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1장 물과 화학혁명 1.1 요절한 플로지스톤 1.1.1 조지프 프리스틀리 | 1.1.2 물 | 1.1.3 라봐지에 이론의 난점들 | 1.1.4 물이 원소일 수 있을까? 1.2 플로지스톤이 살아남았어야 하는 이유 1.2.1 플로지스톤 대 산소 | 1.2.2 화학혁명은 정말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 1.2.3 무게, 합성, 화학적 실천 | 1.2.4 플로지스톤은 어떤 좋은 점이 있을까? 1.3 선택, 합리성, 대안 1.3.1 합리성 | 1.3.2 화학혁명에 대한 사회적 설명들 | 1.3.3 비정합성 | 1.3.4 요소주의와 합성주의 사이에서 | 1.3.5 반사실적 역사 2장 전기분해: 혼란의 더미와 양극의 당김 2.1 전기분해와 그 불만 2.1.1 거리 문제 | 2.1.2 합성으로서의 전기분해 | 2.1.3 라봐지에주의를 구제하기 위한 가설들 | 2.1.4 ‘승자 없음’은 ‘승리 없음’이 아니다 2.2 굴하지 않은 전기화학 2.2.1 합성 견해는 어떻게 제거되었는가 | 2.2.2 라봐지에주의를 구제하기 위한 가설들은 얼마나 유효했을까 | 2.2.3 물을 화합물로 보는 물-화합물 전기화학의 특성 2.3 전해질 용액 속 깊숙이 2.3.1 지저분한 과학에 대한 연구의 가치 | 2.3.2 프리스틀리는 망상에 빠졌던 것일까? 실험실에서 얻은 한 견해 | 2.3.3 이온 이동에 관한 복잡한 사항들 | 2.3.4 전지의 작동 방식에 관한 논쟁 | 2.3.5 리터와 낭만주의 3장 HO일까, H2O일까?: 원자의 개수를 세는 법을 터득하기까지 3.1 볼 수 없는 것을 어떻게 셀까? 3.1.1 관찰 불가능성과 순환성 | 3.1.2 아보가드로-칸니차로 신화 | 3.1.3 원자화학에서 작업주의와 실용주의 | 3.1.4 미결정에서 다원주의로 3.2 원자화학에서 다양성과 수렴 3.2.1 화학적 원자의 개념을 작업화하기 | 3.2.2 경쟁하는 원자화학 시스템들 | 3.2.3 H2O 합의 3.3 복잡한 화학에서 미묘한 철학으로 3.3.1 작업주의 | 3.3.2 실재론 | 3.3.3 실용주의 4장 능동적 실재주의와 H2O의 실재성 4.1 물은 실재적으로 H2O일까? 4.1.1 실천 시스템 안에서의 가설 검증 | 4.1.2 상상하라! | 4.1.3 H2O: 다원주의적 진리 | 4.1.4 지식, 진보, 능동적 실재주의 4.2 능동적 과학적 실재주의 4.2.1 우리가 실재로부터 배우는 바를 극대화하기 | 4.2.2 비관적 귀납의 낙관적 해석 | 4.2.3 성공에 기초한 논증은 어떻게 실패하는가 | 4.2.4 성숙을 운운하는 미성숙함 4.3 표준적 실재론의 파리 병에서 빠져나가기 4.3.1 진리와 진리의 여러 의미들 | 4.3.2 확실성 함정 | 4.3.3 구조 | 4.3.4 지칭(쌍둥이 지구여, 안녕) 5장 과학에서의 다원주의: 행동을 촉구함 5.1 과학이 다원주의적일 수 있을까? 5.1.1 다원성: 수용에서 경축으로 | 5.1.2 일원주의와 다원주의 | 5.1.3 왜 다원주의는 상대주의가 아닌가 | 5.1.4 다원주의는 우리를 무력하게 만들까? | 5.1.5 우리가 다 감당할 수 있을까? 5.2 다원성의 혜택과 그 혜택을 얻는 방법 5.2.1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 5.2.2 관용의 혜택 | 5.2.3 상호작용의 혜택 | 5.2.4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임무 5.3 다원주의의 실천에 관한 추가 언급 5.3.1 다원주의 대 다원주의적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