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장 가족, 통치의 모델에서 통치의 도구로 죽게 하는 권력과 살게 하는 권력 근대 정치의 두 계열 가족, 인구, 통치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과 국가 2장 인구의 부상 국제노동기구 전문위원의 충고 인구의 출현 인구의 자연성과 사회의 실증적 발견 제3세계, 인구학적 타자 정치적 상상과 인구: 한국의 가족계획 3장 가족계획사업 어느 면서기의 기록 근대적 출산조절 대한가족계획협회 피임술의 보급 가족계획어머니회 4장 국가의 통치화 인구에 관한 지식 통치와 과학 수와 통치: 가독성의 효과 국가형성과 인구 5장 역사주의와 가족 짐승의 삶과 인간의 삶 농민과 노동자 제2의 시야: 의사들 역사주의: 시대착오와 수치의 계몽 6장 근대가족 만들기 음탕한 부채 가족계획의 성 담론 사랑, 결혼, 섹슈얼리티의 결합 가족의 정상화 7장 여성의 주체화 피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낭만적 사랑과 성찰적 주체 가정의 관리와 아동의 양육 전업주부: 성과 계급의 교차로 여성의 주체화: 자유와 권력 8장 가족과 통치 왕의 목을 자르기 국가효과 가족, 통치의 도구 길 위의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