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이 글을 쓰는 이유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는 글 1_ 「아Q정전」 서술방법과 ‘국민성’ 문제 두 가지 서술 전통 사이의 「아Q정전」 외국 소설의 영향과 ‘국민성’의 이중성 숫제 귀신에 홀린 듯하다 국민성의 우언인가, 농민의 전형인가? 2_ 직감, 중복 그리고 혁명: 아Q의 생명 과정 속 여섯 순간 아Q는 진정으로 혁명당이 되려고 했는가? 정사 계보로서 ‘정전’이라는 용어 여섯 순간의 첫째와 둘째: ‘실패의 고통’과 ‘어디로 가야 할지 모름’ 여섯 순간의 셋째와 넷째: 성과 가아, 생존본능의 돌파 여섯 순간의 다섯째: 혁명의 본능과 ‘무의미함’ 여섯 순간의 여섯째: 대단원과 죽음 3_ 루쉰의 생명주의와 아Q의 혁명 생명주의 정신, 육체, 그리고 민족주의 정치 혁명, 계몽 그리고 아래로의 초월 나가는 글_ 아Q 시대의 ‘죽음’과 ‘부활’ 옮긴이의 글 부록_ 아Q정전 제1장 서문 제2장 승리의 기록 제3장 승리의 기록 속편 제4장 연애의 비극 제5장 생계문제 제6장 중흥에서 말로까지 제7장 혁명 제8장 혁명 금지 제9장 대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