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 7 I. 영웅적 삶과 고난의 극복 1. 좋은 삶과 탁월성의 문제 … 19 2. 탁월성의 개념과 구분: 신체의 탁월성과 영혼의 탁월성 … 25 3. 영웅적 탁월성의 종류: 용기와 실천적 지혜 … 37 4. 영웅적 탁월성의 목표와 조건 … 49 II. 삶의 기술과 영혼의 훈련 1. 철학의 목표로서의 좋은 삶 … 63 2. 영혼의 탁월성과 최고선 … 69 3. 다양한 탁월성의 종류 … 79 3.1 플라톤의 탁월성 … 79 3.2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 … 83 3.3 중세의 덕 … 89 4. 영혼 훈련의 주요 특징: 습관화와 익숙화 … 97 III. 인식의 훈련과 치유 1. 헬레니즘 철학의 목표와 철학적 훈련 … 109 2. 인식 훈련의 원리 … 117 2.1 판타시아의 기능과 종류 … 117 2.2 스토아학파의 진리 기준 … 123 3. 인식 치유의 원리 … 127 3.1 ‘사물 그 자체’의 인식과 분별력의 훈련 … 127 3.2 우주적 관점과 자아 확대의 훈련 … 133 3.3 ‘위’로부터의 조망과 탈세속화 훈련 … 137 IV. 행동의 훈련과 치유 1. 행동의 판단 기준과 의지 … 145 2. 행동의 훈련 원리 … 151 2.1 욕구의 훈련과 자기 보존의 원칙 … 152 2.2 충동의 훈련과 적절한 행동 … 157 3. 행동의 치유 원리 … 165 3.1 최악의 사태에 대한 예비 훈련 … 166 3.2 의식의 감찰 훈련 … 167 3.3 현재에 집중하는 훈련 … 170 3.4 죽음에의 연습 … 173 V. 헬레니즘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금욕주의 1. 헬레니즘 철학과 그리스도교의 만남 … 183 2. 그리스철학과 그리스도교의 영혼 개념과 변천 … 187 3.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과 금욕주의 … 197 4. 그리스도교의 영혼 훈련과 금욕주의 … 205 5. 현대사회와 영혼 훈련의 의미 … 215 참고문헌 … 223 주 … 237 찾아보기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