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 Humanities
48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7(802)
Rate
3.7
Average Rating
(802)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표작이자 서양 윤리학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고전(古典)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이 책에서 그는 인간의 삶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러한 궁극적 목표를 위해 인간은 무엇을 추구해야 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물음을 제기한다. 이를 통해 그는 서양윤리학의 근간을 세우는 이정표를 남기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핵심 개념은 '행복'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 7장에서 연구자들 사이에서 '기능 논증'이라고 일컬어지는 분석 틀에 입각해 행복의 구체적 정의에 도달하고자 한다. "각각의 인공적 존재의 기능은 무엇인가? 각각의 자연적 존재의 기능은 무엇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기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들의 연쇄로 이루어진 이 논증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하나의 의미심장한 결론을 도출해낸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고유 기능은 '탁월성에 따르는 이성적 영혼의 활동'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인간의 최고선이며 행복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반성적 수준에서의 행복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탁월성'이란 무엇이며, 또 탁월성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가 말하는 탁월성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지적 탁월성이고 나머지 하나는 성격적 탁월성이다. 지적 탁월성은 유전과 교육의 결합을 통해 생겨나며, 성격적 탁월성은 모방, 실천, 습관 등을 통해 얻어진다. 우리가 계발한 습관들은 결국 품성상태(hexis), 즉 일정한 조건에서 일정한 방식으로 느끼고 행동하는 안정적 성향으로 전환된다.
Rating Graph
Avg3.7(802)

Author/Translator

Comment

40+

Table of Contents

머리말 7 제1부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 13 제2권 51 제3권 79 제4권 121 제5권 159 제6권 203 제7권 233 제8권 277 제9권 315 제10권 349 제2부 부록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사상 388 『니코마코스 윤리학』 작품 해제 406 『니코마코스 윤리학』의 구조: 철학적 입문 424 성격적 탁월성과 악덕의 도표 453 용어해설 454 참고문헌 465 찾아보기 479

Description

2,300년을 이어온 서양 윤리 사상의 정수!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양 지성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데에 이견을 제시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만큼 그가 끼친 사상사적 영향은 엄청난 것이었다. 17~18세기 무렵까지 유럽과 지중해 연안 국가들에서는 철학과 과학의 역사가 대부분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수용, 전개, 비판한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대 이후 비록 아리스토텔레스의 지배적 권위가 상실되고 나서도 그의 사유는 근대 지성인들의 체계적 학문 활동에 중요한 방법론적 역할을 해왔다. 그의 방대한 저작 가운데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그의 사상을 대표할 만한 작품이며, 특히 이 책의 가치는 2,3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서양 윤리학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고전(古典)으로 꼽히고 있다. '행복'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핵심 개념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이 관심을 갖는 것은 인간의 행복(eudaimonia)이다. 행복이 윤리학적 사유의 핵심 주제라는 것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에서부터 명확히 드러난다. 이 책의 전체 텍스트에서 개진되고 있는 숱한 세부적 문제들과 숱한 관련 논문들은 모두 하나의 기본 관심사, 즉 "어떤 삶이 좋은 삶, 즉 행복한 삶인가?"라는 하나의 문제에 정위(定位)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철학적 행복론을 구성할 때 건전한 상식을 따르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행위들이 지향하고 있는 궁극적인 목적은 최고선이며, 최고선은 다름 아닌 행복이다. 행복이란 인간의 좋음[선] 중에서 가장 큰 선이다. 우리가 최고선으로서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어떤 다른 목적이 있어서가 아니라 행복 그 자체를 위해서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 7장에서 연구자들 사이에서 '기능 논증'이라고 일컬어지는 분석 틀에 입각해 행복의 구체적 정의에 도달하고자 한다. "각각의 인공적 존재의 기능은 무엇인가? 각각의 자연적 존재의 기능은 무엇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기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들의 연쇄로 이루어진 이 논증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하나의 의미심장한 결론을 도출해낸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고유 기능은 '탁월성에 따르는 이성적 영혼의 활동'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인간의 최고선이며 행복이라는 것이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른 모든 것을 배제하고 탁월성만 갖고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상식에 따라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물질적 조건도 충족되어야 한다고 그는 지적한다. 그러나 물질적 조건들은 인간의 행복을 위한 필요조건일 뿐이다. 행복을 구성하는 핵심 인자는 탁월성[덕]이다. 탁월성 ― 행복을 구성하는 핵심 인자 따라서 우리는 반성적 수준에서의 행복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탁월성'이란 무엇이며, 또 탁월성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가 말하는 탁월성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지적 탁월성이고 나머지 하나는 성격적 탁월성이다. 지적 탁월성은 유전과 교육의 결합을 통해 생겨나며, 성격적 탁월성은 모방, 실천, 습관 등을 통해 얻어진다. 우리가 계발한 습관들은 결국 품성상태(hexis), 즉 일정한 조건에서 일정한 방식으로 느끼고 행동하는 안정적 성향으로 전환된다. 성격적 탁월성은 성격적 상태가 중용(中庸)의 원칙과 일치할 때 얻어진다. 탁월한 발휘의 품성상태, 즉 탁월성은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중간 상태로 성격적 탁월성은 결국 우리와의 관계에서 성립하는 중용 안에 있으면서 합리적 선택을 하는 품성상태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고전 그리스 문명이 지닌 도덕적 세계관의 정점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 책에서 그는 인간의 삶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러한 궁극적 목표를 위해 인간은 무엇을 추구해야 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물음을 제기한다. 이를 통해 그는 서양윤리학의 근간을 세우는 이정표를 남기게 되었다.

Collections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