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참으로 본 근대시간
제1장 이론적 논의:비동시성 시간의 공존과 충돌
제2장 한국의 근대에서 발견되는 비동시성 시간의 공존과 충돌
제2부 한국의 긴20세기 에서 발견되는 다중적 시간들
제3장 한국의 긴 20세기 개괄
제4장 일제 강점기하의 역사적 시간의 충돌
제5장 해방시간의 정치:분단국가 건설과 민족 파괴의 비동시성
제6장 1948년 체제의 형성:근대국가 건설의 비동시성
제7장 한국전쟁과 근대 국가건설:한국전쟁의 원인과 결과
제8장 이승만체제의 성쇠:일민주의 반공주의 자유민주주의 비둥시성
제9장 혁명의 시간과 쿠데타의 시간:두 개의 근대시간의 충돌
제10장 박정희와 산업화의 시간 1961-1972
제11장 유신체제의 등장과 몰락
제12장 5공 군벌주의 퇴행적 권위주의
제13장 1080년대 민주화의 시간 민주주의와 군부 권위주의의 비동시성적 시간의 충돌
제14장 1987년 체제 3김 시대의 민주주의
제15장 3김 정치시대 이후의 민주주의
제3부 한국 근대화 시간의 특성과 미래:비동시성의 공존과 충돌 그리고 지양
제16장 두 개의 비동시적 근대시간의 충돌:권위주의적 산업화 대 민주적 발전론
제17장 한국정치의 미래 과제:한국민주주의의 민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