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은 소, 와인, 바다가 모두 빨갛다

기 도이처
37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0(20)
Rate
4.0
Average Rating
(20)
촘스키의 이론을 뒤집는 기 도이처의 저서. 언어가 문화를 반영하는 어떤 심오한 차원이 존재하는 것일까? 언어가 다르면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의 생각도 달라지지 않을까? 오늘날 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질문에 대해 ‘아니’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하지만 저자 기 도이처는 수많은 학자들의 생각을 정면으로 거슬러 위의 질문들에 ‘그렇다’라는 대답을 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언어와 문화의 밀접한 연관성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 문화적 차이가 심오한 방식으로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최근 제기되는 모국어가 사고방식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들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도 제시한다. 노엄 촘스키의 주장처럼, 과연 화성인의 눈으로 보면 지구상의 모든 언어가 같아 보일까? 위의 질문에 저자는 모든 언어가 본질적으로 똑같다는 기존 언어학자들의 주장에 반박하며 서로 다른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핵심은 “언어들의 차별성은 그 언어가 필연적으로 전달할 수 밖에 없는 요소에 있지, 그 언어가 전달할 여지가 있는 요소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보아스-제이콥슨 원칙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4.0(20)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서문: 언어, 문화, 그리고 생각 제1부. 거울로서의 언어 1장. 무지개 이름 짓기 2장. 현란하고 긴 파장 불빛 3장. 미개인을 찾아서 4장. 우리보다 먼저 우리 이야기를 한 사람 5장. 플라톤과 마케도니아의 돼지치기 2부. 렌즈로서의 언어 6장. 울부짖는 워프 7장. 해가 동쪽에서 뜨지 않는 땅 8장. 섹스와 신텍스 9장. 러시안 블루스 에필로그: 우리의 무지를 용서하기를 부록: 보는 사람마다 제각각인 색깔 주석

Description

★ 2011 사무엘 존슨 논픽션 상 최중 후보작 ★ 2010년 이코노미스트 최고의 책 선정 ★ 9개국 판권계약 촘스키의 이론을 뒤집는 경이로운 연구! 한 나라의 언어는 그 나라의 문화와 정신, 그리고 사고방식을 반영한다고 사람들은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사람들의 말소리만으로도 알아차릴 수 있다. 예컨대 열대지방 사람들이 자음을 대부분 흘려서 발음하는 것은 그들이 얼마나 느긋하고 게으른지를 보여준다. 또한 스페인어의 거친 말소리와 포르투갈어의 부드러운 말소리를 비교해보면 이웃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문화가 본질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이해할 수 있다. 수많은 언어들이 논리적이지 않은 문법 때문에 복잡한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지만 독일어는 다르다. 독일어는 규칙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장 정교하고 심오한 철학적 사상까지 말로 표현해낼 수 있다. 독일 사람들이 질서를 잘 지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더 나아가 서툴고 멋없는 독일 사람들의 말 속에서 제식 훈련할 때 나는 발걸음소리가 들릴 때도 있다. 그런가하면 미래시제가 없는 언어도 있다. 그런 말을 쓰는 사람들은 당연히 미래에 대한 개념이 없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죄’와 ‘벌’을 구분하지 못했다. 바빌로니아어에는 이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을 가리키는 단어가 똑같았기 때문이다. 바위가 울퉁불퉁 솟은 피요르의 모습은 노르웨이 사람들의 가파른 억양 속에 그대로 나타난다. 차이코프스키의 애처로운 곡조에서는 러시아인들의 탁한 ‘l(ㄹ)’소리가 들린다. 프랑스어는 로망스어 중에서 가장 우아하고 낭만적인 로망스어다. 프랑스어와 달리 영어는 규칙적이고 활기차고 사무적이며 명료한 언어다. 화려함이나 우아함에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지만 논리적인 일관성은 매우 중시한다. 이에 언어학자 오토 예스퍼슨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언어의 특성은, 그 나라의 민족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그렇다면 언어가 문화를 반영하는 어떤 심오한 차원이 존재하는 것일까? 언어가 다르면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의 생각도 달라지지 않을까? 오늘날 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질문에 대해 ‘아니’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언어는 본능이기 때문에, 다시 말해 언어의 토대는 우리 유전자에 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인류의 언어가 같다는 것이다. 노엄 촘스키 역시 화성인의 눈으로 지구인의 언어를 관찰해보면 모두 똑같아 보일 것이라는 유명한 주장을 했다. 그의 이론이 설명하듯 모든 언어의 깊은 곳에는 보편적인 문법이 작동하며, 똑같은 기저가 존재하며, 구성의 복잡성도 같다. 따라서 언어에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일한 측면은 언어가 인간의 본성을 표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우리 모국어가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지라도, 그러한 영향은 사소한 것일 뿐이며 모두 무시할 수 있다. 근본적으로 우리는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1세기북스 펴냄)의 저자 기 도이처는 수많은 학자들의 생각을 정면으로 거슬러 위의 질문들에 ‘그렇다’라는 대답을 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언어와 문화의 밀접한 연관성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 문화적 차이가 심오한 방식으로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최근 제기되는 모국어가 사고방식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들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도 제시한다. 호메로스에서 다윈까지, 미개인부터 과학자까지 예일 대학교 복도에서 아마존 강가까지 전 인류를 아우르는 ‘언어’에 대한 탁월한 통찰 이 책은 흥미진진하면서도 대단히 논란이 많은 주제인 언어, 문화, 그리고 인간의 정신 간의 함수관계를 다루고 있다. 그동안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사고방식에의 상관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아직도 많은 논쟁거리가 남아 있다. 그리고 기 도이처는 이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 노엄 촘스키의 주장처럼, 과연 화성인의 눈으로 보면 지구상의 모든 언어가 같아 보일까? -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과연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할까? 위의 질문들에 저자는 모든 언어가 본질적으로 똑같다는 기존 언어학자들의 주장에 반박하며 서로 다른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핵심은 “언어들의 차별성은 그 언어가 필연적으로 전달할 수 밖에 없는 요소에 있지, 그 언어가 전달할 여지가 있는 요소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보아스-제이콥슨 원칙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문화의 차이는 언어에 매우 근원적인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우리의 언어는 세계에 대해서 인식하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호메로스에서 다윈까지, 미개인부터 과학자까지, 예일 대학교 복도에서 아마존 강가까지, 전 인류를 아우르는 흥미진진한 여행을 하다보면 언어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얻게 될 것이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