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한국이 유교적인 사회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째서 유교적인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물음에 명쾌하게 답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유학이었는데, 성리학의 특징은 ‘리’와 ‘기’라는 두 개념으로 인간과 사회와 우주를 통일적으로 설명한다는 데에 있다. 여기에서 ‘리’가 도덕과 이념을 의미한다면 ‘기’는 욕망과 현실을 나타낸다. 성리학에서는 현실이 이념에 따르고 욕망이 도덕의 인도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리와 기 중에서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여 한국 사회를 분석하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에 의하면 한국인에게는 도덕과 이념을 중시하는 ‘리’적인 측면과, 변화와 현실을 ‘기’적인 측면이 모두 들어 있고, 이 양면성이야말로 한국 사회를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근본적인 요인이다. 이 책은 현대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틀로서 리와 기라는 내재적인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법론과는 선을 긋고 있다. 종래에 한국을 분석하는 이른바 ‘과학적인’ 방법들은 대개 서양의 사회과학 이론이나 철학적 담론과 같은 외부의 시각에 의존해 왔는데, 그 이유는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른바 서양에서 훈련받은 해외 ‘유학파’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유학적 지식을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조선시대 유학을 설명하는 데에 주로 사용해 왔다. 다시 말하면 한국의 원형을 아는 사람들은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적고,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국의 원형에 어두웠던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한국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저자와 같은 내재적인 방법론이 나오지 못했던 이유이다. 외국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한국문화가 지니는 독특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 독특성의 원인을 한국인의 ‘리’ 지향성에서 찾고 있다. 여기에서 ‘리’는 ‘도덕’의 다른 말로, 한국인들의 가장 큰 특징은 ‘도덕지향적’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인들의 도덕지향성을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사고방식 속에서 하나하나 증명해 나감으로써 일본인들에게 한국을 이해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