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의 말

Hannah Arendt · Essay/Humanities
20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7(168)
Rate
3.7
Average Rating
(168)
마음산책의 '말' 시리즈. 20세기의 탁월한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긴 인터뷰집이다. 주요작들을 출간하고 사상적 체계를 확립한 뒤인 1964년부터 말년인 1973년까지, 한나 아렌트의 지성적 행보를 보여줄 네 편의 굵직한 인터뷰를 엮었다. 인터뷰에서 한나 아렌트는 자신의 저서에 관한 질문에 꼼꼼히 각주를 달고 오독된 것을 바로잡으며, 두 번의 망명과 그 뒤의 삶 속에서 자신이 보아온 세계와 인간을 말한다.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 '악의 평범성' 등 한나 아렌트가 낳은 20세기의 주요 개념들이 어떤 배경 속에서 구축되었는지 왜곡되지 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특히 1973년의 인터뷰는 한나 아렌트가 세상을 뜨기 이태 전에 가진 생전 마지막 인터뷰다. 이 대화에서 한나 아렌트는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문제,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정체성 문제, 유대교와 기독교라는 종교의 문제, 그리고 저서들에 관한 뒷이야기 등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주제들에 관해 학자로서, 인간으로서 깊은 말을 전한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3.7(168)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9

Table of Contents

해제┃아렌트 숨결이 깃든 대화록 무엇이 남아 있느냐고요? 언어가 남아 있어요 아이히만은 터무니없이 멍청했어요 정치와 혁명에 관한 사유─하나의 견해 마지막 인터뷰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Description

