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 들어가는 글: 우리는 공간과 장소를 <경험>합니다. ▣ 1장 서론: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면 그곳은 장소가 된다 공간은 움직이는 곳, 장소는 정지하는 곳 ▣ 2장: 우리가 공간을 느끼는 두 가지 감정: 광활함과 과밀함 개방된 공간에서는 장소에 대한 열망을, 안전한 장소에서는 광활한 공간에 대한 열망을 누군가에게는 광활한, 누군가에게는 황량한 공간은 생존의 조건이자 심리적 욕구와 부와 권력의 대상이다 타인이 자신을 관찰한다고 느낄 때 우리는 공간적으로 구속받는다고 느낀다 과밀함이 즐거움이 될 때 우리의 욕망에 응해줄 때 세상은 광활하게, 우리의 욕망을 좌절시킬 때는 답답하게 느껴진다 ▣ 3장: 애틋하고도 친밀한 장소들, 그곳에서의 애틋한 경험 영영 사라지지 않을 집에 대한 애착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걸까 한 사람은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집>이 되어줄 수 있을까 작지만 애틋한 장소들: 나무 한 그루, 놀이터 담장, 가로등, 다락방 일상의 삶이 진행되는 곳 장소의 진정한 가치는 잘 포착되지 않는다 ▣ 4장: 깊숙하면서도 고요한 애착의 장소, 고향 우리의 신들, 그리고 그들이 거주하는 성스러운 곳 태어나고 자란 땅에 대한 경건한 마음 어디든 마음 한구석 둘 만한 곳 고향, 고요한 애착의 대상 ▣ 5장: 인간이 만든 공간은 우리의 감정을 살아나게 한다 건축물이 없다면 공간에 대한 우리의 감정은 덧없이 사라지고 만다 공간의 내부와 외부, 감정의 온도차를 만들다 건축은 끊임없이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6장: 공간은 우리의 신체와 인간관계에 따라 구분된다 수직과 수평, 그리고 높이에 따른 위상 전방과 후방, 왼쪽과 오른쪽 인간의 신체로 표현되는 공간적 속성 거리, 사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간적 용어 ▣ 7장: 우리의 몸과 오감은 공간과 장소를 어떻게 경험할까 공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인간의 오감 소리, 공간에 대한 경험을 극적으로 만들다 애틋한 마음과 모든 감각을 동원해서 경험할 때 장소는 현실감을 얻는다 ▣ 8장: 아이들은 어떻게 공간을 탐험하고 자신만의 장소를 탐색할까 아기들의 용감무쌍한 공간 탐험 능력 공간적 관계를 서서히 배워나가는 아이들 아이들만의 장소: 엄마품, 테이블 아래, 구석진 곳, 유아용 식탁의자, 텐트 학교에서 자신의 자리도 나만의 장소가 된다 ▣ 9장: 왜 집단에 따라 공간적 능력과 공간적 지식은 차이가 날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공간적 능력을 발휘하며 산다 낯선 곳에서 길을 찾는 능력 공간적 능력과 공간적 지식의 관계 왜 에스키모인들은 유독 공간적 지식이 뛰어날까 태평양의 섬주민들, 뛰어난 공간적 능력의 보유자들 ▣ 10장: 깊은 의미를 주는 장소가 꼭 시각적으로 특출한 것은 아니다 장소로서의 지위를 잃지 않는 것들 눈에 띄는 경계,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 내 동네, 우리 동네, 그리고 가난한 동네와 부자 동네 도시가 권력과 자긍심을 획득하는 방법 그리스 도시국가와 근대 민족국가, 모두가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갖는 구체적인 장소다 ▣ 11장: 신화적 공간은 인간의 욕구에 상상력이 반응한 것이다 두 종류의 신화적 공간 인간의 신체, 지구, 그리고 우주 솔토 인디언, 중국인, 유럽인들의 신화적 공간 신화적 공간은 결국 인간의 지적 구조물이다 ▣ 12장: 공간은 시간을 품는다 주관적 공간, 객관적 공간, 그리고 그 사이의 경계지점 밖을 바라볼 때 우리는 미래를 보고, 안을 바라볼 땐 과거를 회상한다 목적 있는 행동을 할 때 공간과 시간은 의식의 표면 위로 부상한다 우주진화론적 시간, 천문학적 시간, 그리고 인간적 시간 ▣ 13장: 시간의 흐름이 장소를 낳는다 한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갖기까지 얼마의 시간이 걸릴까 과거에 대한 숭배, 사물에 대한 애착 깊이에 가치를 더하는 것은 시간 과거의 가치에 대한 숭배는 어디까지 이어져야 할까 ▣ 14장: 에필로그: 우리의 미묘한 경험들이 공간과 장소에 의미를 불어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