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넘버스」 수상이력
- 제43회 한국방송대상 다큐TV 부문 작품상
- 2016 대한민국콘텐츠대상 다큐 부문 국무총리상
- 2016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창의발전 부문 우수상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선정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EBS <문명과 수학>에 이은
신개념 인문×과학 교양서
“새로운 수를 발견할 때마다
인간의 논리와 사고는 진보해 왔다”
인류 지성의 보고이자 문명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다섯 개의 수 π, ∞, x, 0, i를 통해 수학 역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살펴보며 그 의미를 추적해 나가는 『넘버스』가 ㈜민음인에서 출간되었다. ‘수학 대중화’에 기여해 온 EBS 다큐프라임 「문명과 수학」의 제작진이 다시 뭉쳐, 2년간 15개국에서 촬영하고 국내외 저명한 수학자들이 제작에 참여한 동명의 다큐를 바탕으로 엮은 책이다. 대한민국콘텐츠대상 국무총리상,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방송통신위원회방송대상 창의발전 부문 우수상 등을 받으며 그 작품성을 검증받은 다큐의 내용을 중심으로, 영상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했던 수학적 자료를 보강하여 펴냈다. 수학의 본질을 밝히는 다섯 개 수들의 경이로운 탄생과 성장의 드라마를 즐기다 보면, 어느새 수학이 흥미진진해지고, 그 이해를 넓혀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되며, 더 나아가 그 고유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야기를 알면 수학이 재밌다”
π, ∞, x, 0, i로 읽는 지성의 역사
흔히 ‘수(數)’라고 하면 일상에서 쓰는 ‘아라비아 숫자’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수학에서는 다양한 문자들이 수로 사용된다. 간결한 기호 안에 고도의 추상성을 갖고 있는 수학 언어는 자연과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되어 왔다.
그중에 π, ∞, x, 0, i는 인간의 문명과 수학의 역사를 이끌어 온 대표적인 수이자 학자들의 숭고한 도전으로 이루어낸 지성의 보고로 꼽힌다. π는 기하학, ∞는 해석학, x는 대수학을 대표하는 수이며, 0은 현재의 수체계의 형성과 산술계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허수 i는 현대의 수학과 물리학을 설명하는 데 꼭 필요한 수다. 이 수들의 탄생과 비밀을 둘러싼 아르키메데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갈릴레이 갈릴레오, 칸토어, 알콰리즈미, 오마르 카이얌, 갈루아, 가우스 등 천재 수학자들의 광기어린 도전과 좌절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이 책에는 국내외의 저명한 수학자, 수학역사학자들의 고증과 조언을 바탕으로 한 탄탄한 스토리텔링과 수학의 본고장인 이란, 중국, 그리스, 독일 등 총 15개국을 넘나들며 촬영한 생생한 이미지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의 김홍종 교수가 총 자문을 맡았으며, 2010년 필즈상 수상자인 세드릭 발라니, 2014년 세계수학자 대회에서 만난 세계 수학 석학들, 스티븐 호킹과 함께 ‘특이점 정리’를 완성한 이론물리학자 펜 로즈 등이 참여해 대중 수학서의 전문성을 높였다.
“수학은 문제 풀이 기술이 아니다.
생각을 확장시키는 힘이다”
수학의 어원인 그리스어 ‘마테마타(mathemata)’는 ‘우리가 배우는 모든 것’이란 뜻을 갖고 있다. 좁은 의미에서 ‘수’는 무언가를 셈하는 것을 뜻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수’는 ‘사물의 이치와 조화’를 뜻한다. 예로부터 수학이 최고의 학문으로 칭송받아 왔던 것은 그것이 세상의 모든 사물의 이치와 조화를 탐구하는 학문이자, 인간의 논리와 사고의 기초가 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넘버스』는 수학을 ‘문제 풀이의 기술’이 아니라 ‘인간의 생각을 확장시키는 힘’이라는 관점에서 어렵고 딱딱한 학문으로 여겨지는 수학을 쉽고 재밌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세상을 바꾼 다섯 개의 수를 통해 인간 지성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넘버스』는 수학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그것을 어떻게 접근할지 몰라 막연한 두려움을 품고 있는 독자들은 물론, 수학에 대해 좀 더 체계적이고 심도 깊게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도 재밌게 수학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