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왜 인도를 대표하는 사상은 베단따인가?
이 책은 인도에서 정통 중의 정통으로 간주되고 불교 사상과 치열하게 경쟁했던 베단따 사상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베단따는 어떤 힘을 통해 인도를 대표하는 사상이 될 수 있었을까? 베단따의 사상적 힘은 수천 년 동안 인도적인 사유와 수행에 어떤 흔적을 남겼을까? 바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해 우리는 베단따의 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대체로 베단따의 사상적 가치 혹은 사상사적 가치를 조명하는 데 집중한다. 우빠니샤드부터 시작되어 현대까지 전해져온 베단따 사상을 단일한 이론체계와 실천체계로 간주하면서 그 힘의 정체를 파악하고 그 힘의 영향을 추적한다.
이 책은 1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 해당하는 1장은 베단따 사상을 총괄적으로 소개하였고, 2장은 베단따 사상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본론에 해당하는 것은 3장부터 13장까지 11개의 장으로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베단따 사상의 11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14장은 베단따 사상과 다른 사상들의 상호작용을 개진하였으며, 결론에 해당하는 15장은 베단따 사상의 의의, 한계, 전망 등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결국 이 책의 목적은 베단따 사상의 다채로운 면모를 인도의 대표적인 사상이라는 관점에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도적 사유의 전형과 인도인의 원형적 사고방식을 확인하고, 그러한 베단따 전통의 힘이 오늘날 어떻게 계승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