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민 작가의 5년 만의 신작 그래픽 노블. 우유부단하고 소심한 시민운동가 ‘나’가 거침없는 언행으로 정면 돌파하는 기후 활동가 마야와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은 현재 기후 위기를 맞은 전 세계가 당면한 현실에 일침을 날린다. 활동가로 잔뼈가 굵은 지 오래, 시민운동 판에 진절머리를 내며 매일 아침 퇴직 준비를 하는 ‘나’ 앞에 홀로 피켓 시위를 하는 아이가 나타난다. 이름은 마야. 군더더기 없이 펼치는 마야의 당(황)당한 주장에 홀린 듯 이끌린 화자는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그와 함께 기후 정치를 하는 당을 창당하기로 결심한다. 이름하여 불가능한당. 마야의 진단에 따르면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현대 사회에서 가장 첫 걸림돌은 아픔(원인)과 행동(결과)을 이어주는 회로의 고장이다. 어떤 종류의 아픔이든 제대로 느껴야 그를 제거하기 위한 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이것이 꼬여버린 것이다. 나의 고통으로 인한 아픔(상처)과 남의 고통으로 인한 아픔(연민) 모두 마찬가지다. 전자는 팔 걷고 해결해야 하는 상처가 아닌, 누군가가 받아 주고 위로받아야 하는 상처로 변질된 지 오래이며, 후자 역시 타인에 대한 공감에서 오는 것이 아닌, 남의 고통을 느끼는 꽤 괜찮은 ‘나’를 보여 주고 싶은 욕망으로 뭉친 아픔으로 전락한 지 오래다. 마야의 이야기에 설득된 ‘나’는 회로 고장을 일으키는 주범 가운데 하나인 ‘쓰레기가슴’ 절제 시술을 받고 본격적으로 불가능한당 창당 준비에 뛰어든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