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이야기

공원국
32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4.2(10)
0.5
4.5
5
Rate
4.2
Average Rating
(10)

공원국의 <춘추전국이야기> 개정판. 춘추전국시대란 기원전 770년 주(周)나라가 융족에게 밀려 동쪽 낙양(낙읍)으로 옮겨온 시대부터 진(秦)이 전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 대략 550년의 기간을 말한다. 중국의 역사는 상(商)나라에서 시작되어 주나라와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거대한 제국으로 발전했다.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황하를 비롯한 큰 물줄기들 주위에는 강력한 중앙집권제 국가들이 탄생했다. 또 노예를 대신하여 일반 백성들이 생산을 담당하는 농업국가의 기틀이 마련되고 국가 규모의 조세체계와 상비군이 탄생했다. 전국시대 말기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진(秦)이 경쟁자인 6국을 흡수하여 최초로 통일제국을 이루었고, 한(漢)이 이를 계승하여 오늘날 우리가 '중국'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몸체가 탄생했다. 춘추전국시대가 '중국'이라는 거대한 뼈대가 탄생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며, 그 뼈대 위에 이후 역사의 살이 덧붙여져 오늘날의 중국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춘추전국이야기>는 열국의 치열한 각축과 흥망성쇠를 거시적인 흐름에서 조망한다. 끊임없이 대립, 융합, 발전하는 춘추전국의 시대상이 치밀한 현장답사와 자료 고증을 통한 저자의 노력으로 오롯이 담겨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와 미래를 통찰하는 안목을 기르고, 또한 인생의 영욕과 애환,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내는 세상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4.2(10)
0.5
4.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주요 등장인물 책머리에 여는 글: 제자백가의 시대 1. 통치는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2. 국가의 탄생 제1장 다스림의 근본: 인덕仁德인가 법술法術인가? 1. 맹자의 전통 대 한비자의 변법 2.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3. 다스림의 주역은 군주인가 군자인가 4. 기밀주의 대 공개주의 제2장 법치와 질서, 경제, 전쟁 1. 법치론: 법의 효용과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2. 전국시대 경제와 전쟁에 대한 논의 제3장 전국시대의 계급투쟁, 묵자와 순자의 예 논쟁 1. 예의 본질: 질서의 열쇠인가 차별의 굴레인가 2. 음악의 본질: 교화의 수단인가 혼란의 단서인가 3. 장례의 본질: 산 사람을 위한 절제 대 죽은 사람을 위한 정성 4. 전쟁을 이해하는 관점 사회자 평론 - 묵가는 유가를 살찌웠다 제4장 장자, 절대적 생명과 평등을 부르짖다 1. 소용없는 것의 소용 2. 만물은 평등하다 3. 최상의 참여는 관조 4. 장자의 정치관 사회자 논평 - 무위는 존중이다 에필로그: 고대철학과 실용학문 1. 철학이 실용학문을 이끈다 2. 철인의 삶, 상갓집 개와 버림받은 처녀 부록: 플라톤의 국가론에 비추어본 고대 중국 1. 명예제 2. 과두제 3. 민주제, 그리고 참주제 찾아보기

