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인공지능 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 1장 인공지능으로 날개를 다는 사람들 AI가 대체하지 못하는 능력, 퍼지 - ‘느낌적인 느낌’을 잘 다루는 사람들의 시대 - 테키 vs. 퍼지 진정으로 감탄할 줄 아는가? - 감탄하지 못하는 현대인 - 창의성의 원천, 경이감 회복하기 -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 호모 프롬프트 - 호기심 넘치는 인재, 원더 시커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가? - 세계 최고의 부자를 만든 사고방식 - 수많은 실리콘밸리 인재를 배출한 이곳은 무엇을 가르칠까? - 넓게 볼 줄 아는 통섭형 인재, 폴리매스 세상과 깊게 교감할 수 있는가? - 사랑이 사라져 가는 시대 - 죽음과 파괴의 네크로필리아 - 인간성 회복의 바이오필리아 - 세상과 교감하는 인재, 바이오필로소퍼 2장 퍼지를 만드는 인문학적 감각 호모 센티언스의 시대가 온다 - 세계적인 투자가는 왜 2,000억을 인문학 연구소에 기부했을까? - 데이터 너머의 차이를 만드는 인문학 - 퍼지를 만드는 ‘인문학적 감각’ - 인문학적 감각과 인문학적 소양의 차이 깊이 있는 사고를 할 수 있는가? - 우리는 깊게 사고하는 능력을 잃어버렸다 - 현상 너머의 본질 읽기 - 고독한 시간의 딥 다이브 - 실리콘밸리 퍼지들은 어떻게 ‘딥 다이브’를 할까? 시대를 초월하는 불변의 법칙 - 트렌드 vs. 클래식 - 세상은 다른 듯 반복된다 - 경영이든 개인의 삶이든 통하는 ‘영원한 지혜’ 삶의 의미와 정체성을 만드는 이야기 - 무시당하는 개인의 경험 - 집단의 구성원이 아닌 개인의 ‘이야기’ - 데이터에서 의미를 만드는 서사적 통찰력 차이를 만드는 인간다움 - 인간의 고유성이 사라지고 있다 - 인간의 고유한 능력, 상징적 사고 - 차이를 만드는 휴먼 스파크 - 경험과 직관이 빚어낸 대체 불가한 지식, 암묵지 3장 나만의 경쟁력, 인문학적 감각 기르기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 - 실리콘밸리 리더들은 왜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낼까? - 인문학적 감각은 공부만으로 길러지지 않는다 - 인간의 신경가소성 위대함을 가까이하기 - 위대한 예술은 혁신의 도구 - 예술과 인문학을 자주 접하라 - 디지털 시대에 더 중요한 ‘책 읽기’ - 확장적 읽기의 경쟁력 시간을 죽이지 않기 - 현대인이 시간을 다루는 방식, 킬링타임 - 지루함과 권태를 다루는 법 - 킬링타임에서 세이빙타임으로 불확실성과 모호함 즐기기 - 인공지능이 낳은 불확실성의 시대 - 소셜 미디어가 부추기는 완벽주의 - 퍼지들은 모두 배거본더 - 무질서와 혼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가만히 있는 연습하기 - 디지털 과잉 세상에 휩쓸리지 않는다 - 느리고 적게 일하는 생산성 -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것의 유익 시인처럼 살아가기 - 연결된 세상에서의 단절 - 시인의 태도로 세상과 연결되기 4장 인간은 더욱 인간다워져야 한다 21세기 르네상스 - 새로운 르네상스의 진원지 - 르네상스형 인간의 재부상 스스로 진화하는 인류 - 프랑켄슈타인과 인공지능 - 절정에 달한 기대 - 인류의 마지막 발명 표준과 규격화는 끝났다 - 스탠더드의 시대가 저물다 - 인공지능이 대체하는 스탠더드의 영역 - 가속하는 양극화 - 평균의 종말 시대에서 살아남으려면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잘하는 일 - 누구나 인공지능을 다룰 수 있는 시대 - 낮아지는 인공지능 기술의 진입장벽 - 대체 불가한 인간의 영역 - 우월함에서 두드러짐의 시대로 에필로그 가장 인간적인 사람이 된다는 것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