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글이 있는 곳에 불은 꺼져 있고 신비가 있는 곳에 서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시대의 글은 어떻게 쓰여야 하는가? 우리 시대의 불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문학, 철학, 신학을 가로지르는 독창적인 사유와 첨예한 언어로 우리의 ‘의식’을 일깨우는 이탈리아 철학자 조르조 아감벤, 읽고 쓰기에 관한 거장의 무르익은 사유를 열 편의 보석 같은 에세이로 만난다! 우리 시대 가장 도전적이며 영향력 있는 사상가 조르조 아감벤의 최신작 ≪불과 글Il fuoco e il racconto≫이 책세상에서 출간되었다. 문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며 첨예한 언어로 독창적인 사유를 펼쳐온 조르조 아감벤은 전 세계에 번역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꾸준히 문제작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1995년 이후, 이 시대의 폭력, 정치, 삶에 대한 전복적인 사유를 담은 ≪호모 사케르Homo sacer≫ 연작을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사상가 반열에 오른 그는, 만년에 이르러서는 한층 더 풍부해진 사유와 필력을 보여준다. 자신의 지적 여정에서 본령이라 할 수 있는 ‘언어에 대한 미학적 고찰’로 다시 돌아와, 읽고 쓰기에 관한 무르익은 사유를 담아낸 ≪불과 글≫이 바로 그러하다. ≪불과 글≫은 문학에 가까운 글쓰기를 보여주는 열 편의 철학적 단상을 묶은 것으로, <불과 글> <관료주의적 신비> <비유와 왕국>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 <소용돌이> <무언가의 이름으로?> <이집트에서의 유월절> <글 읽기의 어려움에 관하여> <책에서 화면으로, 책의 이전과 이후> <창작 활동으로서의 연금술> 등, 읽고 쓰기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럼에도 모든 글쓰기, 모든 언어적 행위가 가지고 있는 비평과 창조, 관찰과 행위의 은밀한 이원론적 측면을 부각시키며 우리의 의식을 날카롭게 일깨운다는 점에서는 일관된 태도를 보여준다. 오늘날 문학이 잃어버린 ‘불꽃’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면서 ‘저항’ ‘무위’ ‘잠재력’을 토대로 하는 창조 행위의 숨겨진 의미를 재발견하도록 이끌고, 나아가 우리의 문학, 우리의 글쓰기가 지향해야 할 미래를 넌지시 암시한다. 따라서 이 책을 읽는 이들은 문학과 철학, 미학과 신학의 기묘한 동거 또는 놀라운 교유를 확인하면서, 창조 행위의 원천, 그 불꽃에 관해 새로운 통찰에 이르게 될 것이다. 우리 시대의 글쓰기에 빠져 있는 ‘불’, 그 신비의 복원에 관한 매혹적인 이야기 문학과 철학, 예술의 경계를 허물며 우리의 지적 세계에 새로운 얼굴을 부여해온 아감벤은 정치철학을 논할 때조차 함축적이고 문학적인 글쓰기를 통해 우리의 의식을 새롭게 일깨운다. 양립 불가능한 것들의 양립 가능성을 응시하는 이 독특한 철학자는 이를테면 시는 철학을, 철학은 시를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오랫동안 펼쳐왔다. 그런 신념이 잘 반영돼 있는 책이 바로 ≪불과 글≫이다. 그에 의하면 불과 글, 신비와 서사는 문학이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요소다. 그러나 한 요소가 실체로 드러나면 한 요소는 비실체로 가려진다. 글이 있는 곳에 불은 꺼져 있고 신비가 있는 곳에 서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이 신비와 서사라는 양립 불가능한 것들이 존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신비는 서사를, 서사는 신비를 필연적으로 상기시킨다. 이 ‘동시 가능성’에 주목하는 아감벤은 소설(서사)이란 신비의 상실인 동시에 그것의 기념이며, 불의 공식과 공간의 소실이자 기억으로 존재하는 장르라고 설파한다. 바로 여기서 ‘회상’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아감벤은 문학이란 잃어버린 신비를 회상하는 장르라고 설명한다. 물론 아무것도 회상하지 않는 철학과 문학이 존재한다. 현실만을 전제로 고립된 현상의 분석에 집착하는 철학과 유희에 집착하는 문학이 존재하지만 아감벤은 모든 정통한 철학과 문학은 본질적으로 ‘회상’이라고 강조한다. 