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문을 대신하여: 우리의 낯선 형상 프롤로그 은상 최후의 인신공양제사 | 잃어버린 문명을 건져내다 | 인신공양제사의 바깥 부록: 상고시대 인신공양제사의 분류 제1장 신석기시대의 사회 발전 촌락과 부락에서 초기 국가로 | 벼농사는 평화를 가져왔는가? 제2장 대우 치수의 진상: 벼와 용 벼농사에 의지했던 옛 뤄양: 얼리터우 | 쑹산산을 넘어 이주한 이들 | 대우 치수의 진상 | 유룡遊龍의 왕조 제3장 얼리터우: 청동으로 왕권王權을 주조하다 가장 오래된 ‘성 건축 계획’ | 왕가의 거대한 정원 | 궁성 밖의 인신공양제사 | 청동기 주조 현장의 인골 | 청동, 문명의 탄생을 촉진하다 | 유한한 인신공양제사와 이원제 사회 부록: 청동의 비밀 역사 제4장 다른 종족이 얼리터우를 점령하다 500리 왕조 | 하 왕도의 함락 | 아득히 먼 차오후巢湖 식민지 부록: 하 왕조에 관한 기억 제5장 상족 유래의 수수께끼 상제와 새의 알 | 물소를 타고 다니며 유목하다 | 조신鳥神 숭배 제6장 초기 상 왕조: 창고의 장관 동서의 두 도읍 | 청동기의 확장 | 진난晉南의 식민 성채 | 거대 곳집府庫의 수수께끼 제7장 인신공양제사의 번영과 종교개혁운동 옌스: 돼지 제물에서 인간 제물까지 | 정저우 제2기의 민간 제사 | 왕실: 인간-개의 혼합 제사와 두개골 가공 | 국가 종교로서의 인신공양제사 | 은폐된 종교 개혁 운동 | 상나라 중엽: 잔인한 샤오솽차오 제8장 무덕武德, 남방 영토를 잃다: 판룽청 창장강 유역의 청동 산업 기지 | 피에 굶주리지 않은 상나라 사람들 | 남방의 평화로운 제사 | 청동 기술의 강남 확산 제9장 3300년 전의 군영軍營: 타이시臺西 처마 아래의 인두人頭 | 청동기시대 무사의 군상 | 숙소와 부엌 | 화베이 지역의 아열대 시절 | 부록: 북방의 식인 부락 제10장 은허 왕실의 인신공양제사 반경의 훈계 | 중도에서 폐기된 환베이 상성 | 무정武丁의 새로운 도읍 | 왕릉과 순장자 | 뭇별처럼 조밀한 제사갱 | 참수의 진지함 정도 부록 1: 사람의 엉덩이뼈髖骨를 이용한 점복 | 부록 2: 최초의 찜 쪄진 인두 부록 3: 갑골복사에 담긴 인간 희생의 수 제11장 상족의 사유와 국가 냉혹하고 폭력적인 세계관 | 외래 기술과 은상의 중흥 | 상나라 사회의 기본 단위: ‘족族’ | 왕권과 가족 분봉제 | 다른 부족과의 동화: 전통 상실의 위험 제12장 왕후의 사교 범위 요행으로 보존된 왕후의 무덤 | 왕릉과의 비교 | 상나라 왕의 부부생활 | 『제왕세기』에 기록된 부호의 아들 | 부호 가족의 삶 제13장 대학과 왕자 왕족 학생의 훈련 과목 | 결투 파트너 | ‘자’의 귀족 인생 | 전사한 족장 ‘아장亞長’ 제14장 서부의 일진일퇴 전쟁: 라오뉴포老牛坡 초기 상나라의 침입자 | 제2차 서진 운동 | 200년 앞서 태어난 숭후호 | 숭국의 식인자 | 숭후의 청동 산업 제15장 주족周族의 기원 서사시와 고고학 주족은 강족에게서 나왔다 | 농업, 목축업의 겸업과 이주 | ‘야만인’ 속으로 | 토굴집과 수수 | 상족 난민이 청동기를 가져왔을까? | 평안한 부족 | 부록: 화하 기원 고사의 내력 제16장 상 왕조의 앞잡이: 주원으로 가다 토굴집을 찾아온 불청객 | 늙은 족장의 새 영지 | 떠난 형들과 멀리서 온 아내 제17장 주나라 문왕 토굴 속의 비밀 문왕은 주왕紂王의 고모부인가? | 주족 수령의 쓰허위안 | 지하의 작업실 | 문왕이 새긴 복사의 기록 제18장 『역경』 속의 포로 사냥과 포로 바치기 포로 ‘부孚’ | 도망친 숫양, 완강히 반항하는 강족 추장 | 포로 압송의 경험 | 주왕을 만날 기회 | 은허의 제사 의식을 목격하다 제19장 유리羑里의 뇌옥에 관한 기억 방백方伯에서 죄수로 | 지하 감옥 속의 인육 잔치 | 형벌과 살육 제사 | 소달기蘇妲己의 다른 일면 제20장 상나라 정벌과 『역경』의 세계관 상족에게서 전해진 역괘 점술 | 문왕의 괘사와 효사 | 괘사와 효사에 담긴 것 | 64괘는 왜 짝을 이루는가? | 상나라 정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