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1장> 나는 아이들과 함께 크는 1학년 담임 아직 사람이 아닌 아이들과 여전히 모자란 어른이 만나다 -나는 아이들과 함께 크는 1학년 담임 무슨 말인지는 아니? - 안내장 홍수 선생님은 엄마가 더 좋나요, 아빠가 더 좋나요? - 자기소개하기 이거 어떻게 노는 거야? - 1학년의 리더십 칭찬은 1학년도 춤추게 만든다 - 칭찬 사용법 학교에서 무얼 했는지 물어봐 주세요 - 1학년 아이 학교생활 관찰법 반창고, 마음도 치료하다 - 아이의 아픔을 이해하는 법 공부가 뭔지도 모르면서 - 아이는 어떤 때 몰입하는가 선생님은 바보 아니잖아요 - 선하디선한 아이들 신으면 더 빨리?떨어지잖아요 - 너, 참 속 깊다 누가 뭐래도 내가 좋아하는 것 - 아이는 스스로 자기 색깔을 찾는다 저놈, 참 성격 좋네 - 아이의 유쾌함은 어디서 오는가 그렇게 잘났으면 2학년에나 가라! - 선행 학습 유감 마법의 장화 - 하늘도 움직인 아이의 간절함 다음 날이면 사이가 좋다 - 글쓰기의 치유 능력 아이들의 관찰 밀도는 어른보다 높다 - 그림일기를 대하는 어른의 자세 어른은 흉내도 못 낼 아이의 상상 - 글쓰기 훈련이 아이의 고유성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 방학을 해야 하는 이유 - 저는 게으름뱅이가 될 거예요 <2장> 아이들은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단짝이란 이런 것 1 - 단짝은 교사보다 힘이 세다 우리 엄마가 오셨어요 - 아이가 지금 견디고 있는 시간 할머니의 힘 - 아이는 예뻐하는 만큼 큰다 이야기는 아이와 친한 사람이 들려줘야 한다 - 들려주기가 독서의 시작이다 단짝이란 이런 것 2 - 단짝의 격려가 선생을 이긴다 아기 고양이 까미가 아이들에게 가르쳐 준 것들 - 아이들에겐 고양이도 스승이다 나는 엄마가 되고 싶어요 - 어떤 교육 기관도 엄마보다 좋을 수는 없다 아이를 키우는 건 부모만이 아니다 - 아이가 스스로 마음을 지켜 내는 법 아버지의 선택 - 아이를 기르면서 부모는 수없이 기로에 선다 야단맞을 때 아이는 무슨 생각을 할까 - 엄마도 아이도, 각각 아프다 우리 할머니도 그러셨어 - 아이가 어른의 삶을 이해하는 법 쟤들이 저만 따돌린다고요 - 아이들은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3장> 사람의 변화는 단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누가 1학년 아이들의 눈물을 가볍다 하는가 -눈물로 성장하는 1학년 아이들 장난감에 담긴 속사정 - 아이의 자존감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무슨 과자를 먼저 먹을까? -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1학년 아이들의 여러 행태 1학년 아이들의 글씨 - 공부는 몸에 새기는 것 아이들은 싸우면서 배운다 - 아이의 생각이 만들어지는 과정 확신이 없더라도 기다려야 한다 -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 주는 법 1학년 아이들도 욕을 한다 - 분노할 때 쓰는 표현을 살펴보면 아이의 환경이 보인다 아이의 욕망 vs 엄마의 욕망 vs 교사의 욕망 - 부모의 욕망이 차단된 교실에서 비로소 아이는 자기 욕망을 드러낸다 빨리 배우나 늦게 배우나 누구나 글을 뗀다 - 아이의 읽기 능력은 한글 교육이 아닌 독서가 결정한다 파리가 돌아가셨다 - 아이들의 논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왜 12시 3분이 아니라 3시예요? - 아이들이 시계 보기를 배우는 과정 1학년 독립심 기르기 프로젝트 -사람의 변화는 단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4장> 누가 아이들을 미완성의 존재라 하는가 양념통닭 나오는 날 - 죽도록 먹고 싶었던 호박시루떡 꿈나라에 귀신들이 모여 있어요 - “가만히 있으라.”가 아닌 “뭐든 바꿔 봐.”라고 가르쳐야 한다 던져진 가방 - 교사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아이를 바꾼다 학교도 모둠과 같다면 얼마나 좋을까 - 왕따나 폭력은 모르는 사이에서 생긴다 반장은 언제 뽑아요? - 권력의 빛과 그늘 선생님도 힘들었잖아요 - 방학 날이어서 그랬을까 새똥 차의 교훈 - 아이들에게도 불만을 토로할 시간이 필요하다 선생님 차 엄청 좋네요 음악도 잘 나오고 - 아이들이 선생님 차를 타고 싶어 하는 이유 진심 어린 칭찬의 힘 - 아이들은 값싼 칭찬 뒤에 도사린 어른들의 요구 사항을 눈치챈다 난리법석 고구마 캐기 체험 학습 - 아이의 말이 평생 땅을 일군 농부의 주름처럼 깊다? 크레파스 하나에 깃든 마음 - 아이도 가난을 안다 저희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 - 아이들은 기록하면서 자기 삶을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