인간의 삶은 사라짐(소멸)과 회상의 메커니즘을 벗어날 수 없고, 그러한 인간의 삶을 벗어난 철학과 문학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회상의 순간이야말로 삶을 하나의 신비로 기억할 수 있는 기회다. 아울러 삶을 신비로 기억할 수 있을 때만 진정한 의미의 회상, 즉 철학과 문학이 가능해진다. “고대 엘레우시스의 신비주의 입문자처럼, 작가는 암흑과 그늘 속에서 지옥의 신과 천상의 신, 망각과 기억 사이에 가로놓인 오솔길을 따라 움직인다. 이 길에는 신비의 위치를 가리키는 일종의 이정표가 배치되어 있어서 그에게 매번 불과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도록 허락해준다. 이 이정표는 다름 아닌 언어다. ‘글’과 ‘불’을 분리하는 틈새와 단절이 위로받을 수 없는 상처로 드러나는 것이 바로 이 언어를 통해서다. 신비의 망각이 언어를 할퀴면서 만들어내는 이 상처를 우리는 문학 장르라고 부른다. 비극, 애가, 송가, 희극 등은 언어가 ‘불’과 더 이상 소통할 수 없음을 한탄하며 눈물을 흘리는 방식에 지나지 않는다.” ― <불과 글>에서 “시는 철학을, 철학은 시를 추구해야 한다는 저자의 오래된 생각이 맺은 결실이 ≪불과 글≫이다. 모든 글쓰기, 모든 언어적 행위가 가지고 있는 비평과 창조, 관찰과 행위의 은밀한 이원론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것이 저자의 글쓰기라면, 그래서 그가 <창조란 무엇인가?>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잠재력의 형태로 그의 메시지가 전해질 수 있다면, ≪불과 글≫은 분명히 하나의 결실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결실로 보기 위해서는 저자가 생각하는 독서 행위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참여할 필요가 있다. 본질적인 차원에서 독서 행위란 누군가가 이미 말하고 생각한 것을 자기화하면서 그것을 아직 누구도 언급한 적이 없고 생각한 적도 없는 것의 문턱 너머로 가져가는 일이다.” ― <옮긴이의 말>에서 ≪불과 글≫을 통해 처음 발표하는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를 통해 한병철의 ≪피로사회≫에 대한 철학적 비판을 감행하다 ‘글(문학)이 불(신비)에 대한 회상의 장르’라는 아감벤의 인식은 창조 행위에 대한 우리의 고정적인 시각을 전복시킨다. 불에서 글로 움직이는 ‘과정’이 문학적 창조 과정의 본질적인 측면이라면 문학적 창조의 ‘잠재력’ 또한 불처럼 신비로운 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문학적 창조 고유의 ‘무위’ 속에 머물 때만, 즉 문학적 창조가 동반할 수밖에 없는 획일적 논리를 거부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한 일이라고 아감벤은 강조하면서, 모든 정통한 철학과 문학이 회상이라는 점과 창조 행위의 본질이 무위와 저항에 있다는 점이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일깨워준다. ≪불과 글≫에 실린 열 편의 단상 중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를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아감벤은 이 글에서 창조 행위란 죽음에 저항하는 행위라고 말하면서 예술가의 무위 또한 창조 행위의 일부라고 해석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인용하고 카프카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의 입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감벤에게 창조란 무엇보다도 창조하지 않을 수 있는 힘을 가리킨다. 집을 짓고 있지 않는 건축가는 건축가가 아니냐는 질문까지 던지면서 아감벤이 강조하는 것은 ‘창조적 행위 속에 내재하는 무위’다. 무위에 대한 이러한 전복적인 해석은 한병철 교수가 ≪피로사회≫의 <바틀비의 경우>라는 장에서 아감벤을 두고 지적했던 부분에 대한 답변이자 ≪피로사회≫의 철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으로 읽을 수 있다. 물론 아감벤이 한병철 교수의 이름이나 ≪피로사회≫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허먼 멜빌의 소설 <필경사 바틀비>에 대한 한병철과 아감벤의 분석이 첨예하게 나뉘는 것만큼은 사실이다. 간단히 말해, 아감벤은 바틀비가 창조 행위를 계속해서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