마침내 숨결을 허락한 긴장감 어린 텍스트 ‘정치적인 것’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마지막 인터뷰 독일 태생의 유대계 미국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글은 철학과 정치에서 수없이 인용되지만 정작 그 사상이 발원한 아렌트 자신은 선동가나 연설가 체질이 아니었다. 책보다 앞서 나서는 경우는 드물었고, 그 자신이 ‘공공 영역’의 중요성을 일깨웠음에도 모든 이즘(ism)에 대해서, 즉 국가나 민족 혹은 특정 집합 단위로 주창되는 이데올로기 앞에서는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늘 냉철한 입장을 지켰다. 이를테면 한나 아렌트에게는 실리보다 그에 대한 사유(思惟)가, 달리 말하면 ‘정치’보다 ‘정치적인 것’이 중요했는데, 그것은 민족이든 이익이든 맹목을 강요하는 모든 것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한다는 뜻이었다. 사유한다는 말은 항상 비판적으로 생각한다는 뜻이고,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것은 늘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는 거예요. -179~180쪽 그렇기에 한나 아렌트의 궤적은 더더욱 학자로서의 지조를 방증하지만, 긴 맥락과 반어 등으로 긴장감을 띤 그의 텍스트들은 그 자체로, 그리고 인간 한나 아렌트에 관해서 많은 오해와 오독을 남겼다. 『한나 아렌트의 말』은 『수전 손택의 말』 『보르헤스의 말』에 이은, ‘말에 지성이 실린 책’의 세 번째 책이다. 시대를 풍미한 지성의 구술된 텍스트에서 고유한 현장감과 깊이 있는 사유를 읽는 기획으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등 명저를 남긴 20세기의 탁월한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긴 인터뷰집이다. 주요작들을 출간하고 사상적 체계를 확립한 뒤인 1964년부터 말년인 1973년까지, 한나 아렌트의 지성적 행보를 보여줄 네 편의 굵직한 인터뷰를 엮었다. 인터뷰에서 한나 아렌트는 자신의 저서에 관한 질문에 꼼꼼히 각주를 달고 오독된 것을 바로잡으며, 두 번의 망명과 그 뒤의 삶 속에서 자신이 보아온 세계와 인간을 말한다.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 ‘악의 평범성’ 등 한나 아렌트가 낳은 20세기의 주요 개념들이 어떤 배경 속에서 구축되었는지 왜곡되지 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특히 1973년의 인터뷰는 한나 아렌트가 세상을 뜨기 이태 전에 가진 생전 마지막 인터뷰다. 이 대화에서 한나 아렌트는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문제,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정체성 문제, 유대교와 기독교라는 종교의 문제, 그리고 저서들에 관한 뒷이야기 등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주제들에 관해 학자로서, 인간으로서 깊은 말을 전한다. 나는 이제 바깥에서 상황을 봐요. 내가 그 시절의 나보다 상황에 훨씬 덜 관여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시간이 흘렀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15년이 아무 가치도 없는 세월은 아니잖아요? -54쪽 기독교라는 특별하고 구체적인 의미에서 볼 때 유대교는 종교라기보다는 생활 방식에 더 가까워요. 내가 유대식 가르침을 받고 종교적 가르침을 받은 게 기억나요. 열네 살쯤이었는데, 나는 물론 선생님한테 반항하고 싶었고 선생님한테 뭔가 끔찍한 짓을 하고 싶었어요. 자리에서 일어나 “저는 하느님을 믿지 않아요” 하고 말했죠. 그랬더니 선생님이 이러더군요. “누가 너한테 믿으라든?” -187~188쪽 사유의 이음매를 메우는 인터뷰 책에서 못다 건넨 한나 아렌트의 말 『한나 아렌트의 말』에 실린 인터뷰 네 편 중 두 편은 1964년에, 나머지는 1970년과 1973년에 각각 이루어졌다. 이 시기들은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같은 초기 저작의 의의를 되살리고, 대단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해명하고 첨언하며, 후기작 『공화국의 위기』를 예고하기에 중요했던 때다. 시의가 뚜렷한 이 인터뷰들에서 한나 아렌트는 자신의 화두를 상세히 설명할 뿐 아니라, 젊은 시절 나치에 곤욕을 치르고 망명길에 올랐던 이야기며 유대인적 정체성에 매몰되지 않았던 가족 이야기, ‘철학자’이기를 거부하고 ‘이론가’이기를 자처하는 이유, 스승인 카를 야스퍼스에 관한 이야기, 모국어인 독일어에 느끼는 향수와 글쓰기 등, 자신의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에 관해 책에서는 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이 이야기들은 한나 아렌트의 사유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인간 한나 아렌트의 토대와 깊이를 알기에 더없는 텍스트다. 나는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정확히 알아요.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전에는 쓰지 않아요. 보통은 앉은자리에서 단번에 쓰는 편이에요. 글 쓰는 속도가 비교적 빨라요. 타자 치는 속도가 내 집필 시간을 좌우하죠. -25~26쪽 그[나치 전범 아이히만]가 권력에서 특별한 쾌감을 얻었느냐고요?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그는 전형적인 공무원이에요. 그런데 공무원은 공무원 이상도 이하도 아닌 존재일 때 정말이지 대단히 위험한 신사예요. 여기에서 이데올로기는 그다지 큰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봐요. -77쪽 긴 문맥이 특징인 한나 아렌트의 글쓰기에서 길을 잃지 않고 조소와 반어를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그러한 저서와 대비적으로 ‘말’로써 풀어낸 『한나 아렌트의 말』은 ‘한나 아렌트 읽기’의 재미를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이따금씩 튀어나오는 격앙된 말투와 반문, 세월이 어린 체념과 애수 등 감정적인 면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한나 아렌트의 말에서 그의 사상의 진위를 들을 수 있으며, 좀처럼 보기 힘든 한나 아렌트의 인간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나는 내가 사용하는 반어법에 대한 모든 비판이, 정말이지 취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불쾌해요. 그건 순전히 개인적인 문제거든요. 매우 많은 사람의 눈에 나는 분명히 무척 불쾌한 존재예요. 나는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내가 뭘 어쩌겠어요? 그들은 그냥 내가 마뜩지 않은 거예요. -108쪽 혁명가는 혁명을 만들어내지 않아요! 혁명가는 길거리에 권력이 떨어져 있는 것이 언제인지를 알고, 그걸 집어 들 때가 언제인지를 아는 사람이에요. 무장봉기가 그대로 혁명으로 이어진 적은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었어요. -118쪽 공정한 사유로 무장한 녹슬지 않는 철학 누군가 자기 민족을 무척이나 사랑하는 척하며 민족에게 경의를 표하는 양 알랑방귀를 줄곧 뀌어대는 바람에 이런 공명정대함을 실행에 옮길 수 없다면, 그렇다면 세상에는 실행될 수 있는 일이 하나도 없을 거예요. 나는 그런 사람들이 애국자라고는 믿지 않아요. -65쪽 예컨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유대인의 견고한 민족감정을 배반하고 나치 전범 재판 과정을 조소했을 만큼 한나 아렌트의 사유는 공명정대함이 뼈대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유대인적 정체성을 굳이 숨기려 들지 않았다. 현상을 본질대로 보는 공정함은 그의 학자적 양심이자 좌우명이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바른말을 하는 소신이 종종 ‘자유주의자’라는 오해를 부르기도 했는데, 한나 아렌트는 이렇게 해명한다. 나 자신이 내가 자유주의자라는 걸 전혀 확신하지 못하겠다고 말할 때 당신이 충격을 받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있잖아요, 나는 결코 자유주의자가 아니에요. 그리고 나는 이런 의미에서는 어떤 신조도 갖고 있지 않아요. 나는 하나의 주의(ism)라고 부를 수 있는 명확한 정치철학이 없어요. -177~178쪽 우리가 동화된 유대인에 관해 말할 때 그건 주위를 에워싼 문화에 동화되는 것을 뜻하는데, 그런 건 존재하지 않아요. 이 나라에 있는 유대인들이 어디에 동화돼야 마땅한지에 관해 친절하게 설명 좀 해줄래요? 아일랜드인의 문화에? 독일인의 문화에? 프랑스인의 문화에? 이 나라에 온 사람들…… 제각각의 문화에? -185쪽 1975년 세상을 떠난 한나 아렌트의 말이 지금도 유효한 것은 특정 슬로건

Collections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