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의 글 거시경제 관점에서 쉽게 풀어쓴 경제학 개론서
머리말 경제, 조금만 배우면 흐름이 보인다
준비마당 경제학, 긴장 풀고 보자!
01 | 우리는 모두 경제 속에서 살고 있다
<잠깐만요> ‘경제’의 어원을 알아봅시다
<잠깐만요> 호모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02 | 경제학, 생활을 풍성하게 해주는 학문
03 | 복잡한 세상만큼 다양한 경제학의 세계
<잠깐만요> 경제지식을 쌓아주는 인터넷사이트
첫째마당 경제성장
04 | 경제성장을 알려주는 지표, GDP
<잠깐만요> 그럼 GNP와 GNI는 뭘까요?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GDP 수치를 알아봅시다
05 | GDP를 측정하는 세 가지 방법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06 | 돌고 도는 돈, 소득의 순환
07 | 가계지출과 기업투자는 어떻게 결정될까?
<잠깐만요> 절약의 역설
<잠깐만요> 무모한 투자와 대출은 ‘야성적 충동’ 때문!
<잠깐만요> 고전파 경제학 vs. 케인즈학파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가계지출 내역, 가계저축률을 알아봅시다
08 | 흔히 말하는 GDP는 실질GDP
<잠깐만요> 우리나라도 계절조정을 시행합니다
<잠깐만요> GDP디플레이터는 물가상승률을 알려줍니다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명목GDP와 실질GDP 차이를 알아봅시다
09 | 경기순환의 4단계, 불황·회복·호황·후퇴
10 | 정부지출은 몇 배의 파급효과를 낳는다
11 | 과잉생산능력과 산출갭
12 | 불경기와 불황, 어떻게 다를까?
13 | 각 나라의 경제규모를 비교해보자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1인당GDP를 알아봅시다
14 | GDP 발표시기가 중요한 이유
둘째마당 인플레이션
15 | 가격이 오른 상태로 유지되는 인플레이션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CPI, 근원인플레이션을 찾아봅시다
16 | 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
<잠깐만요> 세테리스 파리부스,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17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뭘까?
18 |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잠깐만요> 하이퍼인플레이션 1위는 헝가리!
19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결국 인플레이션을 부른다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기대인플레이션을 알아봅시다
20 | 인플레이션이 역사에 등장한 시기는?
셋째마당 고용
21 | 고용과 실업문제가 중요한 이유
22 | 고용인구, 실업인구는 어떻게 파악할까?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인구를 알아봅시다
23 | 급여와 취업시장의 관계를 알아보자
24 | 실업이라고 다 같은 실업이 아니다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실업률과 실업자 수를 알아봅시다
25 | 경기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경기적 실업
<잠깐만요> 우리나라 실업과 경기변동의 관계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경기변동과 실업의 관계를 알아봅시다
26 | 경기변동과 고용 간에는 시차가 있다
27 | 생산성을 높여야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28 | 필립스곡선과 자연실업률의 관계는?
<잠깐만요> 정부의 당근과 채찍, 확장정책과 긴축정책
29 | 필립스곡선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잠깐만요> 나이루는 필립스의 주장과 뭐가 다를까요?
30 | 전세계적으로 노동시장이 변하고 있다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인구노령화 상황을 알아봅시다
넷째마당 무역
31 | 무역은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파는 행위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입국을 알아봅시다
32 | 비교우위에 있는 제품을 생산해 수출한다
33 | 국제수지는 무엇을 가리키는 말일까?
34 | 환율에 따라 수출과 수입은 어떻게 달라질까?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환율변동을 알아봅시다
35 | 환율을 관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36 | 통화의 공정가치를 알아보는 기준들
<잠깐만요> 빅맥지수의 대항마 아이팟지수
<무작정 따라하기> 빅맥지수를 직접 찾아봅시다
37 | 1990년대 아시아에 경제위기가 불어닥친 이유
38 | 국제무역에 대항하는 보호주의
39 | 국제무역을 지키려는 세계무역기구의 노력
다섯째마당 화폐
40 | 화폐의 기능과 역사를 알아보자
41 | 현대사회에서는 돈을 어떻게 정의할까?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통화 분류와 통화공급량을 알아봅시다
42 | 사람들이 돈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뭘까?
43 | 통화량은 대출과 예금의 반복을 통해 늘어난다
<잠깐만요>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 이용하는 지급준비율
44 | 이자율은 어떤 원리로 결정될까?
45 | 화폐량이 물가수준을 결정한다는 화폐수량설
<잠깐만요> 통화량이 경제의 움직임을 좌우하는 통화주의
46 |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밀접한 관계
47 | 대출받는 사람과 저축하는 사람
48 | 가계부채가 늘어나고 있다
<잠깐만요> 우리나라는 변동금리 대출이 많습니다
<무작정 따라하기>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현황을 알아봅시다
49 | 기업의 자금조달 방법은 대출, 채권, 주식
<잠깐만요> 우리나라 채권의 종류
50 | 대출이 경제성장을 주도한다
51 | 2007년 신용위기에서 대출이 한 역할
여섯째마당 중앙은행
52 | 중앙은행은 무슨 일을 할까?
<잠깐만요> 우리나라의 금융통화위원회
<잠깐만요>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은 한국은행
53 | 주요 선진국의 중앙은행이 설립된 시기
54 | 중앙은행은 어떻게 이자율을 조정할까?
<잠깐만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뭘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