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은 그리스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장영란 교수가 지은 책이다. 그는 그리스 신화와 비극 및 철학에 관련된 다양한 논문들과 저서들을 출판하였다. 또한 올해 ‘한국출판 산업진흥원 2018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으로 그가 저술한 『호모 페스티부스: 영원한 삶의 축제』가 선정되었다. 사람은 누구나 단 한 번뿐인 인생을 살아간다. 물론 종교관에 따라 영혼이 윤회한다고 믿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비록 그렇다 할지라도 현생의 삶은 단 한 번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삶이 최선의 삶인지를 생각하고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좋은 삶은 무엇인가? 모든 사람은 좋은 삶을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사실 ‘좋은 삶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는 여기에 몇 가지 이유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인류 역사를 통해 좋은 삶에 대한 성찰이 철학의 핵심적 주제였기 때문에 수많은 사상가들이 다양하게 논의해 왔다. 따라서 인류의 역사에 등장하는 좋은 삶에 대한 논의들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어렵다. 이 책에서는 좋은 삶에 대한 이야기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되는지 그 기원을 찾아보았다. 즉, 고대 그리스 신화로부터 철학에 이르기까지 좋은 삶에 대한 사유의 기본 구도를 네 가지 주요 개념들 ― ‘탁월성’, ‘영혼’, ‘훈련’, ‘치유’ ― 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1부 “영웅적 삶과 고난의 극복”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에서 나타난 탁월성 개념의 원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리스 철학의 연계성을 찾아본다. 고대 그리스 서사시의 영웅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탁월성의 종류로서 용기와 실천적 지혜, 탁월성의 목표와 조건으로 명예와 명성, 고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2부 “삶의 기술과 영혼의 훈련”에서는 철학의 목표로서의 좋은 삶, 영혼의 탁월성과 최고선, 영혼 훈련의 주요 특징을 다루고 있다. 3부 “인식의 훈련과 치유”에서는 헬레니즘 철학의 목표와 철학적 훈련, 인식 훈련의 원리, 인식치유의 원리를 분석한다. 4부 “행동의 훈련과 치유”에서는 행동의 판단 기준과 의지, 행동의 훈련 원리, 행동의 치유 원리를 다루고 있다. 5부 “헬레니즘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금욕주의”에서는 헬레니즘 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관계, 그리스철학과 그리스도교의 영혼 개념과 변천, 그리스철학의 영혼 훈련과 금욕주의, 현대사회와 영혼 훈련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철학 서적이기도 하지만 제목에서도 느껴지는 것처럼 좋은 삶에 대해 비교적 쉽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이다. 젊은이부터 삶의 경험이 많은 어른까지 살아온 삶이나 살아가야 하는 삶을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