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20세기 저녁과 작은 전환점들

Kazuo Ishiguro · Essay
8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48)
Rate
3.4
Average Rating
(48)
2017년 12월 10일 스톡홀름,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가즈오 이시구로가 연설한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이 한 권의 책으로 엮여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이시구로는 이 자리에서 자신의 독특한 성장 배경, 문학적 영감, 글을 쓰기로 결심한 후 그의 경력에 찾아온 전환점, 얼핏 사소하고 추레해 보이는 순간들을 되돌아본다. 그 조용하고 사적인 계시의 불꽃은 바로 그를 오늘날의 노벨 문학상 작가로 만들게 한 힘이다. 그는 마치 그가 쓴 소설처럼 관대하고 따뜻한 품성을 가지고 오늘날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이 그리는 세계를 바라본다.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우리가 마음을 열고 기대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이 책은 우리 시대 가장 뛰어난 작가가 지속적으로 글을 쓰고 작가가 되는 것에 대하여 밝힌 창작의 내밀한 과정, 그리고 작가로서의 깊은 고민을 담고 있다.
Rating Graph
Avg3.4(48)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나의 20세기 저녁과 작은 전환점들 ― 9 가즈오 이시구로의 작품들 ― 55 가즈오 이시구로에 대하여 ― 57 옮긴이의 말 ― 71 작가 연보 ― 73

Description

우리 시대 가장 뛰어난 작가가 말하는 지속적으로 글을 쓰고 작가가 되는 것에 대하여 2017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집 ∎ 2017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현대 영미권 문학을 이끌어 가는 거장, 가즈오 이시구로 그가 노벨 문학상 수상식에서 밝힌, 작가로서의 중요한 전환점들 2017년 노벨 문학상은 가즈오 이시구로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위대한 정서적 힘을 지닌 소설들을 통해 세계가 우리와 연결되어 있다는, 환상에 불과한 의식의 심연을 밝혀내 왔다.” —스웨덴 한림원 2017년 12월 10일 스톡홀름,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가즈오 이시구로가 연설한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이 한 권의 책으로 엮여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이시구로는 이 자리에서 자신의 독특한 성장 배경, 문학적 영감, 글을 쓰기로 결심한 후 그의 경력에 찾아온 전환점, 얼핏 사소하고 추레해 보이는 순간들을 되돌아본다. 그 조용하고 사적인 계시의 불꽃은 바로 그를 오늘날의 노벨 문학상 작가로 만들게 한 힘이다. 그는 마치 그가 쓴 소설처럼 관대하고 따뜻한 품성을 가지고 오늘날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이 그리는 세계를 바라본다.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우리가 마음을 열고 기대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이 책은 우리 시대 가장 뛰어난 작가가 지속적으로 글을 쓰고 작가가 되는 것에 대하여 밝힌 창작의 내밀한 과정, 그리고 작가로서의 깊은 고민을 담고 있다. ∎ 작가로서의 성장, 작품에 대한 영감, 솔직하고 설득력 있는 대작가의 진솔한 창작 이야기 성장하면서, 그러니까 산문으로 소설의 세계를 창조하겠다는 생각을 하기 훨씬 오래전부터 나는 이 모든 것을 한데 합쳐 내 마음속에 ‘일본’이라고 불리는 풍성한 세부를 지닌 장소를 세우느라 바빴습니다. 나는 어떤 면에서 그곳에 속해 있었고, 그곳으로부터 나의 정체성과 자신감에 대한 확실한 감각을 끌어냈습니다. (23쪽) 작품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작가들의 내면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는 언제나 매혹적인 궁금증을 일으킨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의 글쓰기 경력과 기원, 그리고 그것이 수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하고 성숙했는지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설득력 있게 들려준다. 그 안에는 소설에 대한 자기반성,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시도, 음악이나 영화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는 그만의 방식과 그에게 찾아 왔던 중요한 전환점들에 대한 진솔한 경험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정체성을 세우는 과정과 연관된 『창백한 언덕 풍경』, ‘오직 책을 통해서만’ 제대로 읽을 수 있는 소설을 고심하던 중에 프루스트를 읽고 영감을 받은 『남아 있는 나날』 등 그에게 명성을 가져다 준 주요한 작품들이 쓰이게 된 특별한 비하인드도 담겨 있어 흥미를 더한다. 일본에서 태어나 다섯 살 무렵 가족들과 함께 해양학자였던 아버지를 따라 영국으로 이민을 온 그의 젊은 시절 모습을 들려주는 대목도 흥미롭다. 영국 중산층 소년에게 요구되는 매너를 모조리 숙지했던 근방의 유일한 동시에 유명한 외국인 소년이었던 그, “스무 살 이전까지 록 스타”를 꿈꾸었던, “콧수염을 늘어뜨리고 히피 시절의 느릿한 말투”를 구사하던, 여느 영국 소년들처럼 “네덜란드 축구 선수들이나 밥 딜런의 최신 앨범”에 열광하다가 이스트앵글리아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문학을 배우게 된 청년 시절의 그, 그저 “상상력과 추론에 의거해 낸 머릿속 일본”을 자각하고 이를 “소설로 재건하기 위해 스스로 글을 쓰도록 몰아붙였”던 작가로서의 출발점에 서 있는 그까지 여러 에피소드를 통해 그가 가진 일본과 영국과의 이중 유산에 대한 견해가 통찰력을 가지고 발전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 관대하고 따뜻한 이 시대 최고 작가의 깊이 있는 통찰력 “불확실한 미래에 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오늘과 내일의 작가들로부터 최선을 다하려면 더욱 다양해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야기는 재미있을 수도 있고, 뭔가를 가르치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내게 중요한 것은 그 이야기가 느낌을 나눈다는 사실입니다. 그 이야기가 국경과 여러 차이를 넘어서 우리가 인간으로서 공유하는 것에 호소한다는 사실입니다. (45~46쪽) 40개 이상의 언어로 작품이 번역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명성과 영예를 안은 가즈오 이시구로. 1989년 부커 상을 받은 『남아 있는 나날』과 2005년 《타임》 ‘100대 영문 소설’로 선정된『나를 보내지 마』는 각각 백만 권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제임스 아이보리 감독의 영화로 각색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된 데에는 ‘일본’도 ‘영국’도 아닌, 국경을 넘는 보편적인 목소리를 내려고 처음부터 노력했던 그의 보편성에 대한 감각과 깊은 연관이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집 『나의 20세기 저녁과 작은 전환점들』을 통해 국제적인 문학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보자. 국경을 넘어 세계에서 계속되는 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것으로 마무리되는 이 책은 이 시대 문학의 역할이 어때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사려 깊고 감동적인 작품이다.

Collections

8