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사라지지 않고 도착하는 낮은 울림 “사람마다 다른 목소리가 있죠. 누구에게나 말입니다.” 멀리서 찾아오는, 나를 부르는 목소리 “오래전에 읽은 책에 그런 말이 있었어요. 인간이 한 모든 말의 파동은 남는대요. 사라지지 않고. 사물에, 벽에, 공기 중에. 그래서 모든 공기 중에는 음성 파동이 진동하고 있다고요. 누군가가 누군가를 애타게 부르던 음성이 공기 중에 남아 있다가 나에게 도착하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어요.”_ p. 128 2017년 첫 소설집 『코러스크로노스』를 통해 독보적인 소재와 자신만의 끈질긴 수사를 선보인 윤해서의 두 번째 작품집 『암송』이 아르테 ‘작은책’ 여섯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농밀하고 시적인 언어와 SF적 상상력을 한껏 발휘한 첫 소설집을 통해 ‘기존의 재현적 언어를 답습하지 않는, 새로운 양상의 허구’, ‘사람, 사물, 언어의 항구적인 이동’이 카오스로 발생하는 ‘여행 서사’를 그려낸 윤해서는, ‘가장 거대한 것에서 가장 미소한 것까지, 한달음에 파악’하는 특유의 서사 방식에 대해 ‘이런 스케일과 속도는 시공간의 규모를 계측하는 음악적인 방법’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다. 윤해서는 새로운 소설 『암송』을 통해 특유의 서사적 매력과 음악적 특징을 고스란히 담아 보여주면서도,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곳’ 가까운 자리에서 ‘현실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암송』에는 독일과 한국, 멀리 떨어진 두 나라에서 각자의 일상을 사는 여덟 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이들은 재난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이기도 하고, 그 당사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생존자이기도 하다. ‘선주’와 ‘미소’는 바로 이 삶과 죽음이 중첩된 공간, ‘떠도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밀려드는 공간’에 머물고 있다. 윤해서는 떠도는 목소리들을 통해 광활하고 낯선 허구의 공간을 새로이 만들어내고, 이런 허구적 공간에서 펼쳐지는 ‘삶과 죽음’, ‘단절과 연결’, ‘믿음과 환상’ 같은 문제들을 촘촘히 꿰어나간다. 작가도 우리도 피해갈 수 없는 우리의 사건, 삶이라는 재난에서 남겨진 우리는 이 소설을 통해 어떤 새로운 답을 발견할 수 있을까. *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는 소리책으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팟빵〉 〈밀리의 서재〉에서 아르테 ‘작은책’을 검색해 보세요. 개성 있는 목소리가 소설 감상의 또 다른 매력을 선사합니다. 머무는 사람들, 지속되는 삶 “하늘에서 갑자기 사과가 떨어진다. 거대하고 뜨겁고 끔찍한 사과가. 우연히.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들의 머리 위에. 삶을 구멍 낸다. 완전히 뻥 뚫린다.”_ p. 153 『암송』은 홍콩 페리 사고로 혼수상태가 되어 목소리로만 세상에 존재하게 된 ‘미소’와 세상을 떠도는 목소리를 혼자만 듣게 되는 ‘선주’, 그리고 한국을 떠나 활동해온 재독 피아니스트 ‘정애길’과 그의 아들 ‘모로’의 이야기가 교차로 얽혀 전개된다. ‘모로’는 엄마가 간직한 슬픔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으로 오게 되고, 엄마가 남긴 이름 ‘미애’와 ‘미소’를 찾으려 한다. 이 과정에서 ‘미소’의 사고와 ‘정애길’의 죽음이 ‘미애’의 죽음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모로는 ‘미애’가 ‘사회적 재난’의 공적인 희생자들 중 한 명이었다는 사실에 겹쳐 ‘미소’의 사고가 얼마나 엄마의 삶을 더 가혹하게 내몰았는가를 깨닫고 심장이 나뉘어지는 고통을 느낀다. 