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장 HCI와 UX 1 HCI란 무엇인가 2 HCI의 중요성 3 UX와 HCI의 관련 개념 4 HCI의 목표: 최적의 경험 5 최적의 UX를 위한 세 가지 조건 6 최적의 경험을 위한 HCI의 기본 절차 7 HCI의 의의 2장 상호작용 1 상호작용의 의미 2 상호작용의 네 가지 절차 3 상호작용의 종류 4 상호작용의 수준 5 상호작용의 행위와 스타일 6 상호작용의 발전 추세 3장 유용성의 원리 1 문제 공간과 디자인 공간 2 심성모형 3 추상화 차원에 따른 심성모형 종류 4 보는 관점에 따른 심성모형 5 심성모형과 행위이론 4장 사용성의 원리 1 사용성의 정의와 중요성 2 사용성의 속성 3 사용성의 속성 간의 상충관계 4 핵심 속성의 선정 5장 감성의 원리 1 감성의 중요성 2 감성이란 3 정서 4 미적 인상 5 개성 6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과 감성 6장 사용자 분석 1 사용자 분석의 중요성 2 사용자의 종류 3 사용자에 대해 알고 싶은 점 4 사용자모형 5 페르소나 기법을 이용한 사용자 분석 7장 과업 분석 1 과업 분석의 중요성 2 과업 분석법의 종류 3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과업 분석법 4 맥락질문법 5 사용 시나리오 분석법 6 시퀀스모형 분석법 8장 맥락 분석 1 사용 맥락의 중요성 2 사용 맥락의 의미 및 구성 요소 3 사용 맥락을 수집하는 방법 4 자료와 정보 수집 절차 5 맥락 자료의 분석 절차 9장 기술 분석 1 기술 분석의 중요성 2 디지털 플랫폼 3 입력 장치 4 출력 장치 5 네트워크 장치 6 저장 장치 7 처리 장치 8 통합적 기술 분석 방법론 10장 콘셉트 디자인 1 콘셉트의 개념 2 새로운 콘셉트 도출하기 3 핵심 콘셉트를 선정하기 4 선정된 콘셉트의 구체화: 메타포 11장 정보구조 디자인 1 정보구조 디자인의 의미 2 데이터의 유형 3 정보의 분류 4 정보구조 5 정보구조 디자인 절차 12장 인터랙션 디자인 1 인터랙션 디자인이란 2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 3 인터랙션 디자인의 지침 4 인터랙션 디자인 방법론: 스토리보드와 스토리텔링 5 전반적 스토리 구축 단계 6 구체적 스토리텔링 단계 13장 인터페이스 디자인 1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 2 시각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와 그 효과 3 기본적 시각 디자인 요소 4 복합적 시각 디자인 요소 5 시각적 구성 6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효과 7 시각적 디자인 이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8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절차 14장 사용경험 평가 1 사용경험 평가의 특징과 중요성 2 사용경험 평가의 종류 3 분석적 평가 방법: 휴리스틱 검사법 4 심층적 평가 방법: 사용경험 평가 방법 15장 경험혁신 1 공동경험과 경험혁신 2 공유하는 경험 3 합작하는 경험 4 공조하는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