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열며 1 세균설・인종주의・강제격리 노르웨이 그리고 ‘유전병’에서 ‘전염병’으로 | 식민지의 한센병 | 인종주의와 과학의 결합 | 전 세계에서 가장 혹독한 강제격리국, 일본 | 조선에 들어선 소록도자혜의원 2 식민지 조선과 한센병 늘어나는 부랑 한센병 환자 | 목숨을 끊고 버림받으며 | 살해당하는 여성들 | 문명국의 장애물, 도시의 방해물 3 생존과 치료를 향해 대풍자유의 등장 | 완치와 불치 | 살아남기 위한 조직화 | 나를 소록도로 보내주시오 4 소록도, 절멸의 수용소 죽어서도 나올 수 없는 곳 | 강제노동 속으로 | 죽음의 섬 | 단종수술과 낙태수술 | 스오 마사스에 그리고 이춘상 5 해방된 조국, 해방되지 못한 사람들 84인 학살사건 | 처치해야 할 ‘문둥이’ | 넘쳐나는 환자와 미군정의 개입 | 전국으로 확대된 한센병 수용소 | 「전염병예방법」의 제정과 한센병 정책 6 개혁과 반동의 시간 소록도의 르네상스 | 다시 식민지로 | 저항하는 환자들 | 단종과 낙태의 부활 7 죽여도 되는, 죽여야 하는 재정 부족과 모금운동 | 한센병 환자 마을의 등장 | 민족적 수치와 학살 8 강제격리 폐지라는 희망 신약의 개발과 도입 | 완치되는 질병 | 국제사회의 반격리주의 부상 | 국제기구의 개입 9 다양해진 강제격리 「전염병예방법」 개정에 대한 오해 | 떠나는 사람과 남는 사람 | 치료에서 장애 예방 및 재활로 | 격리시설 속 격리시설 | 실험대상이 되는 어린이들 10 음성나환자촌 완치의 의미 | 닭과 돼지를 키우며 모여 사는 사람들 | 한센병을 둘러싼 생명정치 | 벗어날 수 없는 ‘환자’의 굴레 | 음성나환자 단체 설립 11 치료를 향한 전 세계의 노력 유존균과 약제내성균 | 한국의 치료법 발전과 MDT 도입 | 급격하게 줄어든 환자들 12 지금 한센인은 어디에 있는가? 사라지지 않는 낙인과 차별 | 공론화된 한센인 문제 | 「한센인사건법」 제정과 한계 | 소송이 남긴 것들 책을 닫으며 미주 시각자료 출처 역사 속 한센병과 한센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