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관하여

강남순 · Essay
36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1(20)
0.5
5
Rate
4.1
Average Rating
(20)
Comment
More

교수이며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강남순의 에세이. 평범한 일상에서 얻은 배움을 기록한 수백 편의 글 가운데서 아흔한 편을 추려 엮었다. 평소 ‘스승’으로 사는 그에게는 일상이 학교이고, 또 그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자신의 교사다. 각기 다른 모습과 배경의 사람들 하나하나에게 집중하다보면 차별과 배제의 근거로 작동하는 여러 경계와 범주들이 허물어진다. 그래서 그는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을 가리켜 ‘살아 있는 텍스트’라 한다. 이것은 곧 자기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저자가 생각하는 ‘진정한 배움’과 연결된다. 그에게 배움이란, 익숙한 세계관을 뒤흔드는 내면의 불편함과 좋은 질문을 수반하는 것이다. 배움은 당연해 보이는 것들에 의문을 던질 때 시작된다. 그런 맥락에서 그는 ‘비판적 성찰의 일상화’를 강조한다. ‘진정한 배움’은 다양한 차별과 억압적 사회구조를 인지하는 예민함을 길러주고, 자기 인식의 한계를 깨닫게 한다. 또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게 하며,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 데 개입하도록 부추기기도 하는 것이다. 나는 왜 배우려고 하는가, 배움이 무엇이라 생각하고 있었나, 내가 생각하는 배움은 배움이 맞는가, 어떤 종류의 배움이 내게 필요한가,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얻기 위해 뭘 할 것인가. 저자는 특유의 담백한 문장으로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과 장소 및 매체 등을 경유하며 그 질문들을 사유하게 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1(20)
0.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책을 시작하며 1장 살아감, 그 배움의 여정 저주받은 삶이란 없다 어느 특별한 선물 두 살 사람의 절대적 환대 ‘나’를 선택하기의 과제 살아감이란 오늘 나의 선생, ‘노래하는 이’ 두 명의 한국인과 ‘구원’ ‘함께 읽는 기쁨’이란 어떤 모자母子 이야기 삶의 패러독스, 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프라하의 예수, 카프카 그리고 노숙인들 시청 앞 광장, 들꽃 같은 이들 탈일상성의 공간, 공항에서 왜 ‘쓰기’를 하는가 ‘함께 실존’은 인식에 선행한다 따스함이 필요한 존재들 치열함이 내미는 손길 소통 부재 속의 소통 뉴욕 한가운데서 만나는 세계들 어느 신부님 이야기 낯설음과 익숙함의 교차 공간에서 빵과 ‘더불어’ 빵을 ‘넘어서’ 사유하기 2장 살아 있는 텍스트, 타자의 얼굴들 ‘자기 사랑’이라는 이름의 과제 목사탕 다섯 개, 그 소중한 선물 상賞의 폭력성 사랑의 행위 사랑의 상투성을 넘어서 성적 매기는 행위의 아이러니 한 학생의 자살을 마주하며 살아 있는 텍스트, 타자의 얼굴들 진지한 눈빛에 대한 목마름 무수한 선택과의 대면 나는, 우리는 어떠한 ‘물음’들과 대면하고 있는가 ‘불현듯’이 부재한 시대 편지, 그 ‘말 건네기’의 아름다움 자기 자신과의 관계의 정원 ‘위험한 교수’의 말과 글 예순아홉 살 소녀, 로즈메리 아웃사이더, 데리다와의 만남 데리다, 스스로 쓴 자신의 장례식 조사 동료들, 친구들이 있다는 것 불확실성 시대의 신 미국의 대학교, 나의 강의실 이야기 ‘비결정성’의 존재, 그 가능성과 아름다움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사회변혁과 얼굴들 3장 사랑, 치열한 생명 긍정의 희망 이중섭, 그 불가능한 가능성의 유토피아 고갱,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누구이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프리다 칼로, 그 치열한 ‘생명 긍정’에 대하여 피카소, 비극의 한 가운데에서 4장 인식의 사각지대를 넘어 순수주의의 위험성 성차별, 그 천의 얼굴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은 의도성과는 상관없다 여성혐오의 다층적 얼굴들 세계 여성의 날, 그 양가성 순종과 희생 이데올로기에 갇힌 이들 한국 신문에 바란다 혐오의 몸짓을 거두라 혐오에 저항하는 이들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든다 눈물이 언어가 되어버린 이들 ‘추상화로서의 존재’의 정체성 장애인 외면하는 사회를 넘어서 ‘장애인의 날’이 필요 없는 세상을 꿈꾼다 ‘권리의 원’의 확장, 그 절실한 과제 존재의 위계적 사다리, 그 바닥에 서 있는 이들 무관심은 인류에 대한 범죄의 시작이다 5장 감히 스스로 생각하라 스스로 자신의 멘토가 되라 고립사회를 넘어서 계속 배우라, 책 속에 길이 있다 인문학의 상품화,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나는 지불한다, 고로 존재한다 유행의 물결로서의 지적 액세서리 지도자로서의 ‘철학자 왕’은 어디에 “그대는 잘 지내고 있나요?”의 회복 고향에서 망명자로 사는 이들 고향에 대한 갈망, 그 변혁에의 열정 진정성의 부재 시대, ‘진정성의 삶’이란 실존적 독감을 앓고 있는 이에게 아픔에는 ‘왜’가 없다: ‘이중국적자’로서의 삶 어떻게 지내는가?: 생명지향적 삶을 향하여 종교, 상투성에의 저항 왜 질문은 해답보다 중요한가 불확실성을 끌어안으라 정황 불감증, 그 정서적 폭력성에 대하여 새로운 탄생을 향한 존재 비판과 악마화의 근원적 차이 (감히) 스스로 생각하라 노숙인 예수 한국말과 호칭, 그 위계주의적 딜레마 대안 공동체의 희망

