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 프롤로그: 공장을 떠나는 노동자들 1.1. 소개 1.2. 디지털 공장 속으로 1.3. 디지털 공장 연구 1.4. 이 책의 구성 2. 글로벌 공장 2.1. 물류 센터 2.2. 컨테이너, 또는 물류 혁명 2.3. 알고리즘, 또는 두 번째 혁명 2.4. 소매업의 부상 2.5. 크리스마스 열병 : 물류 센터 속으로 2.6. 바코드와 스캐너의 리듬에 맞춰 작업하기 2.7. 업무 표준화/노동력 증식 2.8. 아마존의 다음 개척지: 라스트 마일 2.9. 라스트 마일 부문의 노동 2.10. 급진적 유연성: 플랫폼 노동의 등장 2.11. 결코 원활하지만은 않은 3. 놀이의 공장: 게임 3.1. 로스앤젤레스, 베를린, 선전을 오가는 게임 노동력 3.2. 아제로스의 정치경제학 3.3. 디지털 그림자 경제 3.4. 이중 이주자 3.5. 디지털 노동 / 디지털 이민 3.6. 골드러시 이후 3.7. 게임 제작: 게임 스튜디오의 노동과 갈등 3.8. 테스트 노동 3.9. 일렉트로닉 아트의 사례 3.10. 갈등, 즐거움, 물질성 4. 분산된 공장: 크라우드 워크 4.1. 대여용 인간(PEOPLE AS A SERVICE) 4.2. 온-디멘드 노동의 글로벌 생태학 4.3. 인공지능 뒷면의 노동 4.4. “먹고살기 위해 100유로를 벌어야 해요” 4.5. 디지털 조립 라인 4.6. 온-디멘드 노동 4.7. 플랫폼 노동자 4.8. 크라우드 워크와 돌봄노동 4.9. “다음 50억” 4.10. 숨겨진 노동 5. 은닉된 공장: 소셜 미디어 5.1. 플랫폼 광고의 정치경제학 5.2. 알고리즘 구조: 논리, 통제, 노동 5.3. 크라우드의 물질성 5.4. 바다 아래로, 그리고 공장 속으로 5.5. 아이폰 도시 5.6. 콘텐츠 관리: “당신이 보는 것은 제 상상을 초월해요” 5.7. 좋거나 나쁜 콘텐츠 5.8. 문화로 인해 당황스러운 알고리즘 5.9. 베르린, 오스틴, 더블린: 외주화된 이주민 노동 5.10. 산업화된 의사결정 5.11. 소셜 미디어의 이면의 세계지리학 5.12. "미국인이나 호주인과 함께 일하는 것과 거의 같음“ 5.13. 인프라 되기 6. 결론: 공장으로서의 플랫폼 6.1. 베들레헴에서 아마존으로: 그때와 지금의 테일러리즘 6.2. 공장으로서의 플랫폼 6.3. 이주노동, 유연화된 국경, 분산된 투쟁 6.4. 노동의 종말을 향하여 7. 에필로그: 전염성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