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녀들의 수첩

이다솔 and other
22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7(11)
0.5
3
5
Rate
3.7
Average Rating
(11)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18세기에 여성 최초로 수학과 교수가 된 마리아 아녜시와 영국의 첫 여성잡지인 《숙녀들의 수첩》을 소환하여 여성을 바라보는 당대의 시선 및 여성잡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섹션이 된 것이 하필 왜 수학퍼즐이었는지 되짚어본다. 따라서 이 책은 《숙녀들의 수첩》에서 편집 아르바이트를 하는 소녀 엘리가 마리아 아녜시를 롤모델로 삼아 고군분투하는 성장기이자 ‘여성으로서’ 금기에 도전해온 여러 여성의 편견과 억압에 대한 바위 깨뜨리기의 기록이기도 하다. 이 책의 장점은 구성이 매우 입체적이라는 점이다. 1년간 연재되었던 본문만화 외에 4컷만화(비하인드 스토리), 여성과학자 소개(피플 스토리), 그리고 이 책을 다른 수학책과 구별해주는 특장 ‘뒷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뒷담을 통해 독자들은 ‘세계 안에 존재하는 여성으로서의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자연스레 품게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7(11)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작가의 말 제1화 마리아 아녜시를 만나다 Behind tory 1 컨셉 변경 | 첫 만남 People story 1 김점동_조선 최초의 여성 과학자 뒷담1 여자라면 자고로 수학을 해야지! ‘숙녀’들의 필수 교양은 수학이었다 | 영국의 첫 여성지는 수학 잡지가 되었다 제2화 엘리의 임무 Behind story 2 안면 근육 People story 2 그레이스 호퍼_0과 1의 지옥에서 프로그래머를 구출하다 뒷담2 18세기 유럽 여성에게 수학이 권장된 이유 야, 너도 수학 공부할 수 있어! 종이와 연필만 있으면 | 여성 수학 잡지 속 문제는 어딘가 다를까? 제3화 달리기 왕 엘리 Behind story 3 흉내 People story 3 헤디 라마르_‘에어팟’ 연결할 땐 라마르를 떠올리자 뒷담3 박막례 할머니와 마리아 아녜시의 공통점 여성의 교육권 빼앗는 ‘어리석은 남성들’| 18세기에 일어난 여성 교육권 논쟁 | 18세기 초 교육권 논쟁이 남긴 유산 제4화 운명의 대결 Behind story 4 라틴어 | 교수님 People story 4 투유유_‘노가다’로 찾은 말라리아 특효약 뒷담4 여성도 대학에 갈 수만 있었다면 독자들은 수학을 어떻게 공부했을까 | 얼마나 많은 여성이 수학 문제를 풀었을까 | 엇갈린 라이트 가족의 운명과 심화된 불평등 제5화 엘리의 눈물 Behind story 5 기억력 | 미적분의 중요성 People story 5 베라 루빈_암흑물질 춘추전국시대의 문을 열다 뒷담5 김도윤 작가, 마리아 아녜시 생가를 찾다 굳이 가시겠대서 말리지 않았습니다 | 아녜시, 정원에서 서재로 가다 | 아녜시가 교과서용 미적분학 책을 쓴 이유 *[토막 지식] 아녜시의 마녀 제6화 수학자가 타는 말은 페르마? Behind story 6 드립 받아치기 | 작용 반작용 People story 6 메이 제미슨_판타지가 현실로, 최초의 흑인 여성 우주비행사 뒷담6 유일한 여성 편집장, 엘리자베스 바이튼 역사학자도 몰랐던 여성 편집장 | 편집장 자리를 지키기 위한 고군분투 | 헨리 바이튼과 여성 독자의 소외 제7화 미션 임파서블! 대학에 잠입하라, 엘리! Behind story 7 변장 | 함수 People story 7 에이다 러브레이스_컴퓨터보다 먼저 등장한 최초의 프로그래머 뒷담7 독학으로 탄생한 수학자, 토마스 심슨 그땐 독학만으로 수학자가 될 수 있었다 | ‘심슨 공식’은 토마스 심슨이 만들지 않았다 *[토막 지식] ‘황인종’은 린네가 만들었다? 제8화 선행학습의 고통보다 괴로운 건 Behind story 8 도플갱어 | 기하학 수업 People story 8 소피 제르맹_‘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독학으로 풀다 뒷담8 “대학이 아무리 우리를 거부해도” ‘남장’한 여자들 의대 수업을 도강하다, 마가렛 킹 | 죽어서야 성별이 드러난 군의관, 제임스 베리 | 성별을 숨겼던 여성과학자들 제9화 내 친구가 되어줘 Behind story 9 도서 대출 | 문제 풀기 People story 9 메리 애닝_“생물은 멸종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뒤집다 뒷담9 18세기 독일에는 여성 과학자가 많았다 가내수공업자의 딸, 곤충학자가 되다 | 근대과학의 절반은 수공업자가 만들었다 | 아카데미, 수공업 전통을 거부하다 제10화 감동의 비밀장소 Behind story 10 개인기 | 이유 People story 10 에미 뇌터_현대 물리는 물리학자에겐 너무 어려워서 뒷담10 “여자는 수학을 못한다”는 고정관념이 만들어지다 수학과 과학에서 여성의 얼굴이 사라진 이유 | 성차별의 철학적 토대, 성적 상보주의 | 성차별의 과학적 토대, 해부학 제11화 이별 준비 Behind story 11 귀향 | 고양이 People story 11 로절린드 프랭클린_주변인이 모두 노벨상을 받았네 뒷담11 18세기 이탈리아 대학에는 여자가 있었다 세계 최초의 여성 교수가 이탈리아에서 탄생한 이유 | 로라 바시, 재주넘기를 거부하다 | 여성이 만든 ‘플라잉 대학교’와 마리 퀴리 제12화 우리 다시 만나 Behind story 12 망원경1 | 망원경2 People story 12 바버라 매클린톡_옥수수로 ‘방랑하는 유전자’ 찾다 뒷담12 마리아 아녜시와 숙녀들의 수첩, 그후 아녜시는 묘비가 필요 없었다 | ‘숙녀들의 수첩’이 남긴 흔적들 뒷담 외전 21세기로의 귀환 여성이 편한 일만 하려고 이공계를 기피한다고? 여성이 이공계로 가지 않는 것, 정말 ‘선택’일까? | 여성의 이공계 진학을 막는 사회문화적 요소들 : 기존의 성비와 고정관념 위협 | 고정관념의 바탕이 되는 ‘어디서 들어본’(유사)과학 | 수학 좋아하는 여자도 계보가 있다 참고문헌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