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작가의 말 들어가는 글 -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라 당신은 귀신을 믿습니까 │ 원한을 품고 되돌아오는 여성들 필기·야담이란? 1 범죄의 피해자가 된 여성들 - 귀신은 끝없이 민원을 넣는다 살해당한 피해자는 귀신이 된다 │ 귀신 잡는 사대부들 │ 왜 그들은 원님을 찾았을까 공안 이야기란? 2 계모의 모함을 받은 전처 딸들 - 누명을 쓰고 자결한 이들은 돌아온다 의지할 곳을 잃은 딸들 │ 계모, 전처의 재산을 탐내다 │ 자살, 결백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다 │ 아버지는 대체 어디에 있는가 자궁가족이란? 3 권력과 차별 속에 짓밟힌 사랑 - 연심도 욕망도 여성의 몫은 될 수 없었다 권력이 두 사람을 갈라놓을 때 │ 권력자는 귀신의 입마저 틀어막는다 │ 사랑, 이 세상과 저세상의 경계를 넘다 │ 자결로 끝나버린 연심들 │ 괴물이 된 여성, 여성이 된 괴물 │ 신부는 신랑을 기다리고 있다 인간이 아닌 이류와의 사랑 이야기 4 조선 시대 가정 잔혹사 - 안채도 규방도 안식처는 될 수 없었다 부인과 첩. 총애를 위해 살인을 벌이다 │ 죽은 전처가 산 후처를 몰아낼 때 │ 시집살이가 일으킨 참극 │ 자식을 두고 떠나지 못하는 어머니 칠거지악, 남성에게만 편리한 이야기 5 전쟁과 재난의 피해자가 된 여성들 - 난세는 약자의 지옥이었다 전쟁의 희생자들이 입을 열다 │ 안식을 위해서는 장례가 필요 하다 │ 죽음의 공포가 빚은 귀신의 형상들 조선 후기 한성의 부동산 문제 6 원귀를 위로하는 여성 의례의 힘 - 산 여성이 죽은 여성을 위로할 때 굿, 여성들의 의례 │ 집을 보살피는 신령들 │ 세상 떠난 가족을 달래다 여성 중심의 무속 문화 7 지워지고 잊힌 우리의 여신들 - 여성, 신이 되다 세상을 만든 태초의 여신들 │ 여신, 나라를 세우고 수호하다 │ 인간과 닮아가는 산신들 │ 여성의 고난을 겪고 인간의 신이 되다 │ 호구신으로 좌정한 여성들 서울굿의 순서 나가는 글 - 지금도 계속되는 여성들의 이야기 부록 - 여성 귀신에 대한 자료,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필기·야담 속 여성 귀신 이야기 │ 『한국구비문학대계 소재 설화 해제』 속 여성 귀신 이야기 │ 고소설 속 여성 귀신 이야기 참고 문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