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력 비판

이마누엘 칸트
22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0(14)
0.5
4.5
5
Rate
4.0
Average Rating
(14)
Comment
More

<순수이성 비판>, <실천이성 비판>과 함께 3대 비판서로 불리며 비판철학을 완성하고, 근대 미학의 체계를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 칸트의 기념비적인 저서 <판단력 비판>에서 '미의 분석론'과 '숭고의 분석론'을 발췌.번역했다. 아름다움의 의미와 미의식의 본질을 탐구한 책은, 이전까지 진리나 도덕의 하위 범주로 파악되었던 미의 독자성을 확립함으로써, 학문.도덕.예술 각 영역의 분화를 가능하게 했으며 이성적 인식으로부터 감성적 인식을 완전히 분리했다. 이는 이후 미학의 존립 기반이 되었을 뿐 아니라, 사상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원전 텍스트의 높은 위상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두 번째로 번역, 소개되는 책은 기존의 고어체와 빈번한 한자 사용을 탈피, 새로운 세대를 위한 번역을 지향하며 연구자의 해제와 주요 용어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함께 수록해 이해하기 쉽도록 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0(14)
0.5
4.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제1장 미의 분석론취미판단의 제1계기 : 성지의 범주에 따른 고찰취미판단의 제2계기 : 분량의 범주에 따른 고찰취미판단의 제3계기 :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취미판단의 제4계기 : 대상들에 관한 만족의 양상분석론 제1장에 대한 총주제2장 숭고의 분석론A. 수학적 숭고에 관하여B. 자연의 역학적 숭고에 관하여해제- 비판철학의 완성과 낭만주의로의 이행1. 칸트의 비판철학과 <판단력 비판>(1) <판단력 비판>은 왜 씌어야만 했는가(2)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을 매개하는 능력으로서의 파단력(3) 매개 능력으로서의 반성적 판단력과 그 원리2. <판단력 비판>과 앞선 비판서들의 일관성 문제(1) <판단력 비판>에 대한 칸트의 구상은 일관돼 있지 않다?(2) <판단력 비판>은 앞선 비판서들과 정합적이지 못하다?(3) <판단력 비판>은 비판철학의 체계와 일관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3. <판단력 비판>의 두 부분에 대한 평가와 취미론의 위상4. 칸트의 미학(1) 칸트의 취미론ㄱ. 미의 분석론 : 취미판단의 네 계기ㄴ. 천재론ㄷ.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2) 칸트의 숭고론ㄱ. 숭고 개념의 기원ㄴ. 미와 숭고의 공통점과 차이점ㄷ. 숭고에 대한 칸트의 정의ㄹ. 수학적 숭고ㅁ. 역학적 숭고5. 칸트 미학의 현대적 의의용어해설주더 읽어야 할 자료들옮긴이에 대하여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