아내는 독특한 형식 ‘사만타 슈웨블린’이라는 장르의 탄생 이 작품의 핵심이자 천재적인 면은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하느냐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비극이라는 주제는 단순하고, 대단한 추리를 요하는 복잡한 사건이 등장하는 것도 아니다. 소설 속의 “수도”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임을 짐작할 수는 있지만 구체적인 지명은 제시되지 않고 마치 우화처럼 “도시” “시골”로만 불리며, 시간 배경도 ‘현대’라고 추정될 뿐 모호하다. 그러나 서로 원하는 답이 다른 두 사람이 대화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해 벌이는 신경전의 팽팽한 긴장감이 스멀스멀 불안을 자아내며 숨통을 조여오는, 대단히 독특하고 매력적인 ‘뉘앙스의 공포‧서스펜스 소설’이라 할 만하다. 사만타 슈웨블린은 라틴아메리카의 ‘마술적 리얼리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형식과 감성을 더해 자신만의 장르를 창조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뉴요커』의 서평가 지아 톨렌티노는 “새벽에 이 책을 손에 쥐고 읽는 동안 낮고 메스꺼운 스릴이 덮쳐왔다”면서 “고도의 수수께끼 같으면서도 고도로 통제된 설계로 인해 완전히 새로운 장르에 속하는 소설처럼 느껴진다”고 평했다. 호흡이 짧은 이야기를 간결하고 핵심을 담은 문장으로 속도감 있게 전개하기 위해 슈웨블린은 초고를 열두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피버 드림』뿐만 아니라 슈웨블린의 작품 전반을 관통하는 일관적인 정서는 ‘두려움’(miedo)이다. 상실에 대한 두려움, 고독에 대한 불안, 고통에 대한 공포, 소통의 부재에 대한 두려움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된다. 가족 구성원, 특히 부모와 자식 간에 느끼는 두려움 또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그 이유를 슈웨블린은 이렇게 설명한다. “가족은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환경이다. 그래서 기묘한 것, 비정상적인 것, 위험한 것이 우리의 가장 작은 사회적 단위인 가족을 덮칠 때 모든 것이 훨씬 더 무시무시해진다.” 두려움이 작품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슈웨블린이 공포야말로 인간 내면의 깊은 곳에 내재한 가장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감정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인간이 망쳐놓은 환경의 역습 기후재난과 팬데믹의 시대에 더욱 섬뜩하게 다가오는 공포 슈웨블린의 공포가 더욱 서늘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의 소설이 현실의 문제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슈웨블린은 아르헨티나의 무분별한 농약 살포와 그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아르헨티나는 소가 사람보다 많은 목축업 국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세계적인 농업 대국이기도 하다. 특히 대두(大豆)의 경우 생산량이 브라질, 미국에 이어 세계 3위이며, 그중 90퍼센트 이상이 유전자 변형‧조작(GMO) 제품이다. 대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농약이 오랜 기간 무분별하게 살포되어온데다 1996년부터 농약에 내성이 있는 유전자 변형·조작 콩을 생산하면서 농약 남용의 부작용이 속출했다. 2013년 우리나라 일간지에도 ‘아르헨티나 다섯살 ‘점박이’ 소녀 논란, GMO 때문?’이라는 제목으로 관련 사실이 소개되기도 했다. “여기서 환상은 우리가 무섭게, 또한 진실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현실을 확장한 것일 뿐이다. 뇌리에 각인되는 이미지와 중대한 질문으로 가득하다”라는 『뉴욕 타임스』의 평처럼, 현재 인류가 직면한 기후재난과 새로운 인수공통감염병 창궐이라는 위기에 이 소설은 더욱 의미심장하게 다가올 것이다.

Collections

11

Similar Ti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