Description

전대미문의 사건과 인물 군상이 집약된 춘추전국시대, 거대한 ‘중국’의 기틀이 마련된 시대를 통찰하다! 춘추전국시대란 기원전 770년 주(周)나라가 융족에게 밀려 동쪽 낙양(낙읍)으로 옮겨온 시대부터 진(秦)이 전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 대략 550년의 기간을 말한다. 중국의 역사는 상(商)나라에서 시작되어 주나라와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거대한 제국으로 발전했다.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황하를 비롯한 큰 물줄기들 주위에는 강력한 중앙집권제 국가들이 탄생했다. 또 노예를 대신하여 일반 백성들이 생산을 담당하는 농업국가의 기틀이 마련되고 국가 규모의 조세체계와 상비군이 탄생했다. 전국시대 말기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진(秦)이 경쟁자인 6국을 흡수하여 최초로 통일제국을 이루었고, 한(漢)이 이를 계승하여 오늘날 우리가 ‘중국’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몸체가 탄생했다. 춘추전국시대가 ‘중국’이라는 거대한 뼈대가 탄생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며, 그 뼈대 위에 이후 역사의 살이 덧붙여져 오늘날의 중국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춘추전국이야기》는 열국의 치열한 각축과 흥망성쇠를 거시적인 흐름에서 조망한다. 끊임없이 대립, 융합, 발전하는 춘추전국의 시대상이 치밀한 현장답사와 자료 고증을 통한 저자의 노력으로 오롯이 담겨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와 미래를 통찰하는 안목을 기르고, 또한 인생의 영욕과 애환,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내는 세상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제자백가, 그들은 누구이고 어떻게 전국시대 주연으로 등장했는가? 《춘추전국이야기》 6권부터는 시대적 배경이 난세의 피 튀기는 전국시대로 옮겨간다. 춘추 말기, 초楚나라는 왕족들이 나누어 가졌고, 진晉나라는 6경이 나누어 가졌지만 대륙에 평화가 온 것은 아니었다. 전보다 더 넓은 땅과 더 많은 인민을 다스리고, 나라 사이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더는 과거의 통치 방식이 경쟁력을 보장하지 못했다. 이때 상앙이 진秦나라에서 군주와 독대하고 자신의 국정 철학을 실천해 진나라를 일약 강국의 대열로 끌어올리자, 각국의 군주들은 통치전문가 집단을 앞다투어 찾기 시작했다. 상앙을 보며 군주와 귀족들은 자신들보다 유능한 통치전문가가 필요함을 깨달았고, 신분의 질서를 넘어 경세의 철학과 능력으로 무장한 이들이 그들에게 유세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휘했다. 그들이 바로 제자백가다. 전국시대 정치·경제·사회를 이끈 백가쟁명의 치열한 논쟁 전국시대는 역사를 통틀어 지식인들이 가장 폭넓은 사상적 자유를 누렸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단일한 권력 아래 정치적인 통합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라면 사상의 자유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전국시대의 정치적 분열이 오히려 다양한 사상의 만개를 가능케 한 조건이 되었던 셈이다. 이 책은 이런 전국시대의 정치적 분열을, 전국시대에 활약한 수많은 제자백가 사상가의 생각을 통해 한눈에 보여준다. 유가·법가·묵가·도가의 대표자인 맹자·한비자·순자·묵자·장자 등이 한자리에 모여, 세상을 다스리는 원리, 법치·경제·전쟁에 관한 의견 대립, 예禮(질서·음악·장례 등)에 관한 고민 등 전국시대 전반을 지배했던 다양한 주제를 ‘논쟁’이라는 방식을 빌려 이야기한다. 각 사상가의 시대적인 진폭이 크지만, 수천 년의 긴 역사와 대비할 때 이 시기 사람들의 문제의식은 거의 비슷했기에 몇십 년 혹은 몇백 년을 극복하고 한 토론의 장으로 모을 수 있었다. 이 책은 독자들이 제자백가의 사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죽은 인물들을 책으로 소환시켜,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전국시대의 상황을 이해하는 방식을 택했다. 독자들은 이 치열한 논쟁의 중심으로 들어가 그들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훑어볼 기회를 가지게 된다. 제자백가의 사상을 이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변증법 이 책은 《춘추전국이야기》 6권에 해당하지만 사실상 별책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편년체 서술방식에서 벗어나 문답식 토론방식을 택했다. 저자가 ‘제자백가들끼리의 가상대화’라는 파격적인 서술 방식을 택한 이유는, 이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자백가의 사상을 비교·분석할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제자백가의 책들은 처음부터 논쟁을 목적으로 씌어졌다. 서로가 ‘너는 틀렸고 나는 옳다’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다면 수많은 제자백가 가운데 누가 더 지혜로웠는지, 어느 주장이 더 훌륭했는지 서로 직접 논쟁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은 어떨까. 그것이 독자를 제자백가의 무대로 바르게 인도할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우리가 제자백가의 사상을 이해할 때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제자백가의 언설이 오늘날 그 어떤 위정자들의 말보다 진실하다 해도, 그 화려한 수사 뒤에는 부정할 수 없는 계급적 저의가 숨어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수사와 함의를 구분하고 처음과 끝을 다 들어야 진심과 저의도 드러난다. 그러니 그들의 설을 읽을 때는 여기서 한 구절 저기서 한 구절을 떼어다가 해설을 붙이는 것보다는 통째로 탐구하고, 반복해서 되물어봄으로써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변증법이다. ‘대담’이라는 이 책의 서술방식은 그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결과물이다. 혼란의 시대, 참된 정치를 논한 사상가들의 향연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여는 글_제자백가의 시대〉에서는 각 사상의 대표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난세의 혼란을 해결할 것인지, 그들이 생각하는 국가 관념 등에 대한 의견을 간단히 살펴본다. 〈제1장_다스림의 근본: 인덕仁德인가 법술法術인가〉에서는 유가의 대표자와 법가의 대표자가 나서서 격론을 벌인다. 유가 가운데 가장 화려한 변론을 뽐내는 맹자와, 글 속에 뼈가 있는 한비자가 토론의 장으로 나오고, 각 진영의 보조자들이 종종 등장한다. 그들의 철학은, 인간의 본성에서 나온 고찰에서부터 서로 어긋나기 시작해 법의 본질, 국가의 존재 의미, 군주의 역할에 이르면 서로 격앙된 말을 주고받는 치열한 논쟁에 들어선다. 〈제3장_전국시대의 계급투쟁, 묵자와 순자의 예 논쟁〉에서는 유가의 합리주의자 순자와, 유가의 예禮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묵자가 나와 예의 본질(계급의 본질)은 무엇인지, 의義의 본질은 무엇인지에 대해 격론을 벌인다. 그 시대 사회 전반의 첨예한 문제가 예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제4장_장자, 절대적 생명과 평등을 부르짖다〉에서는 ‘국가 자체를 넘어서는 국가이론’을 주장하는 장자와 세상사 전반을 두고 담론을 나눈다. 저자는 장자를 ‘전국시대 전체와 맞선 휴머니스트이자 중국사의 모든 전체주의와 맞선 생명주의자’이며 장자의 사상을 ‘중국을 넘어 세계적인 보편성을 얻은 학문’이라고 평한다. 〈에필로그_고대철학과 실용학문〉에서는 철학자들의 걸러지지 않은 음성을 직접 들으며 철학을 한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기고, 〈부록_플라톤의 국가론에 비추어본 고대 중국〉에서는 플라톤의 국가론과 비교해 중국 고대 국가의 성격을 되새겨본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