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케이팝의 역사적 순간들

이종민 and other
418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1990년대, 각자의 자리에서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만든 뮤지션들의 생생한 비하인드 스토리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Please log in to see more comments!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대한민국 록 음악의 정점 _ 김영석(N.EX.T) 대기업 자본과 시스템의 첫 등장 _ 김원준 셀프 프로듀서 시대의 개막 _ 김현철 한국 최초의 랩 앨범 _ 김진표 우리나라 발라드 음악의 절정 _ 김형석 댄스 음악 유행의 리더 _ 김창환 샘플링으로 성공한 최초의 사례 _ 신철 컴퓨터 음악 제작 방식의 성공 _ 윤상 최초의 여성 작가 _ 이상은 히트곡 제조기 _ 윤일상 고품격 댄스의 대중화 _ 이주노 제도에 저항한 뮤지션의 혁명 _ 정태춘 밀리언셀러를 기록한 최초의 드라마 OST 작곡가 _ 최경식 완벽한 팔세토 가창 _ 조관우 한국 인디 음악의 씨줄과 날줄 _ 크라잉넛 밀리언셀러의 시작을 만들어낸 프로듀서 _ 하광훈 최초의 100% 홈 레코딩 제작 _ 히치하이커(롤러코스터) 나가며

Description

1990년대, 각자의 자리에서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만든 뮤지션들의 생생한 비하인드 스토리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 ‘100대 명반’ 등을 다룰 때 주요한 업적을 남겼음에도 여러 이유로 놓칠 수밖에 없었던 뮤지션들의 이야기 가장 성공한 록 밴드 / 대기업에서 만든 첫 아이돌 / 최초의 랩 앨범 / 홈 레코딩만으로 성공한 앨범 등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만든 주제들로 꾸려낸 인터뷰집 개인적으로 음악가들은 영감과 재능의 뒷받침 하에 거의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는 편견을 어느 정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노력이 없을 거라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의 노력으로는 다가설 수 없는 어떤 선천적인 벽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물론 이번 인터뷰를 통해 밝혀내거나 알아내지는 못했지만 그런 게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내 편견을 뒷받침할 근거보다는 이번 인터뷰들을 통해 알게 된 건 다른 데 있다. 그건 많은 뮤지션이 너무나도 철저하게 고독하고 외로웠던 부단한 연마의 시간을 견뎌냈다는 것이다. 이들이 어떤 궤도에 오르기 위해 버틴 시간들은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고 알아주지도 않는 고립의 시간이었고, 동시에 즐거움과 마법의 시간이었다. 삼매경의 경지가 있다면 바로 그런 것이리라. 우리는 언제부턴가 동기와 과정,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한 수많은 시행착오의 시간보다는 무조건 반사처럼 “돈, 큰 집, 빠른 차, 명성, 사회적 지위” 같은 결과에 탄복한다. 하지만 나를 반성케 한 그 평론가처럼 이들 뮤지션은 더 이상 아무도 얘기하지 않는 “고흐의 불꽃 같은 삶”을, “니체의 상처 입은 분노”를 꺼내들게 한다. 그리고 난 느꼈다. 어쩌면 그 희열의 과정이 우릴 살아있게 하는 건 아닐까 하고. - 본문 “들어가며”에서 발췌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