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7년 전 이 책은 대한민국 최초의 영화의상 디자인 전문서였다. 그리고 지금은 가장 최신의 정보를 담은 영화의상 전문서다. 영화의상 디자인의 개념은 물론 디자인 구상부터 구현, 촬영 현장에서의 커뮤니케이션까지 영화의상에 관한 모든 것을, 저자가 직접 참여한 영화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영화의상을 공부하는 학생과 현장에 몸담고 있는 디자이너에게 생생한 실무 정보를 준다. 영화의상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모든 것 영화 속 캐틱터를 완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물론 연기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그 연기에 개연성을 더해 주는 것은 의상이다. 의상은 캐릭터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면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거나 함축한다. 그래서 영화의상은 곧 시각예술이며, 독립적인 영상 언어다. 이 책은 영화의상에 대한 국내 최초의 전문서다. 7년 전 초판이 나온 이후 영화의상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꾸준한 호평을 받은 교과서일 뿐 아니라 영화 현장의 실무 디자이너들에게도 현장을 이해하는 안내서로도 역할했다. 1993년 <세상 밖으로>로 영화 의상에 첫발 디딘 후 <살인의 추억> <분홍신> <루시드 드림> 등 50여 편의 필모그래피를 지닌 저자가 현장에서 몸소 겪은 체험을 바탕으로 이론과 방법을 전개한 후 실례를 보여줌으로써 영화의상 디자인 작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개정판의 특징 초판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보강했다. 특히 이 책의 핵심인 콘셉트 구상 부분은 새로운 자료를 추가해 다시 정리했다. 변화된 영화 작업 환경과 달라진 시스템도 반영했다. 그리고 디자이너가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조언을 더했다.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12장으로 이루어졌다. 1장에서는 영화의상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설명하고, 2장에서는 영화의상 디자인의 업무를 미리 이해할 수 있도록 영화의상 디자인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소개한다. 3장부터 11장까지는 영화의상 디자인의 핵심적인 업무―콘셉트, 세부 디자인, 디자인의 구현, 프로덕션에서의 의상 디자인에 대한 창조적인 접근 방법과 체계적인 작업 방식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이 부분에서는 특별히 저자가 1990년대 초반부터 참여했던 작품을 실례로 적용하여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12장에서는 영화의상 디자인 작업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세심하게 다루어 영화작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영화의상 디자이너를 위한 팁(tip)으로 영화의상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조언과, 영화의상 디자이너가 참고할 만한 영화목록, 현재 활동 중인 영화의상 디자이너에 대한 정보 등도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