Description

일상에 물음표를 붙이는 순간, 배움이 시작된다! 강남순이 안내하는 ‘진정한 배움’에 닿는 길 미국 텍사스크리스천대학교 교수이며,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강남순의 에세이. 평범한 일상에서 얻은 배움을 기록한 수백 편의 글 가운데서 아흔한 편을 추려 엮었다. 우리 일상은 훌륭한 배움터다. 곳곳에 교사와 반면교사가 될 만한 사람과 사건이 존재한다. 하지만 막연히 삶을 이어나가는 것만으로 배움이 얻어지진 않는다. 배움은 당연해 보이는 것들에 의문을 던질 때 시작된다. 그런 맥락에서 저자는 ‘비판적 성찰의 일상화’를 강조한다. 아무리 많은 책을 읽고 많은 강연을 듣는다 해도 비판적 성찰을 작동하지 않는다면 정보 축적 이상의 사건은 일어나지 않는다. 강남순은 정보 축적으로서의 배움을 경계한다. 그에게 배움이란 많이 알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가 생각하는 ‘진정한 배움’은 다양한 차별과 억압적 사회구조를 인지하는 예민함을 길러주고, 자기 인식의 한계를 깨닫게 한다. 또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게 하며,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 데 개입하도록 부추기기도 한다. 강남순이 그런 진정한 배움의 전제로 말하는 것이 비판적 성찰의 일상화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비판적 성찰을 일상화하며 끊임없이 배워온 자기 삶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독자들은 그 이야기의 안내를 받아 진정한 배움에 이르는 자기만의 길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타인이라는 ‘살아 있는 텍스트’, 그들이 선생이다 강남순은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을 가리켜 ‘살아 있는 텍스트’라 한다. 활자를 읽으며 배울 수 있는 것 이상으로 타인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게 가르침을 주는 사람은 산책길에서 만난 어린아이이기도 하고,(26쪽) 즐겁게 노래 부르며 일하던 호텔 청소노동자이기도 하다.(36쪽) 또 가르침과 배움은 둘이 아니라는 평소 그의 지론처럼, 그가 가르치는 학생들 역시 그의 선생이다. ‘자기 사랑’과 ‘타자 사랑’이 어떤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지 상기시켜준 K,(87쪽) 서로의 좋은 인간성을 일깨우는 일은 거창한 행동이 아닌 작은 관심과 배려로도 가능함을 알게 해준 제니퍼,(91쪽) 이론을 배우는 것만으로는 깨기 힘든 편견을 넘어설 수 있게 해준 T(165쪽) 등, 강남순은 종종 제자들을 자신의 스승으로 삼는다. 한편, 강남순은 타인을 응시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각기 다른 모습과 배경의 사람들 하나하나에게 집중하다보면 성별, 몸매, 나이, 피부색처럼 현실에서 차별과 배제의 근거로 작동하는 여러 경계와 범주들이 허물어진다. 그들이 나와 같은 고귀한 생명이자 함께 살아가는 ‘동료 인간’임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112쪽) 이것은 곧 자기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강남순이 생각하는 ‘진정한 배움’과 연결된다. 배우기 전에 배움 그 자체를 사유하라 한국사회는 배움에 굶주린 것처럼 보인다. 인문학 강좌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르고, 텔레비전 방송은 지식 전달형 예능이 점령했다. 그만큼 사람들에게 뭔가를 알고자 하는 갈망이 있다는 얘기일 것이다. 강남순은 배우고자 하는 욕구를 긍정하지만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배움이 일반화되는 현상에 우호적이지만은 않다. 그에게 배움이란, 익숙한 세계관을 뒤흔드는 내면의 불편함과 좋은 질문을 수반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많은 인문학 강좌나 방송 프로그램은 간결 명쾌한 해답을 던져주면서 청중을 즐겁게 하는 데 치중한다. 강남순이 보기에 이런 풍토는 우리를 배움과 멀어지게 만든다. 그는 무작정 배우기 전에 배움에 관해 곱씹어보기를 권한다. 나는 왜 배우려고 하는가, 배움이 무엇이라 생각하고 있었나, 내가 생각하는 배움은 배움이 맞는가, 어떤 종류의 배움이 내게 필요한가,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얻기 위해 뭘 할 것인가. 강남순의 이 책 《배움에 관하여》는 저자 특유의 담백한 문장으로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과 장소 및 매체 등을 경유하며 그 질문들을 사유하게 한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