작가는 이 궤적을 여러 인물의 암송(목소리)을 통해 인간의 삶은 단독의 것이 아닌 얽히고 만나는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여실히 보여준다. 윤해서는 단편소설 「우리의 눈이 마주친다면」(문예중앙, 2016)에서 해양사고로 쌍둥이 오빠 ‘영인’을 잃은 ‘영수’와 ‘영인’의 연인 ‘김선’을 통해 불의의 재난과 이를 둘러싼 주변인들의 아픔을 작품으로 녹여낸 바 있다. 새롭게 발표한 『암송』까지 최근 윤해서가 골몰하고 있는 주제를 들여다보면, 개인의 삶에 들이닥친 재난과 그 주변인들이 경험하는 상실의 정서를 깊이 체감하며 들여다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에서 갑자기 떨어져 삶을 구멍 내고 마는 사과 같은 재난.’ 이러한 사건을 대하는 주제 의식은 최근 한국 사회가 경험한 숱한 재난들에서 벗어날 수 없는 작가적 현실을 엿보게 한다. 우리 사회는 이런 사고를 두고, 누군가는 ‘사회적 문제’라 칭하고, 누군가는 ‘개인에게 일어난 불행한 사고일 뿐’이라 칭하면서 사회적 갈등을 빚기도 했다. 갈등은 우리가 하나의 재난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있어, 개개인의 사회적 위치와 감수성에 따라 얼마나 다른 이해를 가질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윤해서는 소설이 할 수 있는 일, 소설만이 가능한 일로서 보다 깊이 그들에게 다가서고자 했다. 소설 『암송』이 또 한 번, 재난이 드러내는 참담함의 기저에 감춰진 개인과 공동체의 보이지 않는 고난의 순간을 들춰낸다. 지난 날, 우리가 어떤 마음으로 본 적 없는 타인을 향해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는지, 지금 우리의 마음과 맹세는 어떻게 지켜지고 있는지 돌아보게 되는 순간이다. “당신의 목소리. 너의 진짜 목소리를 기억해.” “나는 끊임없이 존재하면서 사라지는 이 믿음을 포기할 수 없어. 당신은 돌아올 거야. 당신은 여기 있어. 당신은 절대 사라지지 않아.”_ p. 100 형체 없는 목소리들을 듣기 시작한 후, 점점 사회에서 고립되어가고 있던 ‘선주’는 자신의 이름을 불러주고 곁을 내어주는 ‘모로’를 만나 희박해지던 현실감각을 서서히 되찾기 시작한다. 잠시 비춰진 10년 후 미래의 선주는 여전히 들려오는 목소리들 가운데서도 자신의 손을 잡은 꼬마가 ‘엄마’라고 부르면,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응’이라 응답하며 누군가의 곁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린다. 어둠 속에서 점점 희미해져가고 있던 미소는 그의 연인 현웅이 부르는 소리를 들은 후부터 삶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과 힘을 되찾는다. 윤해서는 누군가를 향한 하나의 목소리가 대상에게 가닿는 여러 순간을 통해, 그 순간이 바로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음을 서로에게 가장 투명하게 증명하고 증명받는 방식이란 것을 주의 깊게 그려냈다. 돌이킬 수 없는 ‘사후’의 순간에도 엄마의 죽음을 거슬러 올라가는 ‘모로’, 죽음의 문턱에서 연인에 대한 기억만은 간절히 붙들고 있는 ‘미소’, 그 곁을 지키는 ‘현웅’. 이들은 모두 상실의 세계에 있는 사람들이지만 과거로의 복귀나 완전한 회복이 불가능함을 알면서도, 사랑하는 사람 곁에서 느끼는 ‘애틋한’ 마음으로 멈추지 못하고 사라진 사람을 반복해 부른다. 목소리로 남은 존재들의 뒤늦은 고백, 부르는 말, 옛 노래들처럼 그 마음은 이 세상 어딘가 보이지 않는 파동으로 영원히 남겨진다. 우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며 서로를 찾고 부르는 수많은 목소리와 함께 존재한다.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도 완전히 잊히지 않고 기억되는 존재들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