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인간에게는 ‘부족 본능’이 있다. 우리는 집단에 속해야 한다. 우리는 유대감과 애착을 갈구한다. 그래서 클럽, 팀, 동아리, 가족을 사랑한다. 완전히 은둔자로 사는 사람은 거의 없다. 수도사나 수사도 교단에 속해 있다. 하지만 부족 본능은 소속 본능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부족 본능은 배제 본능이기도 하다. 어떤 집단은 자발적이고 어떤 것은 그렇지 않다. 어떤 부족은 즐거움과 구원의 원천이고, 어떤 것은 권력을 잡으려는 기회주의자들의 증오 선동이 낳은 기괴한 산물이다. 하지만 어느 집단이건 일단 속하고 나면 우리의 정체성은 희한하게도 그 집단에 단단하게 고착된다. 개인적으로는 얻는 것이 없다고 해도 소속된 집단의 이득을 위해 맹렬히 나서고, 별 근거가 없는데도 외부인을 징벌하려 한다. 또한 집단을 위해 희생하며 목숨을 걸기도 하고 남의 목숨을 빼앗기도 한다. 그런데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족적 정체성은 ‘국가’가 아니다. 인종, 민족, 지역, 종교, 분파, 부족에 기반을 둔 것들이다. 인종은 미국의 ‘빈민’을 갈랐고 계급은 미국의 ‘백인’을 갈랐다 2012년 5월 1일 미국 월스트리트에서는 ‘점령하라’라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기치로 내걸은 시위였다. 그런데 참여자들을 조사한 결과 90.1%가 고졸 이상, 81.2%가 백인인 것으로, 또 다른 조사에서는 참가자 절반 이상의 소득이 7만 5000달러가 넘는다고 나타났다(179~180쪽). 다시 말해 이 운동 참여자들은 백인, 고학력자에 부유한 사람이었으며, 정치 활동 참여도도 인구 비례 대비 훨씬 높았다. ‘점령하라’는 빈자를 돕기 위한 운동이었지만, 사실상 빈자를 포함하지 않는 운동이었다. 노동자 계급 미국인은 이 운동에 참여만 하지 않은 게 아니라 이런 ‘정치 활동’ 자체를 싫어한다. 실제로는 투쟁을 경험해 본 적도 없고 노동자 계급과 아무런 관련도 없으면서, 그저 SNS에 ‘인증’하기 위해 자신들을 ‘밈(meme)’으로 이용한다며 혐오한다.(183쪽) 오늘날 미국 사회는 두 개의 백인 부족으로 분열되어 있다. 첫 번째는 위와 같이 정치 활동 참여도가 높고, 코즈모폴리턴적 가치를 받아들인, 자신을 ‘세계 시민’이라고 생각하는 ‘도시/연안 지역’의 백인이다. 이 미국 엘리트 계층은 자신이 ‘부족적’인 것과는 정반대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코즈모폴리턴주의’는 고학력에 세계 여러 나라를 다녀볼 수 있었던 엘리트 계층의 배타적인 ‘부족적 표식’이다. 이 표식은 부족 바깥의 외부인을 매우 분명하게 가려낼 수 있게 해 주는데, 여기에서 외부인은 USA를 연호하는 촌뜨기들이다. 두 번째 백인 부족은 교육 수준이 낮고, 인종주의적이며,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